2020/03/13

[물리학] Geroch (1978), Ch 1 “Events and Space-Time: The Basic Building Blocks” 요약 정리

   
[ Robert P. Geroch (1978), General Relativity from A to B (The University of Chicago), pp. 3-10.
  로버트 게로치, 『로버트 게로치 교수의 물리학 강의』, 김재영 옮김 (2003, 휴머니스트), 25-37쪽, 1장. 「사건과 시공간: 기본적인 틀」. ]
  
  
■ [pp. 3-5, 25-28쪽]
- 사건: 물리적 세계에서 발생하는 일을 시간의 폭이나 공간의 크기(extension)를 갖지 않도록 이상화한 개념. 
- 두 사건이 일치한다는 것은 두 사건이 같은 시간에 같은 장소에서 일어난다는 것
- 사건은 실재인가, 실재라면 어떤 종류의 것인가? 물리학은 그러한 문제를 다루지 않음.
- 여기서 물리학의 관심사는 사건들 사이의 관계

■ 아리스토텔레스 관점 [pp. 5-6, 28-31]
- 사건은 그것이 발생한 시간과 공간에서 가지는 위치로 특정 지어짐.
- 공간은 x, y, z의 직교 좌표계로 표현할 수 있음.
- 각 좌표에 동조화(synchronized)된 시계가 있다고 가정하면, 어떤 지점에서 사건이 일어s라 때 그 점에 있는 시계를 확인하여 사건의 시각을 정의할 수 있음.
- 사건에 대한 기록은 x, y, z, t의 값으로 주어짐.
• x, y, z,는 공간의 위치, t는 사건이 일어난 시각.

[pp. 6-8, 31-33쪽]
- 고정된 두 사건이 있을 때 다음과 같은 질문들은 유의미한가?
- 질문(1): 두 사건은 공간에서 같은 위치를 차지하는가?
• 유의미한 질문.
• 두 사건이 같은 위치에 있다는 것은 x₀=x₀′, y₀=y₀′, z₀=z₀′라는 것임.
- 질문(2): 두 사건은 동시에 일어났는가?
• 유의미한 질문.
• 두 사건이 동시에 일어났다는 것은 t₀=t₀′라는 것임.
- 질문(3): 두 사건의 거리는 무엇인가?
• 유의미한 질문.
• l² = (x₀-x₀′)² + (y₀-y₀′)² + (z₀-z₀′)²
- 질문(4): 두 사건의 경과 시간은 무엇인가?
• 유의미한 질문.
• l= t₀-t₀′
- 아리스토텔레스 관점에서 유의미한 일상의 개념의 예
• “이 입자는 정지해 있는가?”
• “이 입자의 빠르기는 얼마인가?”
- 상대성 이론의 관점에서 위의 질문은 모두 유의미하지 않음

[pp. 8-10, 33-37쪽]
- 특정 사건의 위치와 시간을 극한으로 줄이면 그 사건은 시공간에서 부피나 면적을 가지지 않는 점으로 대응시킬 수 있음.
예) 한 입자가 있다면 위치는 없으나 시간의 폭을 가진 ‘세계선’으로 표현할 수 있음.


- 세계선: ‘무엇’의 모든 사건들을 정확히 지나가며, 중간에 갈라지지 않는 곡선.

  
- 두 사건의 세계선이 만난다는 것은 두 입자의 충돌로 해석할 수 있음.
  
  
(2018.10.26.)
     

댓글 없음:

댓글 쓰기

2025년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대한 감상

이재명의 대통령 당선을 보면서 정말 천운이라는 것이 있는 것인가 싶었다. 주요 대선 주자들은 죄다 자기 발에 자기가 걸려 알아서 자빠졌지, 올망졸망한 잠재적 경쟁자들은 크지 않지, 무언가 안 좋은 것에 많이 얽혀 있는 것은 분명한데 이리저리 잘 피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