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9/30

올해 여름에 뱀을 안 잡은 화천이

     

작년에 그렇게 뱀을 잡아 와서 사람을 놀라게 했던 화천이가 올해는 뱀을 잡아 오지 않는다. 8월이 다 되도록 뱀을 잡아 오지 않는다.

어머니는 화천이가 올해는 저렇게 새끼들하고 같이 있으니 뱀을 잡아 오지 않는다며, 작년에 화천이가 그렇게 뱀을 잡아온 것은 자기 새끼를 가져가서 그런 게 아니겠느냐, 고양이가 괜히 영물이라고 하는 게 아닌 모양이다, 라고 하셨다.

 
 
 
 
 
 
(2016.07.30.)
     

2016/09/29

[한문] 천자문 (1/14)





1. 天地玄黃 宇宙洪荒

天(하늘 천) 地(땅 지) 玄(검을 현) 黃(누를 황)

宇(집 우) 宙(집 주) 洪(넓을 홍) 荒(거칠 황)

하늘은 검고 땅은 누르며, 우주는 넓고 거칠다.

- 天地玄黃: 『주역(周易)』 「곤괘(坤卦)」의 「문언(文言)」 구절인 “하늘은 검고 땅은 누르다”(天玄而地黃)를 다시 씀.

- 宇: 지붕의 처마를 가리켰으나 『회남자(淮南子)』에서 상하사방의 공간을 뜻하게 됨.

- 宙: 지붕의 들보를 가리켰으나 『회남자(淮南子)』에서 지나간 과거에서 다가올 미래까지의 시간이라고 주석함.

- 荒: 사람의 손이 닿지 않아 잡초만 뒤덮인 땅.

2. 日月盈仄 辰宿列張

日(날 일) 月(달 월) 盈(찰 영) 昃(기울 측)

辰(별 진) 宿(별자리 수; 잘 숙) 列(벌릴 렬) 張(베풀 장)

해와 달은 차고 기울며, 별과 별자리는 넓게 펼쳐져 있다.

- 日月盈仄: 『주역(周易)』 「풍괘(豐卦)」의 “해는 남중하면 기울고, 달은 차면 이지러진다(日中則昃, 月盈則虧)”를 다시 쓴 것.

- 宿: 옛 사람들은 황도 부근의 항성군 스물여덟 개를 28수(宿)라고 했고 이를 12등분하여 12차(次) 또는 12진(辰)이라고 했다.

3. 寒來暑往 秋收冬藏

寒(찰 한) 來(올 래) 暑(더울 서) 往(갈 왕)

秋(가을 추) 收(거둘 수) 冬(겨울 동) 藏(감출 장)

추위가 오면 더위가 가며, 가을에 수확하고 겨울에 저장한다.

- 寒來暑往 秋收冬藏: 사마천의 『사기(史記)』 「태사공자서(太史公自敍)」의 “무릇 봄에는 소생하고 여름에는 생장하고 가을에는 거둬들이고 겨울에는 갈무리하는 것, 이것이 천도의 큰길이다”(夫春生․夏長․秋收․冬臧, 此天道之大經也)를 다시 씀.

4. 閏餘成歲 律呂調陽

閏(윤달 윤) 餘(남을 여) 成(이룰 성) 歲(해 세)

律(가락 률) 呂(음률 려) 調(고를 조) 陽(볕 양)

윤달로 한 해를 완성하고, 육률(六律), 육려(六呂)로 음양을 조절한다.

- 사마천 <사기> 역서에 따르면, 하나라는 한 해의 시작을 정월로, 상나라는 12월로, 주나라는 11월로 삼았다고 함.

- 律: 남성을 상징하는 여섯 가지 소리

- 呂: 여성을 상징하는 여섯 가지 소리

- 전설에 따르면, 황제는 신하인 ‘영륜’을 시켜 소리를 짓게 함. 완유산 북쪽의 ‘해계’라는 골짜기에서 대나무 중 구멍과 두께가 고른 것을 골라서 양쪽 마디를 잘라 세 치 아홉 푼 되는 대나무 피리 그리고 대나무 통 열두 개를 만듦. 완유산 아래에서 봉황새의 울음소리를 듣고 수컷과 암컷의 울음소리를 각각 여섯 가지로 나누어 율과 려를 만듦.

5. 雲騰致雨 露結爲霜

雲(구름 운) 騰(오를 등) 致(이를 치; 부를 치) 雨(비 우)

露(이슬 로) 結(맺을 결) 爲(할 위) 霜(서리 상)

구름이 올라 비가 오게 하고, 이슬이 엉겨 서리가 된다.

6. 金生麗水 玉出崑岡

金(쇠 금) 生(날 생) 麗(고울 려) 水(물 수)

玉(구슬 옥) 出(날 출) 崑(뫼 곤) 岡(뫼 강)

금은 여수(麗水)에서 나고, 옥은 곤륜산(崑崙山)에서 난다.

- 麗水는 형남(荊南)과 더불어 대표적인 사금 생산지. 운남성 여강납서족 자치현에 있음.

- 崑岡: 곤륜산(崑崙山). 촉강(蜀岡)이라고도 함.

- ‘변화’라는 사람이 곤륜산에서 옥 원석을 캐어 초나라 여왕에게 바침(화씨지벽). 이것도 곤륜산에서 난 것이라고 함.

7. 劍號巨闕 珠稱夜光

劍(칼 검) 號(이름 호) 巨(클 거) 闕(대궐 궐)

珠(구슬 주) 稱(일컬을 칭) 夜(밤 야) 光(빛 광)

칼 중에 거궐(巨闕)이 있고, 구슬 중에 야광주(夜光珠)가 있다.

- 巨闕: 거궐은 중국 고대 명검 중의 하나. 월나라 명장인 구야자(歐冶子)가 만들었는데, 청동 그릇과 쇠그릇을 베면 잘린 면에 기장쌀만한 구멍이 곳곳에 보였다고 한다.

- 夜光: 야광주는 전설상의 구슬 이름. 춘추 때 수(隨)나라 군주 ‘수후’는 궁전에서 괴로워하는 뱀을 구해주었는데, 이 뱀은 용의 아들이었고 용의 아들을 구해준 대가로 양자강에서 보옥을 물어다가 수후에게 줌. 받은 구슬이 밤에도 대낮처럼 빛을 발했다고 함.

- 양자강은 진주의 명산지. 그 보옥은 진주 구슬이고 야광주라고 함. 합포의 못에서 나왔다고 하는 야광주, 남해의 고래 눈알에서 얻었다고 하는 야광주도 있음. 화씨벽도 야광주임.

8. 果珍李柰 菜重芥薑

果(과실 과) 珍(보배 진) 李(오얏 리) 柰(능금 내)

菜(나물 채) 重(무거울 중) 芥(겨자 개) 薑(생강 강)

과일 중에 자두와 사과가 으뜸이고, 채소 중에 겨자와 생강이 중하다.

- 오얏은 자두. 춘추시대 진(晉)나라 왕융은 좋은 오얏 품종을 다른 사람들이 그 종자를 퍼뜨릴까봐 그 씨에 구멍을 뚫어 표식을 해놓을 정도였음.

- 능금은 사과.

9. 海鹹河淡 鱗潛羽翔

海(바다 해) 鹹(짤 함) 河(물 하) 淡(맑을 담)

鱗(비늘 린) 潛(잠길 잠) 羽(깃 우) 翔(날 상)

바닷물은 짜고 민물은 심심하며, 비늘 있는 것은 물에 있고 깃 있는 것은 하늘을 난다.

* 참고

김근, 『욕망하는 천자문』, 삼인, 2003.

박성복, 『천자문풀이』, 대구대학교출판부, 2012.

한정주, 『천자문 인문학』, 다산초당, 2016.

(2024.01.23.)


[교양] Wilson (1998), Consilience 요약 정리 (미완성)

[ Edward Osborne Wilson (1998), Consilience: The Unity of Knowledge (Alfred A. Knopf). 에드워드 윌슨, 『통섭: 지식의 대통합』, 최재천・장대익 옮김 (사이언스북스,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