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2/23
2019/02/19
2019/02/09
동방 박사와 아기 예수
성탄절이 몇 주 안 남았는지, 오전 예배 때 부른 찬송가 중에는 동방 박사가 아기 예수를 경배하러 찾아왔다는 내용의 것도 있었다. 그 찬송가를 부르면서 나는 이렇게 생각했다. ‘동방 박사가 아니라 동방 석사나 동방 박사과정생이었다면 다른 박사들한테 밀려서 아기 예수를 만날 기회를 놓쳤을 텐데. 동방 박사들은 박사라서 좋았겠다. 나는 언제 박사 학위를 받나. 받을 수는 있나.’
아기 예수를 경배하기 위해 동방에서 박사들이 온 이야기는 마태복음 2장에 나온다. 동방 박사들은 별의 인도를 받아 아기 예수가 태어난 집을 찾는다. 예수와 그의 어머니 마리아가 함께 있는 것을 본 박사들은 엎드려 아기 예수에게 경배하고 보배합을 열어 황금과 유향과 몰약을 예물로 바쳤다. 예물을 담은 보배합에는 이런 글이 적혀 있었다고 한다.
“이 예물은 학술재단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2018.12.09.)
2019/02/08
<물리학의 철학> 수업에서 얻은 교훈
법학 학술지에 윤리학 논문이 실리기도 한다. 윤리학의 주제 중에는 법학의 주제와 연결되는 것이 있어서 그렇다. 계량화된 실적만 놓고 보면, 동일한 논문을 윤리학 학술지에 싣는 것보다 법학 학술지에 싣는 것이 이득이다. 왜냐하면 법학 학술지가 요구하는 철학 수준은 철학 학술지가 요구하는 수준보다 낮지만 피-인용수는 법학 학술지에 실렸을 때 훨씬 높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혹시라도 법조인과 결혼하게 된다면 부인의 노동력을 이용하여 법학 학술지에 공동 저자로 논문을 싣고 피-인용수 부자가 되어야겠다고 생각했다. 다른 분야의 여성을 만나도 이 전략을 유지할 수 있다. 부인이 의료인이면 의료 윤리 논문을 싣는 식이다. 나는 이 것이 괜찮은 전략이라고 생각했다.
<물리학의 철학> 수업을 듣고 생각이 약간 바뀌었다. 부인이 물리학자라고 해도 나는 물리학의 철학에 관한 논문을 쓰지 않을 것이다. 물리학도 모르는 주제에 물리학의 철학에 손을 대봐야 똥이나 만들어낼 게 뻔한데, 괜히 물리학의 철학을 하자면서 부인 옆에서 알짱거리면 별다른 산출 없이 부인이 하는 연구나 방해하게 될 것이다. 부인이 물리학을 연구하든 물리학의 철학을 연구하든, 나는 조용히 가사노동을 하면서 부인이 연구에 전념하는 것을 도울 것이다. 그게 가정에도 도움이 되고 사회에도 도움이 되는 길이겠다.
(2018.12.08.)
2019/02/07
시트콤 <지칭 이론> - 밀고 편
2019/02/05
글의 통일성을 해친 사례 − 김우재 박사의 “목사 다음 교수”
글쓰기에서 정말 기초적이고 당연한 것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지키지 않는 것 중 하나는, 글 한 편에서 한 가지 주제만 다루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나 짧은 글일수록 이 점에 더 신경 써야 한다. 내용을 풍부하게 만들겠다고 엉뚱한 내용을 섞으면 글이 망한다. 굳이 두 대상을 글 한 편에서 다루고 싶다면 서로 다른 두 대상이 어떻게 한 범주로 묶이는지, 둘 사이에 무슨 연관이 있는지를 보여주어야 한다.
<한겨레>에 실린 “목사 다음 교수”라는 글을 보자. 글쓴이에서 첫째 문단에서 부도덕한 목사들의 사례를 나열한 뒤, 둘째 문단에서 부도덕한 교수들을 나열한다. 글쓴이가 제시한 사례만 놓고 보면 두 사례 사이에는 부도덕성 이외에는 어떠한 연관성도 없다. 왜 부도덕한 목사를 부도덕한 스님이나 부도덕한 의사나 부도덕한 공무원하고 묶지 않고 부도덕한 교수와 묶는지를 설명해야 정상적인 글이 된다. 교수도 싫고 목사도 싫은데 마침 글 한 편에서 한 방에 둘을 욕하고 싶어서 그렇게 한 것이라고 답한다면 글이 망한 것이다. 글쓴이는 두 집단의 공통점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첫째, 목사와 교수 모두 본인의 도덕성과 상관없이 무작위 대상에 대한 도덕적 권위를 획득한다. 목사는 학벌, 설교 등을 기준으로 교회에 임용되고, 목사의 도덕성은 교회의 성장이라는 기준에 밀린다. 교수도 마찬가지다. 박사 학위는 도덕성을 가르치는 과정이 아니다. 도덕성 검증도 받지 않고, 전문직으로 임용된 이들이, 연구실의 왕이 되어 학생들을 다스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목사와 교수 모두 신자와 학생에게 도덕적 기준을 강요한다. 말도 안 되는 구조다.
둘째, 비리가 터질 때마다 그들 모두 일부의 일탈이라고 변명한다. 그 변명은 교계와 학계에 받아들여지고, 징계는 가볍다. 그들은 시스템의 승리자다. 또한 암묵적 공범자인 교계와 학계의 네트워크가 그들을 보호해줄 것임을 잘 안다. 그래서 이런 범죄는 절대 뿌리 뽑힐 수 없다. 언론이 매일 목사와 교수의 범죄를 발견해 대서특필해도 마찬가지다. 그건 검찰과 사법부의 비리가 벌써 반세기 넘게 언론에 의해 폭로되었어도, 여전히 그들이 한국을 지배하는 현실과 같다.
안타깝게도, 글쓴이는 교수도 싫고 목사도 싫은데 마침 글 한 편에서 한 방에 둘을 욕하고 싶어서 글을 이렇게 썼다고 실토하고 만다. 글쓴이의 주장과 달리 “목사와 교수 모두 본인의 도덕성과 상관없이 무작위 대상에 대한 도덕적 권위를 획득”하지 않으며, 다만 그들이 그러한 도덕성을 갖추어야 한다는 사회적 기대치가 있을 뿐이다. 그런 기대치는 정도만 다를 뿐 유치원 교사에게도 있고 신부에게도 있고 공무원에게도 있다. “비리가 터질 때마다 그들 모두 일부의 일탈이라고 변명”하고 집단에서 용인한다는 점은 글쓴이도 말하듯이 “검찰과 사법부의 비리”에도 공통된다. 이는 교수와 검사가 묶이는 것이 아니라 교수와 목사가 묶여야 하는 이유가 할 이유가 없었음을 글쓴이가 스스로 밝힌 것이다.
이 글이 말하고자 하는 바는 둘 다 나쁜 놈이니 둘 다 존경하지 말고 둘 다 욕하자는 것뿐이다. 글쓴이가 교수를 얼마나 싫어하는지 알겠으나 이런 식으로 욕하면 욕의 효과가 반감된다. 관련 없는 두 대상이 글 한 편에서 엉키니 글의 통일성이 떨어져서 글쓴이가 전달하려는 메시지가 잘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관련 없는 두 대상을 글 한 편에서 동시에 욕하는 것보다는 한 대상을 욕하는 글을 두 편 쓰는 것이 낫다. 물론, 그보다 더 나은 것은 그런 수준 낮은 글을 아예 쓰지 않는 것이다.
* 링크: [한겨레] 목사 다음 교수 / 김우재
( www.hani.co.kr/arti/opinion/column/870889.html )
(2018.12.05.)
[외국 가요] 맥 드마르코 (Mac DeMarco)
Mac DeMarco - Heart To Heart ( www.youtube.com/watch?v=qBoQzo98EpQ ) (2025.01.20.)
-
<죽으면 되는 것이다> 짤은 『고우영 십팔사략』 10권 96쪽에 나온다. 후량-후당-후진-후한-후주-송으로 이어지는 5대 10국 시대에서 후한이 망할 때 풍도가 유빈을 죽인 일을 그린 것이다. 907년 주전충이 당을 멸망시키고 후량(後粱...
-
누군가 잘 나간다는 생각이 들 때쯤이면 그에게 “문화 권력”이라는 수식어가 들러붙는다. “권력”이라는 건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킬 수 있는 힘”을 말하는데 “문화 권력”이라고 불리는 건 그냥 그 사람이 요새 잘 나간다는 말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김용...
-
대학원에는 학위를 받으면 학위 논문을 제본해서 주변 사람에게 주는 풍습이 있다. 예전과 달리 오늘날에는 논문 대부분이 온라인으로 공개되지만 여전히 학위 논문을 제본해서 나누어주는 풍습이 남아있다. 어떤 행동 유형이 관례로 자리 잡으면 그 자체로 관성을...
-
■ 지도교수와의 첫 만남 - 지도교수: “네 이론은 무엇인가?” - 김정운: “선생님 이론을 배우러 왔습니다.” - 지도교수: “남의 이론을 요약하는 것으로 학위 논문을 쓸 수 없다. 네가 제시하고 싶은 이론의 방향을 생각해서 다시 오라.” ...
-
대학에서 학생들이 교수를 ‘교수님’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나는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 강사를 ‘강사님’이라고 부르는 학생들도 있다고 하는데, 이 경우에도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낫다. 부장을 ‘부장님’이라고 부르...
-
Jon allen - In Your Light ( www.youtube.com/watch?v=Y77-HTAbaKw ) (2025.01.20.)
-
학회에서 발표를 한다든지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할 때는 이름과 함께 소속도 명시하게 되어 있다. 대체로, 학생은 다니고 있는 학교를 소속으로 표기하고, 강사나 교수는 일하고 있는 학교를 소속으로 표기한다. 강사들이 학회 때마다 소속이 계속 바뀌기도 하는...
-
<행복한 고구마>라는 웹툰을 보면서 위안을 얻는 사람들이 있다고 한다. 경쟁 사회에서 사람이 왜 피폐해지는지 잘 몰라서 그런 웹툰을 보며 위안받는 것이 아닐까 싶다. 꼭 인삼이어야만 행복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고구마도 충분히 행복할 수 ...
-
Carl Douglas - Kung Fu Fighting [영화 <쿵푸팬더> 주제곡] ( www.youtube.com/watch?v=hq5REevpSP8 ) (2023.04.24.)
-
Swedish House Mafia - Don’t You Worry Child (ft. John Martin) ( www.youtube.com/watch?v=3mWbRB3Y4R8 ) (2025.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