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메모 - 글쓰기/말하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메모 - 글쓰기/말하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2/10/13

[글쓰기] 폴 실비아, 「제5장. 간단히 영어 문체 수정하기」 요약 정리



[ Paul J. Silva (2007), How to Write a Lot: A Practical Guide to Productive Academic Writing, 1st Edition (APA LifeTools).

폴 실비아, 『교수처럼 써라』, 강남희 옮김, 서원주 감수 (홍문관, 2011), 84-111쪽. ]

1. 문제 진단하기

2. 좋은 어휘 선택하기

3. 힘있는 문장 쓰기

4. 수동형 구문, 생동감 없는 구문, 장황한 구문은 피하라

5. 우선 쓰고 나중에 수정하라

6. 결론

1. 문제 진단하기

■ 학술적인 글을 쓰는 사람들이 글을 잘 쓰지 못하는 이유 [85-86쪽]

- 이유(1): 똑똑해 보이고 싶어서

• ‘smart’ 대신 ‘sophisticated’나 ‘erudite’ 같은 용어를 사용함.

• “물빛이 어두운 호수는 깊을 것이다”(If the water is dark, the lake must be deep.)(독일 격언) 같은 문장을 “95%의 신뢰 구간에서 최소치의 투명도를 특성으로 가지는 수성액체는 그 심도가 매우 높은 수치로 나타날 확률이 높다”(Bodies of water characterized by minimal transparency are likely to possess significantly high values on the depth dimension(p<.05).)는 식으로 말함.

- 이유(2): 글을 잘 쓰는 법을 배운 적이 없어서

- 이유(3): 대부분의 교수들은 좋은 글을 쓰기 위해 충분한 시간을 투자하지 않음.

2. 좋은 어휘 선택하기

86-87

- 영어에 좋은 단어들은 그 수가 많고 대부분 길이가 짧으며 표현력이 있고 친숙하므로, 이런 단어를 사용해서 글을 쓸 것

• 지적인 것처럼 비추어지는 최신식 표현들을 피할 것

• 학술 논문의 티가 나는 단어도 사용하지 말 것

- 좋은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제2언어, 제3언어로 영어를 접하는 독자들을 존중하는 것

• 외국인 학자들은 종종 모국어/영어 사전을 옆에 두고 논문을 읽음.

• 사전에 단어하나가 없어서 그 논문을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음.


87

- “전문 용어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 과학은 필요한 순간에 새로운 어휘와 표현을 만들어냄.

- 전문 용어를 일반 단어로 바꾸면 독자들이 이해하기 쉬워짐.

- 과학 분야의 좋은 단어를 잘 보존하여 경영, 마케팅, 정치, 사회복지 분야에서 유립된 나쁜 단어를 배제해야 함.

• ‘incent’에서 파생된 ‘to incentivize’(장려하다) 또는 ‘target’에서 파생된 ‘to target’(목표로 삼다)와 같은 동사 어휘는 학술 논문에 필요하지 않음.

- 전문 용어를 일관성 있게 사용할 것

• 학문적 개념에 대한 용어를 다양화하면 독자들은 혼돈 상태에 빠짐.


𝗕𝗲𝗳𝗼𝗿𝗲 People high in neuroticism responded slower than people low in the tendency to experience aversive affective states.

(신경질적 성향이 높은 사람들은 혐오스러운 정서적 상태를 경험하는 경향이 낮은 사람들보다 더 늦게 응답했다.)

𝗔𝗳𝘁𝗲𝗿 People high in neuroticism responded slower than people low in in neuroticism.

(신경질적 성향이 높은 사람들은 신경질적 성향이 낮은 사람들보다 더 늦게 응답했다.)


89-90

- 사람들(people)을 언급할 때, 저자는 ‘연구대상’(participant)라는 어휘를 사용하지 않음.

• 새, 유아, 쥐, 학군에 대해 연구하는 친구들이 저자와 연구대상이 전혀 다른데도 ‘연구대상’이라는 어휘를 사용함.

- 연구대상이라는 어휘는 모호하므로 더 나은 단어를 선택해야 함.

• 예) 어린이를 대상으로 연구할 때 어린이, 교사, 부모로부터 자료를 수집하는데, 세 집단을 모두 연구대상이라고 부르면 서로 구별이 잘 되지 않으므로, 어린이, 교사, 부모라고 부르는 것이 좋음.

• 예) 성인과 청소년의 인지과정을 연구한다면, 중장년(older adults)과 청년(younger adults)을 사용하여 연구방법과 결과를 기술하는 것이 좋음.


90

- 약어와 두문자어 사용을 자제할 것

- 약어와 두문자어는 눈에 보이는 길고 복잡한 구문보다 이해하기 더 수월할 때만 유용함.

- 일부 글쓴이들은 흔한 구문을 약어로 대체하여 중복을 피한다고 믿지만, 그렇게 되면 독자들은 실제 단어보다 더 따분한 축약어를 계속 읽어야만 함.

- 처음부터 아예 길고 복잡한 구문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축약어를 사용해야 할 이유가 줄어들 것임.


90-91

- 매우(very), 상당히(quite), 기본적으로(basically), 실제로(actually), 사실상(vurtually), 극도로(extremely), 몹시(remarkably), 완전히(completely), 전혀(at all) 등의 표현들을 삭제할 것

- 켄 스미스(Ken Smith)는 이러한 단어를 기생형 강조어(parasitic intensifiers)라고 부름.

3. 힘있는 문장 쓰기


91-92

- 글을 잘 쓰지 못하는 사람들은 한 종류의 문장을 지나치게 반복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두서없이 중언부언하는 것처럼 보임.

- 영어의 문장 형태는 단문, 중문, 복문으로 구성됨.

- 단문은 주어와 서술어의 한 쌍으로 이루어짐.

- 중문은 두 개의 절로 이루어지며 각 절은 독립절을 이룸. 때때로 접속사가 독립절들을 연결하거나, 세미콜론이 접속사를 대산하기도 함.

- 복문은, 단문이나 중문과 달리, 잘만 쓴다면 글이 생기를 띠고 세심하게 조절된 어조를 가지게 할 수 있음.

- 병렬 문장은 심리학 논문에 유용함.

• 심리학 논문에서는 외향적 기질이 높은 사람과 낮은 사람, 통제 조건과 실험 조건, 시간 1에 일어난 일과 시간 2에 일어난 일에 대한 관계, 대조, 비교에 대해 글을 씀.

- 글을 잘 쓰는 사람들은 관계를 쉽게 표현할 수 있는 병렬 문장을 유용하게 사용함.

- 글을 못 쓰는 사람들은 반복되는 구조의 병렬 문장을 사용하기를 꺼려하며, 이에 따라 용어와 문장 형태가 다양해져서 왜곡된 문장을 만들게 됨.

𝗕𝗲𝗳𝗼𝗿𝗲 People in the dual-task condition monitored a series of beeps while reading a list of words. Some other participants in a different group read only a list of words without listening for sounds(“control condition”).

(이중과제 집단은 단어 리스트를 읽을 동안 일련의 삐 소리를 모니터링했다. 다른 집단에 속한 일부 다른 연구대상자들은 소리를 듣지 않고 단어 리스트를 읽었다(“통제 조건”).)

𝗔𝗳𝘁𝗲𝗿 People in the dual-task condition monitored a series of beeps while reading a list of words. People in the control group read a list of words.

(이중과제 집단은 단어 리스트를 읽을 동안 일련의 삐 소리를 모니터링했다. 통제 집단은 단어 리스트를 읽었다.)

- 일부 병렬문장은 기준변형 구조(criterion-variant structure)를 이용함.

- 우선 공통 부분을 설명하고 그 다음에 차이점을 설명함.

𝗕𝗲𝘁𝘁𝗲𝗿 Everyone read a list of words. People in the dual-task condition monitored a series of beeps while reading the words, and People in the control group only read the words.

(모든 참가자들은 단어 리스트를 읽었다. 이중과제 집단은 단어를 읽는 동안 일련의 삐 소리를 모니터링했고 통제 집단은 단어 리스트만 읽었다.)

𝗕𝗲𝘁𝘁𝗲𝗿 Everyone viewed a set of 20 picture. In the control condition, people merely viewed the picture. In the evaluation condition, people rated how much they liked each picture.

(모든 참가자들은 일련의 그림 20개를 살펴보았다. 통제 집단은 단순히 그림만을 살펴보았다. 평가 집단은 각 그림을 얼마나 좋아하는지를 평가했다.)

94

- 세미콜론은 병렬 문장을 쓰는 사람들에게 유용할 수 있음.

- 세미콜론은 각 문장이 독립되어 존재할 수 있는 독립절만을 연결해야 함.

• 세미콜론은 마침표와 달리 절 간의 가까운 연결을 나타내고 and로 연결된 콤마와 달리 각 절에 대한 무게의 균형을 나타냄.

- 그래서 두 병렬 문장을 등위절로 연결하는 형태가 이상적임.

𝗕𝗲𝗳𝗼𝗿𝗲 At Time 1, people read the words. At Time 2, they treid to remember as many as possible.

(시간 1에서 사람들은 단어들을 읽었다. 시간 2에서 그들은 가능한 한 많은 단어를 기억하려고 노력했다.)

𝗔𝗳𝘁𝗲𝗿 At Time 1, people read the words; at Time 2, they treid to remember as many as possible.

(시간 1에서 사람들은 단어들을 읽었고 시간 2에서 그들은 가능한 한 많은 단어를 기억하려고 노력했다.)

𝗕𝗲𝗳𝗼𝗿𝗲 People in the reading condition read the words, and people in the listening condition heard a recording of the words.

𝗔𝗳𝘁𝗲𝗿 People in the reading condition read the words; people in the listening condition heard a recording of the words.

95-96

- 글을 잘 쓰는 사람들은 ‘대시’(—)를 자주 씀.

- 전문 용어로 ‘M대시’(em dash)라고 부름.

• 대문자 M크기만큼의 너비로 표기하며, 문장을 강하고 생기 있게 만들어줌.

- 대시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 용도로 사용됨.

- 용도(1): 절과 구를 문장 마지막 부분과 연결함.

• Our academic journals radiate bad writing—I store my journals on the shelf farthest from my desk to avoid the fallout.

(학술지들이 나쁜 글을 양산하고 있다. 그래서 나는 학술지들을 책상에서 멀리 있는 책장에 몰아놓았다.)

• Work through this—you need semicolons.

(그 편견을 극복하면 세미콜론의 필요성을 알게 된다.)

• While you’re rebuilding your relationship with the semicolon, reach out and make a new friend—the dash.

(세미콜론과 친숙해진 김에, 다른 것도 하나 더 배워보자. 대시이다.)

- 용도(2): 삽입어구를 넣기 위해 사용

• Now that you’re self-conscious about your words—“Did I write individuals in my last paper?”—it’s time to rethink how to write sentences.

(이제 여러분은 스스로 ‘나의 지난 논문에 개인들(individuals)이라는 어휘를 사용했었나?’라고 자각할 수 있게 되었으므로 문장 쓰는 방법에 대해 재고할 시점이 되었다.)

• Technically called em dashes—they’re the width of a capital M-dashes enable crisp, striking sentences.

(전문 용어로 M대시라고 부르는데 대문자 M크기만큼의 너비로 표기하며 문장을 강하고 생기 있게 만들어준다.)

예시

Okay Forty-two adul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re were 12 women and 30 men.

(성인 42명이 실험에 참가했다. 여성 12명과 남성 30명이 참가했다.)

Better Forty-two adults—12 women and 30 men—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성인 42명—여성 12명과 남성 30명—이 참가했다.)

97-98쪽

- N대시(–)

• 대문자 N의 너비로 표기

• N대시는 사이(between)라는 의미로서 두 개념을 조정하는 역할을 함.

- N대시를 제대로 사용하는 글쓴이들은 많지 않으며, 그 대신 하이픈을 많이 사용하는데 종종 당혹스러운 결과를 낳기도 함.

• 예) ‘부모와 아이들 간의 행동’(behavior between parents and children)의 속기 표현인 parent–child(N대시: 부모와 아이들 간의 행동)는 parent-child behavior(하이픈: 아이처럼 행동하는 부모)로 잘못 쓸 수 있음.

98

- 병렬 구를 활용하여 강력한 문장을 쓸 수 있음.

- 문장에서 구의 위치는 관계를 함축하기 때문에 문장의 부분들을 연결하고 조정하는 단어를 삭제할 수 있음.

𝗕𝗲𝗳𝗼𝗿𝗲 Counterfactual thoughts, which are defined as thoughts about events that did not occur, demonstrate the intersection of cognition and emotion.

(발생하지 않았던 일에 대한 사고로 정의되는 사후가정 사고는 인지와 감정의 상호작용을 증명한다.)

𝗔𝗳𝘁𝗲𝗿 Counterfactual thoughts, defined as thoughts about events that did not occur, demonstrate the intersection of cognition and emotion.

𝗕𝗲𝘁𝘁𝗲𝗿 Counterfactual thoughts—thoughts about events that did not occur—demonstrate the intersection of cognition and emotion.

(사후가정 사고—발생하지 않았던 일에 대한 사고—는 인지와 감정의 상호작용을 증명한다.)


99-

- 학술 논문에서 발견되는 두 가지 일반적인 오류

- 오류(1): 단문 쓰기를 두려워하는 사람들이 잘 사용하는 ‘such that’

• 단문 쓰기를 피하기 위해 부실한 첫째 절과 이어지는 둘째 절을 연결하는 데 ‘such that’을 사용함.

• ‘such that’이라는 표현을 다시는 사용하지 말 것.

- 이 표현에 대한 대처법

• 대처법(1): ‘such that’을 삭제

• 대처법(2): ‘such that’을 콜론(colon)이나 대시(dash)로 대체

• 대처법(3): 더 나은 문장을 쓰기


𝗕𝗲𝗳𝗼𝗿𝗲 We created two conditions such that people in one condition were told to be accurate and people in another condition were told to be fast.

(우리는 두 실험 조건을 설계했는데 그것은 한 집단에게는 정확하게 수행하도록 요구하고 다른 집단에게는 빠르게 수행하도록 요구하는 것이었다.)

𝗔𝗳𝘁𝗲𝗿 people in one condition were told to be accurate; people in another condition were told to be fast.(앞 절을 삭제하고 세미콜론으로 병렬 절을 만듦.)

𝗔𝗳𝘁𝗲𝗿 We created two conditions: people in one condition were told to be accurate, and people in another condition were told to be fast.(콜론으로 대체)


𝗕𝗲𝗳𝗼𝗿𝗲 People were assigned to groups such that the assignment process was random.

(사람들은 조별로 배치했는데 그 배치 과정은 무작위였다.)

𝗔𝗳𝘁𝗲𝗿 People were randomly assigned to groups.(더 나은 문장으로 수정)


- 오류(2): 복문 울렁증(wobbly compound syndrome). 쉼표가 문장을 읽다가 쉬는 곳이라고 오인하는 글쓴이에게 나타남.

• 복문은 두 개의 독립절이 필요한데 복문 울렁증을 겪는 문장에서 두 번째 절은 주어가 누락되어 독립절 역할을 할 수 없음.

• 이런 경우 두 번째 절에 주어를 삽입하거나 쉼표를 삭제하면 됨.


• Positive mood enhance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broaden thinking.

(긍정적인 태도는 창의적 문제 해결을 증진하고, 사고를 확장시킨다.)

• Positive mood enhance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they broaden thinking.(주어 they 삽입)

• Positive mood enhance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broaden thinking.(쉼표 삭제)

 

• Experiment 1 demonstrated strong effects of planning on motivation, and clarified competing predictions about how planning works.

(실험 1은 동기화 계획의 강력한 효과를 설명했고, 계획의 효과에 관한 상호대립적 예견을 명시한다.)

• Experiment 1 demonstrated strong effects of planning on motivation, and it clarified competing predictions about how planning works.(주어 it 삽입)

• Experiment 1 demonstrated strong effects of planning on motivation and clarified competing predictions about how planning works.(쉼표 삭제)

4. 수동형 구문, 생동감 없는 구문, 장황한 구문은 피하라

103

- 사람들은 능동적으로 생각하고 능동적으로 말하기 때문에, 능동형으로 글을 쓰는 편이 자연스럽게 읽힘.

- 수동형으로 글을 쓰면 문장의 숨어버리기 때문에 글이 모호하고 이해하기 힘들게 됨.

- 사람들은 똑똑하게 보이고 싶어서 무의식적으로 수동태 문장을 씀.

• 그들은 비인칭 문장이 가지는 학술적인 분위기를 선호함.

- 수동형 글쓰기를 고치는 방법

• 글에서 부정사 ‘to be’가 보일 때마다 동그라미를 침.

• 거의 모든 동사들은 being의 의미를 함축해서 to be는 대개 동작동사로 대체할 수 있음.

103-104

- not을 사용하여 부정문을 만드는 대신 부정적인 의미를 지닌 어휘를 사용하면 맥없는 문장을 되살릴 수 있음.

• 사람들은 종종 not을 빠뜨리고 읽어서 오역하기도 함.

• 이러한 방법은 문장을 간소화하고 요점을 생동감 있게 표현하게 함.

𝗕𝗲𝗳𝗼𝗿𝗲 People often do not see not when reading and thus do not understand your sentence.

𝗔𝗳𝘁𝗲𝗿 People often miss not when reading and thus misunderstand your sentence.

104

학술 논문에서 자주 사용되는 일부 표현들은 수동태로 쓰는 것이 당연한 것처럼 보임.

학자들이 쓰는 ‘-ive’ 형의 표현


• Their result are indicative of significance.

(그들의 연구결과는 유의미성에 대하여 지시적이다.)

• The theory is reflective of its hitorical context.

(그 이론은 역사적 맥락에 대하여 반영적이다.)

• The data are supportive of the hypothesis.

(그 연구 자료는 가설에 대하여 지시적이다.)

- 위의 문장은 아래의 표현으로 고쳐쓸 수 있음.

• The result indicate ~ 그 연구결과는 ~를 제시한다.

• The theory is reflect ~ 그 이론을 ~을 반영한다.

• The data support ~ 그 자료는 ~를 뒷받침한다.

- 모든 to be -----ive of 구문은 동사형으로 고쳐서 쓸 것

• to be indicative of = to indicate

• to be reflective of = to reflect

• to be supportive of = to support

• to be implicative of = to imply


- 논문을 『내셔널 지오그래픽』에 투고할 계획이 아니라면 ‘in nature’ 같은 표현은 피할 것.

• 형용사들은 어떤 사물의 본질을 묘사하기 때문에, ‘본질적으로’라는 말은 항상 형용사에 함축되어 있음.


- ‘in a manner’ 대신 부사를 사용할 것

• “people reponded in a rapid manner” 대신 “people responded rapidly”


106-

- 때로는 능동태 문장도 생동감 없이 보일 수 있음.

- 학술 논문에서 다음과 같은 표현으로 문장을 시작하는 경우


“Research shows that ...”

(연구가 밝히는 바는...)

“Recent studies indicate that ...”

(최근 연구가 명시하는 바는...)

“Many new findings suggest that ...”

(새로운 다수의 연구결과가 제시하는 바는...)

“A monstrous amount of research conclusively proves that ...”

(방해한 연구결과가 결론적으로 입증하는 바는...)


- 위의 표현들은 별다른 의미가 없으므로 연구 요점은 문장 마지막에 인용을 통해 강조하면 됨.

- 실증적 사실과 개인적 선택을 대조하기 위해 이러한 표현을 사용할 수 있지만 되도록 사용을 자제할 것.


107-

- ‘However’, ‘For instance’, ‘For example’과 같은 표현으로 글을 시작하면 이어지는 힘 있는 문장들과 어울리지 않아 글이 어색해지니 However를 문장의 첫 의미구 뒤로 옮길 것


𝗕𝗲𝗳𝗼𝗿𝗲 However, recent finding challenge dual-process theories of persuation.

𝗔𝗳𝘁𝗲𝗿 Recent finding, however, challenge dual-process theories of persuation.


- ‘for instance’와 ‘for example’도 뒤로 옮길 것

- 그러나 비-형식적인 글에 사용되는 but과 yet은 문장의 맨 앞에 위치시키는 것이 맞음.

- however에 구두점을 잘못 사용하면 복문을 이어지는 한 문장으로 변형시킨다는 점을 기억할 것.


𝗕𝗲𝗳𝗼𝗿𝗲 High self-efficacy enhances motivation for challenging tasks, however it reduces motivation if people perceive the task as easy.

(높은 자기 효용감은 과제해결의 동기를 증진시키지만 과제가 쉽다고 인지한다면 동기는 감소한다.)

𝗔𝗳𝘁𝗲𝗿 High self-efficacy enhances motivation for challenging tasks; however, it reduces motivation if people perceive the task as easy.

(높은 자기 효용감은 과제해결의 동기를 증진시킨다. 그러나 과제가 쉽다고 인지한다면 동기는 감소한다.)



5. 우선 쓰고 나중에 수정하라



6. 결론

(2023.03.25.)


[교양] Wilson (1998), Consilience 요약 정리 (미완성)

[ Edward Osborne Wilson (1998), Consilience: The Unity of Knowledge (Alfred A. Knopf). 에드워드 윌슨, 『통섭: 지식의 대통합』, 최재천・장대익 옮김 (사이언스북스,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