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메모 - 글쓰기/말하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메모 - 글쓰기/말하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4/08/07

[글쓰기] 현남숙 (2014), “과학기술의 대중적 소통과 바꿔쓰기 교육” 요약 정리 (미완성)



[ 현남숙 (2014), 「과학기술의 대중적 소통과 바꿔쓰기 교육」, 『교양교육연구』 제8권 제3호, 33-58쪽. ]

I. 들어가는 말

II. 과학과 기술의 대중적 소통의 필요성

III. 과학기술의 대중화를 위한 바꿔쓰기 방법

IV. 바꿔쓰기 교육 사례와 시사점

V. 나가는 말

I. 들어가는 말

II. 과학과 기술의 대중적 소통의 필요성

III. 과학기술의 대중화를 위한 바꿔쓰기 방법

1) 준비과정

40-41

- 준비과정은 바꿔쓰기 할 과학기술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는 과정임.

- 과학 문식력(scientific literacy): 단편적인 과학적 사실의 획득이 아닌 과학 텍스트의 정확한 내용 파악을 통해 실질적으로 내용을 이해하는 것(Norris & Phillips 2003)

■ 바꿔쓰기를 잘 하려면(1) - 과학적 표현 방식의 특징을 잘 파악해야 함 [41-42쪽]

- 동사의 명사화 현상

• 예) ‘두 물체 사이의 끌어당김’보다는 ‘인력’이라는 개념이 과학 글쓰기 안에서 더 안정적 지위를 차지함.

- 과학자 자신이 아닌 연구 대상이 주가 되는 수동형 문장의 사용

• 실험의 조건은 인간이 만들지만 연구되는 대상은 자연의 실재라서 연구 대상을 주어로 놓는 수동형 문장의 관습을 가지게 됨.

- 현상에 대한 수식화와 수량화 및 이에 따른 도표와 그래프의 사용

- 이론의 구성이나 설명을 위한 은유의 사용

■ 바꿔쓰기를 잘 하려면(2) - 과학적 지식의 추론 방식을 이해해야 함 [42쪽]

- 논증의 구조를 알면 논증을 분석하고 주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용이해짐.

■ 바꿔쓰기를 잘 하려면(3) - 과학적 지식의 조직화 방식에 대해 알아야 함 [42-43쪽]

- 과학지식의 정당화 과정을 보여주는 대표적 형식은 IMRAD임.

- 도입(Introduction): 연구의 질문과 목적 및 가설을 제시함.

- 재료와 방법(Materials and Method): 질문을 해결하기 위한 실험설계를 제시함.

- 결과(Results): 실험 결과 발견된 데이터를 제시함.

- 논의(Discussion): 연구 결과에 대한 해석을 논증함.

2) 바꿔쓰기 과정

42

- 바꿔쓰기는 동일한 말을 다르게 나타내는 언어적 기능을 의미함.

• 예) 동의이형적 표현(synonymous expressions)을 생성하는 언어적 장치

- 전문적 내용을 대중적 차원에서 전달하려면 원래 텍스트에서 전제된 정보들을 밝히거나 불필요한 정보를 과감히 생략해야 함.

■ 바꿔쓰기(1) - 용어 바꿔쓰기 [42-43쪽]

- 과학 용어는 반복된 상황에 대한 명사적 표현으로 내용이 압축되어 있으므로, 대중이 그 의미를 아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을 첨가해야 함.

- 과학기술 관련 용어는 대부분 약어로 되어 있거나 외국어로 표기됨.

• 이는 논문투고 규정에 학술용어는 영문으로 표기할 수 있는 관례에서 비롯됨.

• 한국어 사전에 등재되지 않았거나 등재되었어도 거의 사용하지 않는 용어를 사용함.

- 전문용어를 한글로 병기하는 것과 더불어 정의를 알기 쉽게 바꾸어쓰는 것이 필요함.

- 예시

• <변경 전> gas chromatography을 사용한 화학적 분석 절차는 폐수 속에 있는 유독물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 <변경 후> 색층분석(gas chromatography)을 사용한 화학적 분석 절차는 폐수 속에 있는 유독물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 바꿔쓰기(2) - 문장 바꿔쓰기 [43-44쪽]

- 문장 바꿔쓰기의 기본 원리는 문장의 내용을 최소한의 단위로 나누고, 필요한 경우 보충설명을 덧붙여주는 것

- 내용이 응축된 것은 여러 문장으로 나누어 풀어쓰는 식으로 바꾸어 씀.

- 필요한 경우 개념의 어원을 밝히거나 은유를 사용해 이해를 도울 수 있음.

- 예시

• <변경 전> gas chromatography을 사용한 화학적 분석 절차는 폐수 속에 있는 유독물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 <변경 후> 색층분석(gas chromatography)은 액체 속에 있는 여러 합성물을 분리하고, 규명하며, 기록하는 실험도구이다. 이 도구를 사용한 화학적 분석 절차는 폐수 속에 있는 유독물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 바꿔쓰기(3) - 단락 바꿔쓰기 [44-45쪽]

■ 바꿔쓰기(4) - 한 단락 이상 바꿔쓰기 [45쪽]

3) 점검 과정

IV. 바꿔쓰기 교육 사례와 시사점

■ 시사점 [51-53쪽]

- 시사점(1): 바꿔쓰기를 위한 텍스트 선정이 매우 중요함.

- 시사점(2): 대중에게 잘 전달할 수 있는 글을 쓰려면 과학적 문식력(scientific literacy)이 있어야 함.

- 시사점(3): 일상 언어 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평소의 교양독서의 장려가 필요함.

- 시사점(4): 과학과 대중의 사이를 매개할만한 방법의 개발이 필요함.

V. 나가는 말

(2025.02.08.)


내가 철학 수업을 올바른 방향으로 하고 있다는 증거

대학원 다니면서 들은 학부 수업에서 몇몇 선생님들은 수업 중간에 농담으로 반-직관적인 언어유희를 하곤 했다. 나는 이번 학기에 학부 <언어철학> 수업을 하면서 그런 식의 농담을 하나도 하지 않았다. 나부터 그런 반-직관적인 언어유희에 재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