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7/14

[공부법] 독일 학생들의 카드 공부법



■ 지도교수와의 첫 만남

- 지도교수: “네 이론은 무엇인가?”

- 김정운: “선생님 이론을 배우러 왔습니다.”

- 지도교수: “남의 이론을 요약하는 것으로 학위 논문을 쓸 수 없다. 네가 제시하고 싶은 이론의 방향을 생각해서 다시 오라.”

■ 공책 vs. 카드

- 김정운은 배운 것을 공책에 썼다. 독일 학생들은 공부한 것을 카드에 요약하고 그 카드를 정리하는 카드 상자에 놓았다.

- 공책과 카드의 차이는 편집가능성이다.

- 독일 학생들이 카드를 사용하는 것은 편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신이 만든 카드를 자신의 생각에 따라 다시 편집한다. 이렇게 편집한 카드가 자신의 이론이 된다.

■ 독일 학생들의 카드 작성 방법

(i) 책을 읽고 자신에게 필요한 내용을 카드에 정리한다.

(ii) 카드 맨 위에 핵심어를 적고, 그 핵심어에 그것과 관련된 개념(연관 검색어)을 적고, 그 밑에 출처와 날짜 등을 적는다.

(iii) 카드 앞장과 뒷장에 해당 내용을 요약한다.

* 출처: 김정운, 『에디톨로지』 (21세기북스, 2014), 84-88쪽.

(2015.07.14.)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프라임 LEET] 2026학년도 대비 LEET 전국모의고사 안내

https://invite.kakao.com/tc/NVNEFmM9U1 ​ 올해 7/20 리트 응시자분들을 위한 단체 채팅방입니다. ​ 리트 언어이해, 추리논증 관련 읽을 만한 논문 등을 게재하고, 6/1부터 매일 세 문제씩 푸는 모형추리(기출이 아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