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asok Chang (2014), “Epistemic activities and systems of practice: Units of analysis in philosophy of science after the practice turn”, in L. Soler et al. (eds.)(2014), Science after the Practice Turn in the Philosophy, History and Social Studies of Science (Routledge), pp. 67-79. ]
I. Introduction: Main Aim of the Paper
II. Collecting Pre-existing Clues
III. Framework for Activity-Based Analysis
IV. How to Apply the Framework
I. Introduction: Main Aim of the Paper
67
- 논문의 목표: 과학적 실행(scientific practices)에 관한 정확하고 구조화된 철학적 틀을 만드는 것
• “인식적 활동”과 “실행 시스템”(system of practice)을 논의의 분석 단위로 할 것임.
- 기존 과학철학은 과학을 명제들의 집합으로 보고 그것의 참/거짓 여부와 논리적 관계에 초점을 맞추는 관습에 제약받음.
• 기존 과학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는 명제들의 조직된 집합체인 이론(theory)임.
• 실험과 비-언어적 요소들은 무시됨.
이 논문을 통해 기존 과학철학 분석의 대안이 되는 철학적 틀을 제시하고자 함.
과학적 실천의 철학적 문법을 규명하고자 하는 시도임.
행위의 명제적 측면, 기술적 측면만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행위 그 자체를 더 폭넓게 바라봐야 함.
II. Collecting Pre-Existing Clues
(a) 요소들의 다양한 유형(Various Types of Elements)
68
- 쿤의 “전문분야 행렬”(disciplinary matrix)
• 상징적 일반화, 형이상학적 믿음들, 가치들과 모범 사례와 해결법 등으로 이루어짐
- 라인베르거(Hans-Jörg Rheinberger)의 “실험 시스템”(experimental system)
• 국소적・기술적・도구적・사회적・인식적 측면이 결합된 실험 행위의 단위
- 해킹(Ian Hacking): 열다섯 가지 다른 요소를 제시함으로써 실험적 실행의 논의를 시작함.
- 솔러(Léna Soler)의 “이질성 논제”(thesis of heterogeneity)
• 실행에서 기원한 과학학의 특징들
(b) 체계성(Systematicity)
69
- 해킹의 관점은 구조(structure)를 결여함.
• 과학적 실행의 단어는 제공했지만 문법은 주지 않았음.
- 실제 과학에서는 해킹이 제시한 요소들이 체계적인 방식으로 묶이고 상호작용하며, 과학 실행의 체계성을 묘사하는 다양한 방식들이 제안됨.
- 라카토슈: 연구 프로그램에서의 핵(hard core)과 보호대(protective belt)의 구분
• 라카토슈는 명제에 대한 것으로 제안한 것임.
• 연구 프로그램의 발전을 지도하는 휴리스틱을 기술함.
- 구딩(David Gooding): 실험 결정의 흐름에서 과학적 실행의 요소들이 어떻게 조합되는지 도표로 표상함.
(c) 스타일(Style)
과학적 실천을 수행할 때의 방법, 기법적으로 차이가 있음
(d) 목적(Purpose)
69-
- 지금까지 제시된 모든 암묵적인 생각은 과학은 행위자가 수행하는 행위들로 구성된다는 것임.
- 과학의 인식적 활동을 이해하려면 인식적 행위자(epistemic agent)에 대한 충분하고 정합적인 이해가 핵심임.
구딩, 피커링, 라인베르거: 과학적 행위의 서술에 행위자도 포함해야 함.
도구적 합리성의 맥락에서 과학적 행위자의 목적론적 행동을 인식해야 함.
과학적 행위자는 자신의 욕구와 믿음을 바탕으로 하는 의도를 바탕으로 과학을 수행한다
따라서, 그들의 행위는 그 행위가 자신의 욕구 만족에 기여할 것이라는 믿음으로부터 출발한다.
- 많은 유형의 즐거움은 과학자들에게 동기를 부여함.
• 육체적 편안함, 추상적 혹은 구체적 이해, 사랑, 자신감, 유산 등
- 욕구들을 충분히 구체적인 것으로 생각할 필요가 있고, 실제 과학 활동들을 형성하는 근접한 목표들을 더 명확히 해야 함.
(e) 자유(Freedom)
70
- 진정한 자유를 가진 행위자를 더 잘 서술할 방법을 찾아야 하고, “이론 선택”(theory-choice)에서의 “선택”과 “결정 이론”(decision theory)에서의 “결정”의 진짜 의미를 제공해야 함.
- 기존 과학철학에서 과학자들은 특정한 서술적 진술을 믿거나 믿지 않을 뿐이고, 합리적 추론의 규칙에 따라 자신의 믿음을 수정함.
• 이러한 규칙은 진정한 판단의 필요를 제거하는 것임.
- 이것들 외의 선택과 결정은 심리학이나 사회학의 일부로 폄하됨
수동적인 사실 수용자 혹은 명제들에 대한 알고리즘적 처리자로서의 행위자가 아니라 진정한 과학적 행위자가 무엇인지를 고려해야 함.
(f) 능력과 한계(Capabilities and Limitations)
71
- 우리는 자유롭게 자유를 행하는 것이 아니라 한정된 능력이라는 제약 하에서 자유를 행함.
- 혼스비는 행위에서는 행위자만 제거되는 것이 아니라 행위자들의 능력도 기록될 수 없다고 함.(Hornsby, 2004)
- 인간의 능력에 관한 고려는 관찰가능성, 시험가능성, 단순성과 공약불가능성, 실재론, 입증, 이론 선택, 과학 혁명 등 여러 철학적 쟁점에 영향을 미침.
- 능력은 과학적 합리성과 밀접하게 관련됨. 합리적 결정은 행위자의 능력과 솜씨의 정밀한 감각에 기반해야 하기 때문임.
- 폴라니: 솜씨(skill)는 암묵적 차원의 것이며, 암묵지의 핵심적인 측면은 지식의 체화(embodiment)임.
- 과학 작업에 관한 중요한 솜씨들은 신체에 확고하게 위치하므로 명제 형태의 믿음이나 지식으로 환원되지 않음.
71
- 기대(expectations)는 미래에 대한 단순한 믿음이 아님.
폴라니에 따르면, 기대는 지평선에 있는 것처럼 여겨짐. (암묵적 차원)
- 기대는 특정한 믿음 없이도 구성될 수 있음.
• 어떤 활동과 관련된 기대는 그 활동과 정합적이지 않은 어떤 것을 만나기 전까지는 노출되거나 형식화되지 않음.
- 과학적 실행도 기대들로 가득 차 있고 그것에 영향을 받음.
III. Framework for Activity-Based Analysis
III.1. Activities and System
71-72
- 인식적 활동은 정신적 또는 물리적 조작(operation)의 다소 정합적인 집합임.
• 이러한 조작은 지식의 생산 또는 기여를 의도한 것임.
- 장하석의 제안에서 중요한 부분은 각 상황에서 과학자들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들을 염두에 둔 것임.
목표의 존재를 통해서 과학적 활동은 단순한 물리적 사건과는 구분되고 활동의 정합성은 목표의 성취 여부에 의해 정의됨.
인식적 활동은 단독으로 이루어질 수 없고 전체 시스템으로 구성됨.
실행 시스템은 정합적인 인식적 활동 집합으로 이루어지고 특정한 목표의 성취를 위해 행해짐.
- 시스템의 정합성(coherence)은 단순히 활동들과 관련된 명제들 간의 일관성(consistency)을 넘어서는 개념이며, 정합성은 시스템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들이 효과적인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구성됨.
- 정합성은 일관성보다 덜 정밀한 개념임.
• 일관성은 논리적 공리를 통해 잘 정의된 것임.
III.2. Aims and Coherence
72-
- 목표와 정합성의 상호연관된 개념이 장하석의 틀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함.
- 정합성과 논리적 일관성(logical consistency)의 차이를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함.
- 성냥에 불을 붙이는 경우, 솜씨(skill)와 협력(coordination)이 필요함.
• 손의 움직임.
• 성냥을 들고 뛰거나 바람을 불어서는 안 됨.
• 얼굴에 너무 가까워서도 안 되고 주위에 쉽게 탈 물질이 있어도 안 됨.
• 적당한 속도와 세기로 성냥을 문질러야 함.
• 성냥의 머리는 마른 상태여야 하고 공기의 습도도 낮아야 함.
- 위의 예시는 정합성의 좋은 예시임.
- 이는 행위와 관련된 명제들의 일관성으로 환원할 수 없음
73-
- 성냥을 켜는 각 행동(act)의 정합성보다 성냥을 켜는 활동(activity)의 정합성이 더 중요함.
• 각 행위는 우연적으로 행해질 가능성이 있고 목표를 달성할 수도 있음.
• 활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행위의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수행을 의미함.
- 활동에서의 정합성은 두 가지 측면이 있음.
• 측면(1): 활동을 지배하는 다양한 규칙들은 시너지를 내야 하며 적어도 상충하면 안 됨.
• 측면(2): 활동의 초기와 이후가 학습과 조정에서 조화로운 관계를 가져야 함.
- 그래서 정합성은 다-차원적일 것이고, 단일한 인식적 활동에서도 그러함.
• 전체 실행 시스템을 고려한다면 이 그림은 더 복잡해질 것임.
73-
목표에 대하여
- 성냥 사례에서 “무엇을 성취하고자 하는가”라는 질문에 두 가지 답변이 가능함.
• 답변(1): 성냥을 켜기 위해서
• 답변(2): 유기화합물의 연소 분석을 시작하기 위해서
- 둘 다 모두 타당한 답이지만, 목표의 종류가 다름.
- 답변(1)은 활동의 내재적 목적(inherent purpose)임.
• 성냥을 켜는 것은 그 행동과 관련된 이유와 무관하게 그 활동 자체의 전체 핵심임.
• 그 행위에는 여러 다른 이유들을 가질 수 있음.
- 답변(2)는 활동의 외부적 기능들(external functions)임.
다양한 행위자들이 활동을 성공적으로 행함으로써 얻고자 하는 성취들일 수 있음.
따라서, 활동 자체는 내재적 목적으로써의 목표를 통해 부분적으로 정의됨.
왜냐하면 내재적 목적 없이는 일어날 수 없기 때문
(성냥을 켜고자 하는 의도 없이는 성냥을 킬 수 없으므로)
그리고 외부적 기능에 대한 고려가 더 크고 복잡한 목표를 이루고자 하는 실행 시스템에 어떤 행위들이 묶이게 될지에 대한 고려로 이어짐.
실행 시스템의 정합성은 기능적 정합성(functional coherence)임.
기능적 정합성은 다양한 활동들의 외부적 기능을 통해 성취됨.
74
- 이러한 목표들은 응용 과학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음.
- 이러한 목표들은 순수 과학에서도 나타남.
- 사례: 라부아지에
라부아지에는 다양한 물질들의 구성을 이해하고 화합물의 관점에서 화학적 관계를 설명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시스템을 만듦.
화학적 관계에 의한 기체를 모으고, 반응한 물질들의 무게를 재고, 그 무게 측정 결과를 통해 화학 물질을 역으로 추적하고, 분석적 목적을 위해 유기 화합물을 연소시키고, 구성에 따라 화합물을 분류했음.
각각의 활동은 내재적 목적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구성주의 화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외부적 기능도 가짐.
시스템의 정합성은 여러 층을 가짐.
시스템을 구성하는 활동 그 자체가 내재적 목적에 있어 정합적인가?
서로 다른 활동들의 내재적 목적이 시스템 내부에서 충돌하지 않는가?
서로 다른 활동의 함의와 가정들이 서로 정합적인가?
활동의 외부적 기능들이 전체 시스템의 목표 성취를 위해 협력하는가?
III.3. Levels and the Activity-System Relation
74-75
- 인식적 활동과 실행 시스템의 분명한 구분이 어려움.
- 활동-시스템 구분은 상대적이고 맥락 의존적임.
분명한 내재적 목적을 가지고 있는 실행 시스템은 더 큰 시스템을 이루는 하나의 활동으로 볼 수 있음.
유기화합물 연소 분석은 다른 여러 활동들로 이루어진 실행 시스템임.
동시에 유기화합물 연소 분석은 유기물질의 구성을 분석한다는 내재적 목적을 가진 통합된 인식적 활동으로 볼 수 있음.
반면, 라부아지에 시스템 전체(구성주의 화학)는 그것의 내재적 목적을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움.
75
- 이는 이러한 틀에서 만들어진 분석이 가지는 비-환원적 본성에 대한 강조하는 데 유용함.
- 행동들과 과정들의 구조는, 물질과 진술의 구조와 달리, 환원 방식에서 원자적이지 않음.
- 각 인식적 활동은 구성요소들로 분석될 수 있지만, 소위 “구성요소” 활동들이 반드시 “전체” 활동보다 간단한 것은 아님.
- 예: 저울로 무게를 재는 활동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을 올려놓는 것, 저울추를 이용해 무게를 맞추는 것, 그리고 눈금을 읽는 것
- 이런 방식으로 계속 단순한 원자 수준의 활동까지 나아갈 수 있을 것처럼 보임.
- 그러나 표준 무게를 검정하기 위한 활동을 생각해 보자.
믿을 수 있는 공급자로부터 받은 것인지, 다른 믿을만한 추들과 비교하는 것, 특정한 자연 현상(부력)을 통해 확인해 보는 것
이러한 일련의 행위들은 더 단순한 활동들이 아님.
이처럼 명백한 요소들로 활동을 분석하면 좋은 통찰을 얻을 수 있지만 그것들이 환원적인 것은 아님
따라서, 활동이나 시스템 간에 환원적인 구조 혹은 위계 같은 것은 없음.
오직 그것의 생산성의 측면에서만 분석이 이루어짐.
IV. How to Apply the Framework
76
활동과 시스템의 틀은 역사학, 철학, 과학사회학에서의 작업에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가?
76
(1)
- 가장 단순한 사용은 역사 서술에서의 서술 도구로써 사용하는 것
- 이 틀은 이론-관찰 이분법, 쿤 식 패러다임, 라카토슈 식 연구 프로그램 등이 겪었던 한계와 그들이 관심 있던 과거와 현재의 과학에 대한 잘 들어맞지 않는 분류 체계의 해법이 될 것임.
뿐만 아니라, 역사가들이 과학적 실행에서 무시했던 다양한 측면을 재조명할 수 있을 것임.
(2)
과학적 지식의 본성에 대한 철학적 견해 형성에 도움
행위 위주의 과학 분석 습관은 과학의 가장 추상적인 측면 역시 행동을 기반으로 한다는 것을 인식하게 해줌.
추상적인 정의를 생각하는 것 외에 그 과학적 용어를 정의하는 행위들을 살펴서 그것을 이해할 수 있음.
모형의 본질은 모델링 과정의 행위를 통해 가장 잘 이해할 수 있음.
뿐만 아니라, 설명항과 피-설명항의 논리적 관계를 넘어서 생각할 수 있을 때 비로소 무엇인가를 설명하고자 하는 요구가 왜 발생하고 언제 최선의 설명이 되는지를 고려해 볼 수 있음.
77
(3)
규범적 평가를 위한 기초
이 틀은 과학자들이 스스로 그리고 서로의 실천을 평가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것과 우리가 과학적 작업을 독립적으로 판단하는 것에 도움을 줌.
평가는 복합적인 일, 그리고 장하석의 틀은 복합성이 왜 평가에 수반되는지 자연스럽게 이해하게 만듦 (활동, 시스템)
참, 성공과 같은 전반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실행 시스템은 상당히 분해되어야 하고 과학의 목표, 인식적 가치/미덕을 위해서는 각각의 활동과 시스템의 맥락이 고려되어야 함.
따라서, 이론 선택, 과학적 변화와 진보, 실재론, 다원주의 등 과학철학의 다양한 문제들에 대해 과학 평가를 위해 기존과는 완전히 다른 관점을 제공할 수 있음.
77
(4)
틀의 적용 범위
활동 기반의 분석은 좁게 정의된 과학철학을 넘어선 적용이 가능함.
표준적인 철학적 주제들이 활동에 관하여 완전히 재정의되면서 새로운 활력을 얻을 수 있음.
철학적 물음에 관하여, 어떤 행동인지, 행위자에 대한 물음 등 완전히 다른 질문들을 던질 수 있게 됨.
실천 전환을 통해서 과학을 실천으로 인식한 후, 우리는 과학과 삶의 다른 부분의 연속성을 인식할 수 있게 됨.
또한 기존 분석철학에서 미흡했던 점도 깨닫게 됨.
(2025.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