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1/31

[강의계획서] 시공간철학 (김재영, 2012년 1학기)

- 수업명: <시공간철학>

- 2012년 1학기

- 서울대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대학원 수업

- 담당 교수: 김재영

■ 교과목 개요

과학철학(특히 물리철학)의 한 분야이자 형이상학의 기초로서 시간과 공간의 철학을 개관하여 살핀다. 시간의 비실재성, 비대칭성과 비가역성, 시간여행의 문제, 공간에 관한 실체론과 관계론의 논쟁, 운동의 상대성,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철학적 문제, 상대성이론(특수 및 일반)의 인식론적 및 존재론적 함축, 시공간의 형이상학 등을 다루며, 시간과 의식의 문제나 제논의 역설도 간략하게 검토한다. 과학사 및 과학철학 전공자를 위하여 형이상학적 전통보다는 현대물리학의 성과를 더 강조하며, 특히 상대성 이론의 철학적 논의가 주된 관심이 된다. 물리학에 대한 사전지식은 학부 1학년 정도 수준의 초보적인 수준만을 필요로 하지만, 철학적 논의를 위해 필요하다면 물리학의 주요 내용을 생략하거나 축소하지는 않는다. 핵심적인 수준에서 통계역학, 뉴턴 역학, 특수 및 일반 상대성이론의 내용을 요약하여 다룰 것이다. 교과목은 강의와 발표와 토론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 강의 일정

- 제1강. 과학철학, 과학사, 시공간 철학 [D1] [H1]

- 제2강. 시간의 비실재성과 맥태거트의 A이론/B이론 [D2] [H10]

- 제3강. 시간의 비대칭성: 시간의 화살 [D4]

- 제4강. 공간의 개념 [D9] [H9]

- 제5강. 공간에 관한 고전적 논쟁: 데카르트, 갈릴레오, 뉴턴, 라이프니츠 [D10]

- 제6강. 절대운동: 관성운동, 마흐, 스클라 [D11] (제논의 역설 [D16] [H3])

- 제7강. 공간의 기하와 휘어진 공간 [D13] [H7] ※ 학기말 페이퍼 개요 제출

- 제8강. 중간시험 기간

- 제9강. 시공간 속의 운동 [D12] [G2]

- 제10강. 특수상대성이론 [D18] [G5] [H14]

- 제11강. 상대성이론과 실재 [D19]

- 제12강. 일반상대성이론 [D20] [G7] [H15]

- 제13강. 시공간 형이상학: 시공간의 실체론-관계론 논쟁과 구멍논변 [D21]

- 제14강. 끈 이론과 평행우주 [D22]

- 제15강. 시간여행 [D8] [H12] (시간과 의식의 문제 [D7])

※ [D], [H], [G]는 각각 Daiton (2010), Huggett (2010), Geroch (1981)을 가리키며, 뒤의 숫자는 장 번호임.

※ 기본적인 교재는 [D]로 하고 [H]와 [G]를 보조적으로 참조하며, 필요할 때마다 적절한 참고문헌들을 함께 참조함. 상세한 것은 뒤의 참고문헌 목록.

■ 수업 진행과 성적 평가

- 수업은 주로 교재 [D]를 중심으로 세미나보다는 시각자료를 활용한 강의로 진행한다. 매 시간마다 A4 1매 분량의 독서노트를 적어오는 것을 기초적인 과제로 삼는다. 강의시작 전에 이를 수업게시판에 올려야 한다.

- 수업에서는 교재에 국한하지 않고 최근의 연구현황도 활발하게 소개한다. 그러나 여전히 수업의 수준은 교재를 기준으로 한다.

- 학기 중 두 번의 발표가 있다.

[1] 교재 내용에 대한 간단한 요약과 토론 주제 제기 (20분 정도)

[2] 학기말 페이퍼 주제에 대한 요약 및 소개.

- 독서노트는 수업시간에 질의응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준비로서, 교재의 해당 부분을 미리 읽고 이에 대한 비판적 리뷰를 쓰기를 권장하며, 인쇄하여 수업시간이 끝날 때 제출한다. 독서노트의 분량은 엄격하게 A4 1매로 제한한다.

- 학기말 페이퍼는 독창적인 주제를 선택하여 이에 대해 설득력 있게 논변을 만드는 데 주안점을 둔다. 학기말 페이퍼의 주제는 학기 중 적절한 시점에 함께 의논하여 확정한다.

- 성적평가는 독서노트와 수업참여(질의응답+수업게시판 참여)와 수업 중 발표와 학기말 페이퍼에 근거를 둔다. 상대적 비중은 따로 의논한다.

■ 교재 및 참고문헌

• Dainton, B. (2010). Time and Space, 2nd ed.,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D]*

• Huggett, N. (2010). Everywhere and Everywhen, Oxford University Press. [H]

• Geroch, R. (1981). General Relativity from A to B, University Of Chicago Press; 김재영 옮김 (2003). 『물리학 강의: 일반상대성이론』, 휴머니스트. [G]

• Albert, D. Z. (2000). Time and Chance, Harvard University Press.

: 시간의 화살과 열역학의 화살에 관한 매우 꼼꼼하고 자세한 입문서.

• Alexander, H.G. ed. (1956). The Leibniz-Clarke Correspondenc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배선복 옮김 (2005), 『라이프니츠와 클라크의 편지』, 철학과현실사.

• Butterfield, J. ed. (1998). The Argument of Time, The British Academy.

: 시간의 철학에 관한 주된 9편의 논문들을 모아 놓은 것으로서, 맥태거트의 논의로부터 양자중력에 이르기까지 한 세기에 걸친 시간 철학의 주요 주제들을 다룬다.

• Callender, C. & Edney, R. (2001). Introducing Time: A Graphic Guide, Icon Books.

: 그림을 통해 시간 철학의 핵심 문제들을 매우 알기 쉽게 설명한다.

• Cushing, J. T. (1998). Philosophical Concepts in Phys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송진웅 옮김 (2006). 『물리학의 철학과 역사』, 북스힐.

: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철학로부터 뉴턴의 『원리』를 비롯하여 전자기이론, 상대성이론, 양자이론 등을 철학적 관점에서 잘 개관한다. 여러 견해들을 형평성 있게 제시하며, 물리학의 세부적 측면에서 매우 유용하다.

• Earman, J. (1989). World Enough and Space-Time: Absolute versus Relational Theories of Space and Time, The MIT Press.

: 시공간에 관한 절대주의와 상대주의의 논쟁을 일목요연하게 잘 다루며, 특히 라이헨바흐의 논의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한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저서로 주목받았다.

• Friedman, M. (1983). Foundations of Space-Time Theories: Relativistic Physics and Philosophy of Scie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 시공간의 철학에서 가장 정평이 있는 논의로서, 상대성이론에 더 집중하며, 그만큼 상대성 이론(특히 일반상대성이론)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읽어나갈 수 있다.

• Huggett, N. ed. (1999). Space from Zeno to Einstein: Classic Readings with a Contemporary Commentary, The MIT Press.

: 공간에 관한 주요 저자들의 글을 발췌하여 영어로 번역하고 이에 대한 해설을 덧붙였다.

• Lucas, J. R. & Hodgson, P. E. (1990). Spacetime and Electromagnetism: An Essay on the Philosophy of the Special Theory of Relativity, Clarendon Press.

• Reichenbach, H. (1927/1957). Philosophie der Raum-Zeit-Lehre; The Philosophy of Space & Time, Dover; 이정우 옮김 (1986) 『시간과 공간의 철학』, 서광사.

: 시간과 공간의 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표준적인 고전.

• Sider, (2001). Four dimension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 Sklar, L. (1977). Space, Time and Spacetim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아리스토텔레스부터 아인슈타인까지 시간과 공간에 관한 철학적 논의를 대체로 모두 다루는 개괄서.

• Sklar, L. (1985). Philosophy and Spacetime Physic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시공간 철학의 주요 쟁점들을 다룬 저자의 논문들을 모아 놓았다.

• Torretti R. (1999). The Philosophy of Phys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아리스토텔레스의 물리철학에서 시작하여, 갈릴레오, 뉴턴, 칸트, 휴월, 뒤엠, 퍼스 등 다양한 물리 철학의 역사적 전개를 잘 개관하고 있다. 상대성이론과 양자이론에 대한 철학적 논의도 손색이 없다. 역사적 접근과 철학적 접근이 조화를 이룬다.

• Jammer, M. (1993). Concepts of Space: The History of Theories of Space in Physics. 3rd ed. Dover.

: 공간 개념에 대한 역사적 개괄.

( www.pitt.edu/~jdnorton/teaching/2675_time/readings.html )

• McTaggart (1908), “The Unreality of Time”, Mind 18, 457-484.

• Mellor, H. (1998), Real Time II, Ch. 7 (“McTaggarts’ Proof”) (Routledge)

• Dyke (2002), “McTaggart and the Truth About Time,” in C. Callender (ed.) Time Reality and Experience (Cambridge UP).

• Godel, “A Remark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vity Theory and Idealistic Philosophy,” in P. A. Schilpp (ed.), Albert Einstein: Philosopher Scientist.

• Earman, Bangs, Crunches, etc., Appendix to Ch. 6 (“Godel and the Ideality of Time”).

• Yourgrau, Disappearance of Time: Godel and the Idealistic Tradition in Philosophy.

• Belot (2005), “Dust, Time, and Symmetry,” British Journal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 56: 255-91.

• Savitt, “Being and Becoming in Modern Physics,”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 http://plato.stanford.edu/entries/spacetime-bebecome/ )

• Markosian, “Tim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 http://plato.stanford.edu/entries/time/ )

• Zimmerman, “The Privileged Present: Defending an ‘A-theory’ of Time,” in T. Sider et al. (eds), Contemporary Debates in Metaphysics (Blackwell, 2007).

• Zimmerman (2005), “The A-theory of Time, the B-theory, and ‘Taking Tense Seriously’,” Dialectica 59, 401-570.

• Putnam (1967), “Time and Physical Geometry,” Journal of Philosophy 64: 240-247.

• Stein (1991), “On Relativity Theory and the Openness of the Future,” Philosophy of Science 58: 147-167.

• Clifton and Hogarth (1995), “The Definability of Becoming in Minkowski Spacetime,” Synthese 103: 355-387.

• Callender, C. (2000), “Shedding Light on Time,” Philosophy of Science 67: S587-599.

• Butterfield (1984), “Seeing the Present,” Mind XCIII: 161-176.

• Callender, Craig (2008), “The Common Now,” Philosophical Issues 18, pp. 339-61.

• Meyer (2005), “The Presentist’s Dilemma,” Philosophical Studies 122: 213-225.

• Doroto, “The Irrelevance of the Presentist/Eternalist Debate for the Ontology of Minkowski Spacetime,” in D. Dieks (ed), The Ontology of Spacetime I (Elsevier, 2006).

• Sider (2006), “Quantifies and temporal Ontology,” Mind 115: 75-97.

• Callender, “What Makes Time Special?”

( http://fqxi.org/community/forum/category/10 )

• Skow (2007), “The Difference between Space and Time,” Nous 41: 227-252.

• Weinstein, “Many Times,”

( http://fqxi.org/community/forum/category/10 )

• Craig and Weinstein, “Determinism AND Well-Posedness in Multiple Time Dimensions,”

( http://arxiv.org/abs/0812.0210. )

• Malament (2004), “On Time Reversal Invariance of Classical Electromagnetic Theory,” Studies in History and Philosophy of Modern Physics 35: 295-315.

• Leeds (2006), “Discussion: Malament on Time Reversal,” Philosophy of Science 73: 448-458.

• North (2008), “Two Views on Time Reversal,” Philosophy of Science 75: 201-223.

• Rovelli, “Forget Time,”

( http://fqxi.org/community/forum/category/10 )

• Kiefer, “Does Time Exist in Quantum Gravity?”

( http://fqxi.org/community/forum/category/10 )

• Torretti (2007), “The problem of time’s arrow historico-critically reexamined,” Studies in History and Philosophy of Modern Physics 38: 732-756.

• Earman (2006), “The ‘Past Hypothesis’: Not Even False,” Studies in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37: 399-430.

• Teller. P. (1991), “Subtance, relations, and arguments about the nature of space-time”, The Philosophical Review 100: 363-397.

• Rynasiewicz, R (1996), “Absolute versus relational space-time: An outmoded debate?”, The Journal of Philosophy 93: 279-306.

• J. Earman & J. Norton (1987), “What Price Substantialivalism? The Hole Story”, The British Journal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 (BJPS), 38: 515-525.

• T. Maudlin (1988), “The essence of space-time”, Proceedings of the Philosophy of Science Association (PSA), Volume 2: 82-91.

• John Earman and Jean Eisenstaedt (1999), “Einstein and

Singularities?”, Studies In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Part B: Studies In History and Philosophy of Modern Physics (SHPMP), 30(2): 185-235.

• R. Torretti (2000), “Spacetime models for the world”, SHPMP, 31(2): 171-186.

• J. Earman (1970), “Who's afraid of absolute space?”, Australasian Journal of Philosophy 48: 287-319.

• J. Norton (1989), “The hole argument”, PSA 1988 2: 56-64.

• R. Rynasiewicz (1994), “The lessons of the hole argument”, BJPS 45: 407-436.

(2018.11.08.)

[교양] Wilson (1998), Consilience 요약 정리 (미완성)

[ Edward Osborne Wilson (1998), Consilience: The Unity of Knowledge (Alfred A. Knopf). 에드워드 윌슨, 『통섭: 지식의 대통합』, 최재천・장대익 옮김 (사이언스북스,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