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7/02

[철학] Cook (2013), “Introduction” in Paradoxes 요약 정리 (미완성)

[ Roy T. Cook (2013), Paradoxes (Polity), pp. 1-8. ]

[1-2]

역설은 종종 가장 기초적인 개념들에 대한 우리의 가장 기본적인 직관이 어떤 의미에서 틀렸음을 증명하거나 제안함.

[2]

몇몇 철학자들은 철학사 전체가 다양한 역설들에 대한 일련의 응답으로 볼 수 있다고 주장함.(e.g. Sorensen 2005)

[p. 4]

1장

역설이 무엇인지, 역설을 다루는 어떤 접근이 있는지, 몇몇 잘 알려진 역설들이 이러한 분류

2장

거짓말쟁이 역설

3장

거짓말쟁이의 역설의 변종들

4장

집합론적 역설과 무한과 관련된 역설

5장

Sorites Paradox

6장

지식과 믿음 같은 인식론적 개념을 포함한 역설

(2023.04.11.)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한국에서 넷플릭스 드라마 <삼국지>를 만든다면

리들리 스콧의 영화 <나폴레옹>은 영화가 전반적으로 재미없다는 것을 다 떠나서 약간 놀라운 게 있는데, 바로 나폴레옹이 영어를 쓴다는 점이다. 영화 <글레디에이터>처럼 고대 로마를 배경으로 한 영화도 아닌데, 나폴레옹이 주인공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