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2/19

경제학자 부부가 쓸 수 있는 애정 표현?

   
“all else being equal”, “all other things being equal”, “everything else being equal” 같은 표현은 경제학 논문에 거의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표현일 것이다. 논문 저자가 모형을 설명할 때 쓰는 표현이다. 해당 모형이 모든 상황에 들어맞는다는 것이 아니라 한정된 상황에 적용되는 것임을 밝힐 때 쓴다.
  
한국에 오는 해외 경제학자들을 보면 부부 경제학자들도 드물지 않는 모양이다. 그들 중에 애정 표현할 때도 그러한 표현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없을까? 가령, 구애하거나 청혼할 때 이런 표현을 쓸 수도 있겠다. “당신을 죽을 때까지 사랑하겠소.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하다면.” 이렇게 말하면 나중에 왜 사람이 달라졌느냐, 사랑이 식었느냐는 등의 물음에도 적절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조건이 달라졌으니까”라고 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현직 경제학자의 답변을 들은 적이 있다. 그 분은 아직 경제학자들 중 사랑에 대하여 그러한 표현을 쓰는 사람을 본 적은 없다고 하셨다. 아마 경제학자들도 다분히 로맨틱해서 그런 표현을 쓰지 않는 것 같다는 것이 그 분의 말씀이다. 사랑을 피할 수 없는 인생의 충격(shock)으로 설정하는 경제학 모형은 있다고 한다.
  
  
(2019.12.19.)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오타의 기능

교육부 장관으로 지명된 이진숙 교수가 지도학생의 논문을 표절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흥미로운 점은 지도학생의 석사 논문에 있던 오타까지 그대로 이진숙 교수의 논문에 등장한다는 점이다. 석사학위논문에 있는 오타는 생성형 인공지능이 산출물에 남기는 워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