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3/14

화천이만 예뻐하는 어머니

   
어머니는 원래 고양이를 싫어한다. 우리집에 살게 된 고양이 중에 어머니가 유일하게 이름을 붙인 고양이가 화천이다. 어머니가 화천이를 좋아해서 화천이 새끼들도 좋아할 줄 알았는데 그렇지는 않았다. 어머니는, 화천이 새끼들을 다 어디 보내고 화천이만 키우면 좋겠는데 화천이 새끼들이 이미 다 커서 다른 집 보낼 수도 없고 내가 고양이를 좋아하니 어쩔 수 없이 새끼들까지 키운다고 하신다.
  
어머니는 왜 화천이만 좋아하고 화천이 새끼들은 별로 좋아하지 않는가. “화천이는 예쁘게 생겼잖냐.” 화천이하고 화천이 새끼들하고 거의 똑같이 생겼다. “화천이는 똑똑하지 않냐.” 정확한 지능은 알 수 없지만 화천이 새끼들도 화천이만큼이나 똑똑하다. “화천이 새끼들이 밥을 너무 많이 먹잖냐.” 화천이나 화천이 새끼들이나 먹는 양은 거기서 거기다. “화천이는 새끼 때부터 키웠잖냐.” 화천이는 새끼 때 데려왔지만 화천이 새끼들은 우리집에서 낳아 키웠다.
  
“화천이는 불쌍하잖냐. 화천에 사는 걸 여기(경기도 화성)까지 데려왔잖냐.” 어머니는 전남 해남에서 와놓고는 강원도 화천에서 온 화천이보고 멀리서 와서 불쌍하다고 하신다.
  
  
   
  
(2017.01.14.)
    

댓글 없음:

댓글 쓰기

내가 철학 수업을 올바른 방향으로 하고 있다는 증거

대학원 다니면서 들은 학부 수업에서 몇몇 선생님들은 수업 중간에 농담으로 반-직관적인 언어유희를 하곤 했다. 나는 이번 학기에 학부 <언어철학> 수업을 하면서 그런 식의 농담을 하나도 하지 않았다. 나부터 그런 반-직관적인 언어유희에 재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