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3/10

비빔밥 정신

     

‘비빔밥 정신’이라는 것이 있다고 한다. 여러 재료가 섞여 새로운 맛을 내지만 그러면서도 각 재료가 자신의 성질을 유지하는 비빔밥과 같이 공동체도 그러해야 한다는 말이다. 비빔밥을 빌 때 숟가락이 아니라 젓가락으로 비비는 것은 밥알이 뭉개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인데 이것도 비빔밥 정신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비빔밥 정신이 있다는 건 말도 안 된다. 비빔밥은 탕평채처럼 의도를 가지고 만든 음식도 아니고 어쩌다 만들어진 자연 발생적인 음식인데 거기에 무슨 정신이 있다는 건 말도 안 된다.
  
비빔밥 정신이 있다는 것이 말이 된다면 별 게 다 말이 된다. 한국 문화를 ‘설렁탕 정신’(살을 다 발라먹고 뼈까지 삶아먹는다는 정신), ‘곱창 정신’(내장도 빼먹는다는 정신), ‘선짓국 정신’(피까지 뽑아먹는다는 정신)으로 표현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그러니 애초에 비빔밥 정신 같은 말도 안 되는 말을 만들지 말아야 한다.
  
  
(2017.01.10.)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한국에서 넷플릭스 드라마 <삼국지>를 만든다면

리들리 스콧의 영화 <나폴레옹>은 영화가 전반적으로 재미없다는 것을 다 떠나서 약간 놀라운 게 있는데, 바로 나폴레옹이 영어를 쓴다는 점이다. 영화 <글레디에이터>처럼 고대 로마를 배경으로 한 영화도 아닌데, 나폴레옹이 주인공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