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3/23

절대 의자

     

아는 형(동양사학과)이 연구실을 나가면서 나에게 의자 하나를 주었다.
  
- 나: “내가 지금 쓰고 있는 의자도 좋은데.”
- 아는 형: “그 의자, 유서가 깊은 의자야.”
- 나: “무슨 의자인데?”
- 아는 형: “김영식 선생님이 앉던 의자야.”
- 나: “뭐? 김영식 선생님?”
  
김영식 선생님은 한국의 대표적 공부 능력자 중 한 분이다. 하버드대에서 화학 박사학위를 받고 서울대 화학과 교수를 하시고, 프린스턴대에서 동양사 박사학위를 받고 서울대 동양사학과 교수를 하셨다.
  
절대 의자에 앉아 보았다. 특별한 기운 같은 건 느껴지지 않았다. 여전히 논문은 안 읽힌다. 사람은 게임 캐릭터가 아니라서 아이템 하나 장착한다고 능력치가 달라지지 않는다. 그냥 김영식 선생님이 사기 캐릭터인 것이다. 그래도 절대 의자에 앉으니 기분이 좋았다. 서울대는 시진핑이 몇 분 앉았던 의자도 줄 쳐놓고 보존하는 판인데, 김영식 선생님이 평소 앉은 의자라니 얼마나 유서 깊은가? 절대 의자라고 할 만하다.
 
절대 의자를 손에 넣고 기쁜 마음에 박사 형님한테 자랑했다. 그런데 반응이 시큰둥했다. 왜 그럴까? 박사 형님이 말했다. “◯◯아, 그깟 의자가 뭐가 대수냐. 내가 연구소에서 앉은 의자는 전직 교육부 장관이 앉던 의자야. 그런데 지금 나는... 아니다.”
  
  
(2017.01.23.)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오타의 기능

교육부 장관으로 지명된 이진숙 교수가 지도학생의 논문을 표절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흥미로운 점은 지도학생의 석사 논문에 있던 오타까지 그대로 이진숙 교수의 논문에 등장한다는 점이다. 석사학위논문에 있는 오타는 생성형 인공지능이 산출물에 남기는 워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