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후배가 “안녕들 하십니까”를 보니 씁쓸했다고 써놓은 글을 보고, 나는 그 마음이 이해가 갔다. 사람 마음이란 게 그렇다.
한몫을 잡겠다든지 취업에 도움이 된다든지 등등 공적 조직으로 사적 이익을 도모하는 놈들이 학생회 대표자나 집행부를 하는 경우가 있긴 하지만(총학생회 선거를 보면서 느낀 건데 아무래도 못된 놈들은 타고나는 것 같다), 내가 본 사람들은 어쩌면 다들 그렇게 올바르고 궁상맞은지 모르겠다. 나는 학부 내내 그런 사람들을 보면서 학교를 다녔다.
가시적인 사적 이익을 위해 학생회를 하는 것이 아니라면, 무엇이 그들을 버티게 할까. 나름대로의 신념이나 자존감 때문 아닐까? 어떤 정치적인 신념, 또는 약간 어정쩡한 신념+공동체에 대한 이타심, 또는 ‘그래도 나는 옆의 놈이 죽든 말든 아무렇지 않아하는 개돼지는 아니야’라고 하는 도덕적 우월감(?), 또는 ‘저 새끼들(학생회로 사적 이익들 도모하는 놈들)이 활개 치는 꼴을 볼 수 없어’라고 하는 적개심, 이런 게 아닐까? 어쨌거나 이런 게 아니라면 돈도 안 되고 열심히 활동할수록 가난해지며 그다지 재미도 없을뿐더러 취업에도 도움이 안 되는 그런 짓을 할 이유가 없을 것 같다.
학생회를 한다고 막상 학생들이 알아 주냐? 그것도 아니다. 그러면 사람들이 도와 주기라도 하느냐? 도와주는 사람은 정해져있다. 그런데 괜히 딴지나 걸고 불평이나 하는 사람, 학생회가 뭐하는지 모르겠네 하면서 뒤에서 욕하는 사람, 정치적이거나 사회적인 입장 좀 논의하려 하면 선동하지 말라하고 너네가 무슨 근거로 정치적인 입장을 내냐고 하는 사람, 말 좀 통하겠네 싶으면 계몽하려 하지 마라 가르치려 하지 마라 하는 사람, 이런 사람들은 도처에 널려 있다. 선거 좀 하려고 하면 그게 나랑 무슨 상관이냐는 표정으로 투표 안 하고 지나가는 사람, 애절한 목소리로 “학우님 투표 좀 하세요” 하면 안 한 거 뻔히 아는데 했다고 뻥치는 사람, 이런 사람도 숱하게 많다. 어떻게 가까스로 투표율 50%로 넘기면 앞에서 말한 것은 다시 반복된다. 그 와중에 몸은 고단하고 물질적으로도 가난하고 학점도 가난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내면적인 이유로 버티고 있던 어느 날, 갑자기 안녕하시냐면서 평상시에 아무 것도 안 하던 사람들이 원래부터 올곧고 의식 있고 양심 있고 이타적인 사람인양 나타난다. 그걸 보면 속이 쓰릴 수 있다. ‘언제부터 그렇게 깨어있는 학우님이셨담?’ 이렇게 생각할 수 있다. 나도 성인군자가 아니라 그런 마음 충분히 이해한다.
그런데 학생회에서 정치적인 쟁점이나 사회적인 문제를 논의하는 이유 중 하나가, 자기 일이나 하고 자기 앞길이나 사람들도 그러한 문제들에 대해 생각해 보도록 하는 것이라면, 지금 일어나는 일은 충분히 바람직한 일 아닌가. 그리고 그들이 더욱 자신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음으로 양으로 돕는 게 낫지 않을까.
아기가 걸음마를 걸을 때 부모들은 잘한다 잘한다 하면서 아기가 자꾸 걷도록 한다. 아기가 정말 잘 걸어서 잘한다고 하는 게 아니다. 잘 걸으라고 잘한다고 하는 거다. 태어나서 처음 대자보를 쓰는 사람들한테 잘한다 잘한다 하는 것이 그렇게 힘들거나 부당한 일은 아닐 것 같다.
어쨌거나 아무나 대인배가 되는 건 아닌 것 같다. (물증이 없어서 그렇지, 사실 나는 대인배도 타고나는 것 같다는 심증을 갖고 있다.)
KTX 민영화니 밀양 송전탑이니 그런 건 잘 모르겠다. 나는 기말보고서 때문에 안녕하지 않다. 기말보고서나 마저 써야겠다.
(2013.12.16)
2014/12/04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외국 가요] 맥 드마르코 (Mac DeMarco)
Mac DeMarco - Heart To Heart ( www.youtube.com/watch?v=qBoQzo98EpQ ) (2025.01.20.)
-
<죽으면 되는 것이다> 짤은 『고우영 십팔사략』 10권 96쪽에 나온다. 후량-후당-후진-후한-후주-송으로 이어지는 5대 10국 시대에서 후한이 망할 때 풍도가 유빈을 죽인 일을 그린 것이다. 907년 주전충이 당을 멸망시키고 후량(後粱...
-
누군가 잘 나간다는 생각이 들 때쯤이면 그에게 “문화 권력”이라는 수식어가 들러붙는다. “권력”이라는 건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킬 수 있는 힘”을 말하는데 “문화 권력”이라고 불리는 건 그냥 그 사람이 요새 잘 나간다는 말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김용...
-
대학원에는 학위를 받으면 학위 논문을 제본해서 주변 사람에게 주는 풍습이 있다. 예전과 달리 오늘날에는 논문 대부분이 온라인으로 공개되지만 여전히 학위 논문을 제본해서 나누어주는 풍습이 남아있다. 어떤 행동 유형이 관례로 자리 잡으면 그 자체로 관성을...
-
■ 지도교수와의 첫 만남 - 지도교수: “네 이론은 무엇인가?” - 김정운: “선생님 이론을 배우러 왔습니다.” - 지도교수: “남의 이론을 요약하는 것으로 학위 논문을 쓸 수 없다. 네가 제시하고 싶은 이론의 방향을 생각해서 다시 오라.” ...
-
대학에서 학생들이 교수를 ‘교수님’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나는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 강사를 ‘강사님’이라고 부르는 학생들도 있다고 하는데, 이 경우에도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낫다. 부장을 ‘부장님’이라고 부르...
-
Jon allen - In Your Light ( www.youtube.com/watch?v=Y77-HTAbaKw ) (2025.01.20.)
-
학회에서 발표를 한다든지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할 때는 이름과 함께 소속도 명시하게 되어 있다. 대체로, 학생은 다니고 있는 학교를 소속으로 표기하고, 강사나 교수는 일하고 있는 학교를 소속으로 표기한다. 강사들이 학회 때마다 소속이 계속 바뀌기도 하는...
-
<행복한 고구마>라는 웹툰을 보면서 위안을 얻는 사람들이 있다고 한다. 경쟁 사회에서 사람이 왜 피폐해지는지 잘 몰라서 그런 웹툰을 보며 위안받는 것이 아닐까 싶다. 꼭 인삼이어야만 행복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고구마도 충분히 행복할 수 ...
-
Carl Douglas - Kung Fu Fighting [영화 <쿵푸팬더> 주제곡] ( www.youtube.com/watch?v=hq5REevpSP8 ) (2023.04.24.)
-
Swedish House Mafia - Don’t You Worry Child (ft. John Martin) ( www.youtube.com/watch?v=3mWbRB3Y4R8 ) (2025.01.18.)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