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5/12

[강연] Popper (1999), “Notes of a realist on the body-mind problem” 요약 정리 (미완성)

     

[ Karl Popper (1999), All Life is Problem Solving (Routledge), pp. 23-35.
  칼 포퍼, 「15장. 육체-정신 문제에 대한 실재론자의 고찰」, 『삶은 문제해결의 연속이다』, 허형은 옮김 (부글북스, 2006), 277-298쪽.
  * 1972년 5월 8일 독일 만하임에서 한 강연 ]
 
 
  I
  II
  III


  I

24, 279
- 세계1(World 1): 물리적 세계
- 세계2(World 2): 인간의 의식에서 일어나는 사고 과정
- 세계3(World 3): 인간 정신의 객관적 창조물들이 만들어내는 세계


25, 280-281
- 넓은 의미의 세계3: 인간 마음이 낳은 산물들의 세계
- 좁은 의미의 세계3: 잘못된 가설까지 포함하여 모든 이론의 세계이자 수많은 이론의 참/거짓을 밝히는 문제를 포함한 과학적 문제의 세계
- 문학작품이나 예술작품은 세계3에 속하지만 세계4에 속한다고 보아도 됨. 이는 용어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의 문제.

25, 281-282
- 과학 이론이 속한 세계3과 심리적 세계인 세계2의 문제들을 구분하는 일
- 볼차노: 자명한 진술(statements in themselves)
• 우리가 어떤 진술을 생각할 때 일어나는 심리적 사고 과정과 대비되는, 논리적 의미에서의 진술
- 프레게: 진술의 내용(content of a statement)
• 이 역시 논리적 의미에서의 진술
- 예: 수학자 두 명이 ‘3×4=13’이라는 잘못된 결론에 도달했다고 하자.
• 서로 아주 다를 수 있는 두 가지 별개의 사고 과정이 세계2에서 발생했음.
• 그런데 ‘3×4=13’은 (거짓인) 자명한 하나의 진술이고, (논리적으로 거짓인) 하나의 내용임.
• 아무리 많은 수학자들이 ‘3×4=13’을 참이라고 믿는다고 해도 항상 객관적으로 틀린 진술이므로, 이 진술 자체는 세계3에 속함.
- 포퍼는 볼차노와 프레게의 견해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세계3에 참인 자명한 진술, 거짓인 자명한 진술, 문제(problems), 논증(arguments)을 포함시킴.

25, 282
- 세계3의 두 가지 특징
• 특징(1): 세계3이 실재한다는 것
• 특징(2): 적어도 부분적으로라도 자율적이라는 것, 즉 세계2와 독립된 부분적인 내적 구조를 가진다는 것.

26, 282-283
- 세계3의 실재(reality)
• 모든 실재에 관한 패러다임들은 세계1의 물리적 대상들임.
• 예) 돌, 나무 등
• 포퍼는 세계1의 대상들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을 ‘실재하는’(real) 것이라고 부를 것을 제안함.
- 예: 고층건물
• 고층건물은 물리적 대상이므로 세계1에 속함.
• 고층건물은 설계도에 따라 건축되었고, 설계도는 여러 이론과 수많은 문제들로부터 영향을 받음.
• 설계 및 이론들과 문제들은 건축가의 의식(세계2)에 영향을 미친 후에야 건설 노동자들의 물리적 운동의 세계와 굴착기와 석재, 벽돌 등에 영향을 미침.
- 세계3은 세계2를 통해 세계1에 간접적 영향을 줌.
- 이 사례는 세 가지 세계 모두의 실재성을 설명함.
• 건물이나 교각이 무너지면 세계2의 착오나 잘못된 주관적 믿음 때문일 수도 있지만, 거짓인 객관적 이론(세계3의 오류) 때문일 수도 있음.

26, 283
- 세계3 개념에 대한 비판: 세계2는 존재하지만 그 사고의 내용들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음.
• 사고 내용은 정신의 추상 작용, 뇌가 만들어낸 환상임.
- 포퍼의 반론: 세계3은 분명히 세계2의 산물이기는 하지만, 부분적으로 자율적인 내적 구조를 가짐.

26-, 283-
- 독일의 수학자 크로네커: “신이 자연수를 만들었고 그 밖의 모든 것은 인간이 만들었다.”
- 포퍼는, 자연수는 인간이 만든 것이지만 소수는 발견된 것이라고 주장함.
• 자연수는 수 세기를 계속하다가 발명한 인간 언어의 산물. 덧셈과 곱셈도 인간의 발명품.
• 그러나 덧셈이나 곱셈의 법칙(예를 들어, 결합 법칙)은 인간의 발명에서 파생된 의도하지 않은 결과로, 발명된 것임.
• 역사적으로 보면 소수는 자연수와 함께 발명되었다고 해야 하지만, 자연수의 발명 시점에서 수백 년이 지나 소수가 발견되기 전까지 소수의 존재 자체는 세계2에 존재하지 않았음.
• 소수와 자연수가 함께 세계3에 존재했다고 말할 수 있으며, 발견되기 전에 세계3의 자율적인 부분에 존재해온 것임.
- 세계3의 자율성이 세계2에 임의의 영향을 줌.
• 소수의 발견을 유도한 세계2의 사고과정의 원인 중 하나는, 세계3의 소수의 존재임.
• 이는 영국인 측량사가 에베레스트 산봉우리를 발견하도록 이끈 원인이 에베레스트 산의 존재인 것과 마찬가지임.
- 세계3의 자율적 부분은 세계1에도 작동함.
• 소수의 존재를 동료들에게 설명한 최초의 수학자는 자신의 혀를 움직여서 설명했을 것임.
• 혀는 세계1에 속함.
- 아직도 소수 연구는 완결되지 않았는데, 이러한 문제들도 발명된 것이 아니라 발견된 것으로 세계3의 자율적인 부분에 속함.
...
- 유클리드의 <기하학 원론>의 예
• 세계3의 정리는 파피루스로 옮겨갔으며, 그 과정에서 인간 유클리드(세계2)를 통해서 세계1을 변화시킴.
• 최대 쌍둥이소수가 존재하는냐의 문제는 세계3에 속한 미해결 문제이며, 모든 수학자들에게 임의의 영향을 주고 있음.

28-, 286-
- 세계1, 세계2, 세계3의 구분
• 책은 세계1에 속하고, 책의 내용은 세계3에 속함.
• 서로 다른 <기하학원론> 개정판 두 권은 세계1에 속함.
• 두 권이 같은 내용을 가지는 것으로서 세계3에 속함.
• 포퍼의 강연을 듣는 사람이 독일어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세계1의 속하는 부분만 듣는 것임.
• 독일어를 이해하고 포퍼의 말하는 논지를 이해하는 사람에게는 포퍼의 강연에서 세계3에 속하는 부분만 중요한 의미를 가짐.
• 강연을 이해하려는 청중의 노력은 세계2에 속하며, 그런 노력을 할 때 청중은 세계3에 속하는 어떤 대상에 집중하게 됨.
• 따라서 청중의 세계2는 세계3으로부터 임의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임.
- 세계1과 세계3에 동시에 속한 대상이 존재하며, 세계2와 세계3에 동시에 속한 대상이 존재함.
- 중요한 것은, 세계3에만 속한 대상도 존재한다는 것.
• 예) 어느 수학자가 오늘 연구하고 있으며 내일 발견될 아직 발견되지 않은 증명
• 그 증명은 내일 세계2와 세계3에 모두 속하게 될 것이며, 종이에 기록된다면 세계1에도 속하게 될 것임.
- 아직 발견되지 않은 증명이 기록되기 전에 이미 세계1에 속한다고 가정할 수는 있음.
• 세계2의 사고과정이 두뇌 작용과 연관되며, 따라서 세계1의 물리적 현상과 연결되기 때문임.


287-288


  II

29-30, 288-289
심신 상호작용론: 세계2와 세계1은 서로 영향을 끼침.
심신 병행론: 세계2의 모든 사고과정은 세계1의 두뇌 작용과 평행을 이루며 이루어짐.
순수 물리주의 또는 철학적 행동주의: 세계1만 존재하며, 세계2는 없고 세계3도 없음.
순수 심리주의 또는 정신주의: 세계2만 존재하며 세계1은 나의 상상일 뿐임.



  III



(2022.08.16.)
     

댓글 없음:

댓글 쓰기

2025년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대한 감상

이재명의 대통령 당선을 보면서 정말 천운이라는 것이 있는 것인가 싶었다. 주요 대선 주자들은 죄다 자기 발에 자기가 걸려 알아서 자빠졌지, 올망졸망한 잠재적 경쟁자들은 크지 않지, 무언가 안 좋은 것에 많이 얽혀 있는 것은 분명한데 이리저리 잘 피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