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6/14

[과학기술학] Collins and Evans (2002), “The Third Wave of Science Studies: Studies of Expertise and Experience” 요약 정리 (미완성)

   

[ H. M. Collins and Robert Evans (2002), “The Third Wave of Science Studies: Studies of Expertise and Experience,” SSS, 32(2): 235-296. ]

  

  

  1. The Problem of Legitimacy and the Problem of Extension

    1.1. Painting Waves with a Broad Brush

    1.2. Language and Presentation

  2. Three Waves of Social Studies of Science

    2.1. The First Wave of Science Studies

    2.2. The Second Wave of Science Studies

    2.3. Downstream to Upstream

  3. Core-Sets, Core-Groups, and their Settings

    3.1. Science and Art

    3.2. Politics is Intrinsic to Esoteric Science, not Extrinsic

    3.3. Beyond the Core

    3.4. The Third Wave of Science Studies?

  4. The Nature of Expertise

    4.1. Experience and Expertise

    4.2. Three Types of Expertise

    4.3. Referred Expertise

    4.4. Translation

    4.5. Discrimination

    4.6. The Lack of Expertise of the Wider Scientific Community

  5. Case Studies

    5.1. Increasing Interaction

        : Cumbrian Sheep and AIDS Treatment in San Francisco

    5.2. Decreasing Interaction: Crashing Fuel Flasks and Aircraft

    5.3. Understanding Interaction: The Magicians and Benveniste

  6. Different Types of Science and Technology

    6.1. Integral Public Expertise in Public-Use Technologies

        : Cars, Bicycles, Personal Computers

    6.2. Integral Public Expertise in Local-Interest Technologies: Planning

    6.3. Esoteric and Controversial Sciences

  7. Conclusion

  

  

  1. The Problem of Legitimacy and the Problem of Extension


235

- 공적 영역에서 기술적 의사 결정의 문제

• 기술적 결정들을 가장 넓은 민주적 절차로 보내서 공적 영역에서 기술적 결정의 정치적 적법성은 극대화되어야 하는가, 아니면 그러한 결정들은 가장 전문적인 조언에 기반해야 하는가?

- 첫 번째 선택은 기술적 마비(technological paralysis)의 위험

- 두 번째 선택은 대중적 반박을 초래함


236

콜린스와 에반스가 ‘기술적 의사 결정’이라고 부르는 것은, 의사 결정이 과학 기술과 정치적 영역이 겹친다는 것을 의미함. 


236

- 콜린스와 에반스의 초기 주장: 전통적인 과학학은 이 문제를 탐구했으나 지적으로 완전히 만족할만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함.

- 저자들이 지적하는 바

• (i) 학적인 불편과 정치적 불편에 대한 기반이 있는 이유

• (ii) 그 작업이 갈 만한 방향


236

두 저자는 SEE(Studies of Expertise and Experience)를 시작할 필요성이 있다고 함.


236

- 과학지식사회학의 기여: “과학자들은 참에 대한 특별한 접근을 하므로 믿어라”가 믿기 어렵다는 점

- 저자들의 질문: “과학자와 기술자들이 참에 특별한 접근을 하는 것이 더 이상 명백하지 않다면, 왜 그들의 조언에 특별히 가치를 부여해야 하는가?”

• 저자들은 이 답변이 참 대신 전문지식에 의존하므로, 참을 다루듯 전문지식를 다루어야 한다고 함.

• 전문지식을 ‘real’로 다루고 발전을 ‘전문지식에 대한 규범적 이론’으로 다룸


237

- 저자들은 ‘적법성의 문제(the Problem of Legitimacy)’와 ‘확장의 문제(the Problem of Extension)’ 사이의 긴장이 있음을 지적하고자 함.

• 과학학이 기술적 의사 결정의 기반을 보여줌으로써 전자를 해결했지만, 후자를 해결하는 데 실패함

- 우리의 문제는 학술적인 것임. 전문지식의 확장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찾는 것

• 그러한 확장을 정당화하려면 그 한계가 어디에 있는지 보여주어야 함.



    1.1. Painting Waves with a Broad Brush


237

저자들의 프로젝트는 역사적인 것에 대한 것이 아니라 그러한 발상들을 넓게 정리하여 스케치하는 것


237

과학학의 첫 번째 물결은 확장의 문제를 가지지 않았고 적법성의 문제를 의식하지 못했음.

이는 왜 두 번째 물결이 적법성의 문제를 잘 해결하는지, 이것이 왜 확장의 문제로 교체되었는지 보여줌

저자들은 세 번째 물결이 적법성의 문제에 대한 두 번째 물결의 해결책을 받아들일 것이지만, 여전히 기술적 의사 결정에 대한 ‘전문지식들에 의해 기술적으로 자격을 부여받은’ 기여자들의 집단에 대한 경계를 그린다는 것을 제안함.


238

저자들은 전문지식에 대한 규범적 이론을 만들 것이며 이는 기술적 의사 결정에 대한 의미를 만들 것임.



    1.2. Language and Presentation


238

‘경험-기반 전문가’(experience-based experts): 학위나 자격들의 의해 인정되지 않은 경험 덕에 특별한 기술적 전문지식을 가진 사람

‘경험-기반 전문가’라는 용어는 확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것임


238

논문 뒤쪽에 있는 Appendix와 Note를 참고하라는 내용



  2. Three Waves of Social Studies of Science


    2.1. The First Wave of Science Studies


239

- 1950년대와 1960년대 사회적 분석은 과학의 성공을 분석하는 자신들의 기초를 의심하기보다는, 과학의 성공을 이해하고 설명하고 강화함

이 시기, 사회과학자나 대중들이나 똑같이, 과학적 훈련은 어떤 사람을 어떤 분야에서 권위를 가지게 한다고 봄.

과학자들은 과학 기술을 포함하는 의사 결정이 top down이 아니라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라는 생각을 못 받아들임.

콜린스와 에반스는 이를 실증주의의 물결이라고 함

- 1960년대 쿤이 등장

- 1970년대 끝 무렵, 학문적 운동으로서 실증주의의 물결은 마감



    2.2. The Second Wave of Science Studies


239

- 두 번째 물결은 1970년대 초부터 지금까지 이어지는 ‘사회 구성주의’

사회 구성주의는 많은 딱지가 붙음

- 중요한 variant 중 하나는 과학지식사회학(SSK)

과학 기술적 논쟁을 종결하는 ‘과학 외적 요소들’을 이끌어냄. 과학적 방법, 실험, 관찰, 이론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

과학을 사회적 활동으로 재개념화하면서, 사회 제도 안에서 과학적 지식을 사용하는 것에 초점을 맞춤

그러나 과학의 ‘사회적 구성’에 대한 강조는, 전문지식을 논의할 때 ‘전문가’라는 꼬리표(label)가 귀속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고 제도들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적법한 전문지식의 지위에 초점을 맞추는 것


239

- 과학적 지식이 다른 형태의 지식과 비슷함을 강조함으로써, 사회학자들은 과학적 지식을 다르게 만드는 것에 대해 불확실해짐

거의 동일한 방법으로, 전문가와 비-전문가를 구분할 수 없게 됨

지식사회학자들은 그들 분야에서 전문가로서의 자신들의 지위를 주장할 준비가 되어야 함.

지식(knowledge)과 전문지식(expertise)을 분석 범주로서 사용하는 ‘지식 과학’을 발전시킬 준비를 해야 함.

세 번째 물결인 SEE는 이러한 한 접근임



    2.3. Downstream to Upstream


240

- 저자들은 전문지식에 대한 규범적 이론과 두 번째 물결에서 성취한 것의 양립가능성을 주장함.

- 두 번째 물결을 첫 번째 물결의 파산을 의미했지만 세 번째 물결은 두 번째 물결의 파산을 의미하지 않음

• 세 번째 물결은 두 번째 물결에서 정합적으로 다루지 못한 것을 다루게 하는 것.

• 상대주의의 벽에 못을 박지만 벽이 산산조각 나지 않게 정교하게 하는 것.


240

세 번째 물결은 공적 영역에서 전문지식의 역학에 대한 기술적인 것보다는 규범적인(prescriptive) 진술들


240

- 전문지식에 대한 규범적인 이론으로 이동하는 것은, 이 논문에서 저자들이 주장한 것과 양립하지 않는 것으로 보임.

• 논평자들은 이 논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문가들’이 ‘먼지가 가라앉은 다음에야, 누구의 주장이 설득력 있는 것인지 명확해진 다음에야’ 구분될 수 있다고 함.

• 누가 전문가, 행위자 또는 분석자를 정의하는가는 중요하지 않고, 누가 전문가인지를 정의하는 것은 항상 lay dawnstream이라고 함.

- 저자들은 ‘실험자의 회귀’에 빗대어 ‘전문가의 회귀’라는 이름을 붙임

• 실험자의 회귀 때문에 실험이 통찰(hindsight)과 동일시될 수 있을 것처럼 전문가의 회귀도 그렇다고 함.

• 문제는 실험자의 회귀가 과학적 논쟁에서 긍정적인 도움이 되는 것과 달리, 공적 영역에서 기술적 의사 결정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전문가의 회귀가 그만큼 긍정적인 도움이 안 된다는 것

- 그러나 공적인 관심사에 대한 결정은 과학 기술적인 영역이 아니라 정치적 영역에서의 시간표에 따라 이루어져야 하며, 이 결정은 과학적 논쟁이 끝나기 전에 결정되어야 함.

• 왜냐하면 정치학의 걸음은 과학적 합의의 형식의 걸음보다 빠르므로.

• 그러므로, 정치적 의사 결정자는 먼지가 쌓이기 전에 전문가 집단을 정의해야 한다는 압력을 계속 받는다. - 역사가 만들어지기 전까지

- 저자들이 주장: 과학지식사회학자들도 역사를 성찰하는 것만큼이나 역사를 만들 의무가 있을 수 있다는 것


241

이 딜레마는 새로운 것이 아니라 두 번째 물결 내내 나타난 것

콜린스는 인공지능에 관한 논의를 하는데, 이는 논쟁을 성찰하는 것이 아니라 지식에 대한 지식을 사용하여 논쟁의 active part를 하는 것임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저자들이 하는 것은 ‘downstream work’보다는 ‘upstream work’


241

두 번째 물결의 직관을 무시하지 않고 상류 작업 하는 것은 어느 정도 활동의 구획화(compartmentalization)를 포함할 것

그러나 구획화는 마비의 고통에서 벗어나기만 할 것임

두 번째 물결에서 실험적 기술과 다른 기술들은 ‘상류’ 범주로 항상 사용되어옴


241

- 두 번째 물결이 다루는 문제: “과학적 합의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 순환논증이 안 되려면 합의에 대한 어떠한 형식의 상대주의

- 세 번째 물결이 다루는 문제: “절대적인 과학적 합의가 있기 전에 어떻게 과학적 지식에 근거하여 의사결정 하는가?”

- 두 문제는 다르므로 세 번째 물결은 두 번째 물결을 교체하지 않음

- 세 번째 물결에 상대주의에 더하여 필요한 것은?

• 한 가지 접근: 정치적, 법적 영역 등에서 과학이 적법성을 부여받는 방법을 찾는 것

• 반박: 과학적 지식이 어떤 지식이라서 과학이 적법성을 받아야 하는 것이 탐구하는 것

- 여기는 적법성이 순환할 위험이 있음.


 

  3. Core-Sets, Core-Groups, and their Settings


242

- 문제는 공적 영역에서의 과학 기술에 관한 것이지만, 저자들은 비교적 과학에서 시작함.

• 비교적 과학(esoteric science)에서 벗어나 공적 영역의 과학(public-domain sciences)에 도달하는 것.


242

- 핵심 세트(core-set): 과학적 논쟁에 관한 실험이나 이론과에 깊게 관여된 과학자들

• 핵심 세트의 수는 적음. 6-12명

- 핵심 집단(core-group): 논쟁 이후에 모든 실천적 이유 때문에 등장하는 연대적인 과학자들.

• 과학이 비교적이라면, 합의 형성에 적법하게 기여할 수 있는 사람은 핵심 세트이나 핵심 집단(이하 ‘핵심 과학자들’)뿐임 

- 핵심 집단의 경계를 정의하는 쉽지 않은 문제

그렇지만, 중력파 탐지 같은 과학적 논쟁들을 비교적인 것으로 받아들인다면, 굉장한 도구나 특별한 이론적 지식을 가진 물리학자는 과학 지식 그 자체의 측면에서 의사결정자의 집단의 구성원이 아님.

과학자들이 이러한 비교적 문제들에 대한 특별한 권리를 가진다고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이 있지만, 여기서 저자들은 과학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생각하듯, 그리고 서구 과학자 공동체의 기여자들이 그러하듯, “우리는 과학자들이 그러한 권리를 가진다”고 말하고자 함.

정치학자들이 과학에서의 비교적 쟁점들을 설정하는 과학 공동체의 권리를 해체하려 한다면, 저자들은 그들과 싸울 것이라고 함.


243

- Tracy Emin’s unmade bed: “훈련받지 않고 적절하게 전시장에 가지 않은 사람이 판단하는 데 ‘능숙한’ 사람은 없다, 그런 사람들이 예술을 판단할 수만 있다는 결론(예술은 못하는데 판단만은 함)을 도출할 수 있는가?”

- 침대에 관한 문제: 침대에 관하여, 좁은 범위의 사람들만 그러한 판단에 능숙하다는 결론은 예술작업의 질에 관한 실재론적 가정을 할 때만 가능하다는 것.

과학에도 이것이 적용?


243

- 이러한 비평은 두 번째 물결에 대해서 옳음

그러나 이는 우리가 상류 작업을 하기 원한다면 피할 수 없음

지식에 대한 ‘포스트-모더니스트’적 접근에서 따라나오는 것은 다원적 실재들 사이에서 판단을 내리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아니라, 때때로 무시간적 지적 정당화 없이 판단을 내려야 한다는 것.



    3.1. Science and Art


243

- 비밀스러운 과학의 경우, 핵심 집단에 대한 판단자들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침대의 경우에서, 훈련받고 적절히 전시장을 한 사람들로 판단자들의 범위를 제한다는 것과 동등함.

• 판단의 적절한 집단은 예술가가 아니라 비평가이며, 이는 ‘기여적 전문지식’이라기보다는 ‘상호작용적 전문지식’

- 그러나 저자들은 예술과 과학이 다르다고 함.

• 예술의 최종점은 경험하는 것이고 그래서 비평가

• 과학은 최종 소비자가 불분명하고 과학에 관한 해석 권리가 청자에게 있는지 불분명

• 예술과 과학을 비유하는 것은 좋은 비유가 아님



    3.2. Politics is Intrinsic to Esoteric Science, not Extrinsic


244

사실에서 당위를 얻는 것은 어렵고 저자들의 규범적 진술은 특정한 삶의 형식과 그것의 귀결에 대한 선호에 기반함.

그 선호와 선호의 귀결은 예술의 경우가 필연적으로 같지는 않다는 것

비밀스러운 과학의 자기 증거적 본성을 일반적으로 인정하므로, 사회의 다른 요소들에 의한 기술적 의사 결정에 대한 기여들의 중요성을 이해하려고 함. 그러려면 어떤 과학을 다룰지 알아야 함.

- 저자들의 분석 전략: 비밀스러운 과학과 다른 과학들 사이의 체계적인 차이점들을 끄집어내서 핵심 집단들부터 시작하는 것


244

어떤 사람은 핵심 집단을 ‘목표물 다이어그램’의 과녁의 정중앙이라고 표상할 수 있음



244

[그림1]에서 ‘과녁의 정중앙’은 핵심 집단, 그 다음 원에 과학자 공동체, 그 다음 원에 일반 대중.


244

비밀스러운 과학에서 과학적 선점과 핵심 과학자들의 배타성을 강조하는 것은 두 번째 물결의 분석에 줄지어 들어가는 것(??)

과학지식사회학에서 정치학은 핵심에서 빠지지 않음

‘big-P’는 과학자 공동체의 정치학

....

“물리학자가 다루는 기구나 이론적 지식을 모르는 사람은 의사 결정 집단의 구성원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간주되지 말아야 하는가?”


245

- 답: 그 의사결정과 관련된 정치적 영향을 처리하는 것은 비밀스러운 의사 결정 집단임

스티븐 섀핀이 보여주는 예: 골상학

....

섀핀의 연구와 그와 비슷한 연구가 보여주는 것은 이러한 종류의 정치가 과학에 영향을 주지만 과학적 의사결정에 적법성을 부여하지 않는다고

정치가 과학에 ‘내재적’이지만 ‘외재적’인 정치적 영향을 정당화하지 않음을 과학지식사회학이 보여주었다고 할 수도 있음


246

과학기식사회학 식의 연구는 과학에서 견해의 형식에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드러낸 반면, 그러한 영향들을 적법화하지 못함

비밀스러운 과학에서 외재적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항상 노력함

적어도 저자들은 Problem of Extension에 어떻게 개입할지 보여주었음. 전문가 논의에 대한 비-전문가들의 영향을 강조하기는 했지만.



    3.3. Beyond the Core


246

- 과학지식사회학: “거리는 매력을 느끼게 한다.”

핵심 과학자들이 계속 논쟁에서 반대 논변에 노출되고 완전히 확실한 결론에 천천히 도달함

과학 공동체의 비-전문가들이 과학적 문제에 관한 가장 큰 확실성에 도달함


246-247

- 논쟁이 핵심 집단에서 끝나기 전에 더 넓은 공동체에서 끝나는 이유

- 이유(1): 아웃사이더들은 핵심 과학자들보다 쉽게 확실성에 도달함.

• 아웃사이더들은 요약된 것을 통해서 과학의 중심에 가는 법을 알기 때문

• 예) 동료들과의 대화, 과학 학술지, 과학 매체, 방송 매체 등

• 요약된 source는 밀도 있고 단순하고, 핵심 집단에 있는 사람들은 풍부한 논쟁에 노출됨.

• 이 때문에 과학적 논쟁들은 더 넓은 공동체에서 그 문제가 정착된 뒤에도 오래 남음

- 이유(2): 과학 지식의 소비자들은 생산자와 반대로 작은 불확실성이 필요 없음

• 행위에 관한 결정은 양자택일 

• 예) 세금을 부과한다 안 한다 등



247

- [그림2]에서 세로는 불확실성, 가로(왼쪽에서 오른쪽)는 시간의 흐름

• 핵심 집단에서 일어나는 과정은 좁아지는 삼각형

• 확실성에 끝에 도달하지 않지만 불확실성이 줄어듦

- [그림3]은 더 넓은 과학 공동체에 직사각형이 다시 소개된 것

• 확실성의 정점이 핵심 집단에 추가되지만 이는 핵심 집단이 아니라 더 넓은 과학 공동체가 추가한 것

• 점선에서 실선으로의 변화: 더 넓을 과학자 공동체가 과학의 결과물을 지각하는 데서 일정 부분 역할을 하기 시작할 때.

 


247

- [그림4]는 일반 대중을 소개함

• 논쟁적인 비밀스러운 과학에서, 대중은 논쟁의 진행을 보기만 함

• 과학이 일반화되면 확실성의 정점은 공적 속성이 됨.

• 과학의 다음 세대에도 교과서를 통해 이러한 확실성이 소개됨

- 그림1부터 그림4까지의 과정은 과학의 본성과 과학사가 어떻게 신화가 되었는지 보여줌.

• 그 과정의 노출과 탐색은 두 번째 물결의 주된 부분

• 핵심 집단에서 합의하기 전에 대중에게 공개되면 과학에 데미지

- [그림5]

• 점선은 미래의 영역, 대중은 왼쪽의 실선에서 핵심 집단의 왼쪽 끝을 봄

• 이는 왜 과학자들이 자신들의 작업을 사적으로 유지하는지를 설명함


248

- 1970년대 사회학자들은 “breaching experiments”로서의 과학적 논쟁들을 연구하기 시작함

핵심 집단의 왼쪽 끝이 대중적으로 노출되었을 때 이것은 breaching experiments이고 모든 사람에게 가시적인 것; 모든 사람이 과학적 열매의 부드러운 속살을 보게 됨

breaching experiments는 과학자들이 자신들의 기술적 논증을 결론으로 이끌기 위해 일상적 추론(ordinary reasoning)에 의존한다는 점과 이것이 과학과 나머지 우리의 격차를 줄인다는 것을 보여줌.



    3.4. The Third Wave of Science Studies?


249

과학학의 세 번째 물결인 SEE는 전문지식의 규범 이론에 의존함



249-250

- [그림 6]에서 타원의 위쪽 절반은 핵심 집단들을 포함함

• 더 넓은 과학 공동체는 의사 결정 과정에서 더 이상 특별한 역할을 하지 않음

• 과학 공동체는 전체적으로 시민들과 구분 불가능해야 하는 것으로 보임

- [그림 6]에서 작은 직사각형은 경험에 기반한 전문가들을 표상함

• 경험에 기반한 전문가들은 핵심 집단에 개입함

• 이것이 세 번째 물결이 두 번째 물결과 다른 점

아래 타원반구는 이미 이야기함.

- 위 타원반구는 시민들 사이에 전문지식의 주머니들(pockets of expertise)이 존재하는 덕분에 생겨남

정치적 영역이라기보다는 기술적 영역의 속성을 기술하는 것

두 번째 물결에서는 정치적 영역에서 전문지식의 종류가 혼동되기 쉬움. 과학적 전문지식과 정치적 권리의 구분이 힘듦.

첫 번째 물결에서 과학 공동체에 모든 전문지식이 위치됨.



250

- [그림7]은 과학학의 이상화된 세 물결에서 개념화된 전문지식의 위치를 보여줌.

• 첫 번째 물결에서 가로선은 전문적인 과학 공동체와 일반인(laity)을 나눔.

• 두 번째 물결에서 선이 없음.

• 세 번째 물결에서 세로선은 specialist experts와 non-specialist를 나눔.



  4. The Nature of Expertise


251

전문가를 분류하는 것은 [그림6]에서 기술적 영역에 있는 직사각형 상자를 이해하는 것과 [그림7]에서 일반 대중에게 있는 이상한 모양의 전문지식 주머니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됨.

 


    4.1. Experience and Expertise


251

어떤 종류의 전문지식이 구체화(reification)의 후보가 되는가?


 

252

터너(Stephen Turner)는 전문지식을 다섯 가지 종류로 구분함

(소비자들에게서 적법성을 획득하는 방식으로)

유형(1): 

유형(2): 


252

이 논문의 관심사는 유형(1)의 전문지식에 관한 것

유형(1)이 전문지식이라는 것을 어떻게 정당화하는가?

이는 과학기술사회학에서 상류 작업에서 미해결 문제

저자들은 ‘기여적 전문지식’(contributory expertise)라고 부르는 것

핵심 집단의 전문지식과 연속적인 전문지식

점성술과 신학은 방사 생태학(radiation ecology)과 비-연속적이지만 양을 기르는 목자의 전문지식은 연속적


252

의사 결정의 적법한 기여자의 경계를 그릴 때 경험에 대한 두 가지 판단이 논리적 귀결로 따라 나옴

분야의 본성(사람들이 동의하는 or 비주류)과 전문적 실행자 여부

[그림8]에서 과학지식사회학에서 정당화하려는 게 상자1

두 번째 물결에서는 자격 있는 과학자와 경험 많은 실행자를 구분하기 힘들다고 함

 


253

한 번 더 요약하자면, 저자들이 다루는 것은 전문지식의 유형

터너가 유형(1)이라고 한 저자들의 분류는 터너가 한 것과 다름



    4.2. Three Types of Expertise


254

능숙함과 전문지식을 구별하는 수많은 방법

저자들은 과학지식사회학에서 시작함


254

- 과학지식사회학이 마주하는 문제

• 과학지식사회학 현장연구자들은 자기가 모르는 분야에 들어가서 사회학적 분석을 함

• 그들은 능숙한 참여자가 거의 안 됨

- 콜린스와 에반스는 전문지식의 세 단계를 구분함

• (1) 비-전문지식(No Expertise): fieldworker가 착수하는 수준의 전문지식. 사회학적 분석에 충분하지 않음.

• (2) 상호작용적 전문지식(Interactional Expertise): 참여자가 해당 분야 연구자와 충분히 상호작용할 수 있고 사회학적 분석을 수행함

• (3) 기여적 전문지식(Contributory Expertise): 분석하는 분야에 도움이 되는 전문지식

- 저자들이 제안하는 단계는 행위자의 범주로서 전문지식만큼 분석자의 범주로서 전문지식


255

- 경계 문제가 있을 것이지만, 경계 문제가 있어도 작업 착수에 문제가 없음

• 예) 브라이언 윈의 연구

• 체르노빌 참사 이후 방사능에 오염된 Cumbrian에서 목양농민들이 lay expertise를 가지는 것.


255

- 농부가 양의 생태를 더 잘 알아서, 농부의 지역적인 경험이 방사능 노출에 대한 핵심 집단에 속함

- 그러나 과학자들은 농부들의 조언을 받기를 주저함.

지금은 농부들이 과학에 지여해서 농부들은 과학자들과 대칭적 대화에 참여하려 하지 않음

무엇이 전문지식이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고 사회적 위치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지적

여기서 따라나오는 규범적 핵심은 과학자와 농부가 가진 분리된 기여적 전문지식이 결합된 것

과학자들의 전문지식은 농부들의 전문지식으로 대체되지 않고 농부의 지식이 더해진 것

대칭적이지 않아서 임의성이 문제가 안 됨

과학자들이 농부들의 전문지식을 흡수하려면 상호작용적 전문지식을 가져야 하는데 그러한 전문지식을 발전시키기를 주저함


논제(1): 전문가들 중 한 집단만이 다른 전문가 집단의 전문지식에서 상호작용적 능숙함(interactional competence)을 필요로 한다. 기여적 전문지식의 결합이 발생하기 위해서


논제(2): 이러한 경우, 상호작용적 전문지식을 가지는 분파(party)만이 전문지식들을 결합하는 것에 대한 책임을 질 수 있다.


논제(3): 이러한 환경에서 다른 분파와 관련된 상호작용적 전문지식이 없는 분파는 충분한 상호작용적 전문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표상되어야 한다. 


논제(3)의 제안: 브라이언 윈 같은 그린피스 과학자들이 농부들의 관심사를 매개했다면, 농부들은 과학자들을 잘 다루었을 수 있다.



    4.3. Referred Expertise


257

- 세 번째 범주는 “연관된 전문지식(Referred Expertise)”

허리 부상의 결과로서 다리에 ‘연관통(referred pain)’이 있듯, 그것은 ‘연관된 전문지식(referred expertise)’

연관된 기여적 전문지식을 가진 과학 프로젝트의 관리자들이 (더 많은 권한과 적법성을 가지고) 관리하는 것을 기대하는 것은 꽤 합리적



    4.4. Translation


257

- 기술적인 판단을 내릴 때 필요한 두 가지 능력

- 능력(1): 번역 능력


- 논제(4): 번역에 대한 충분 조건은 아닌 필요 조건은 번역된 각 분야에서 상호작용적 전문지식이 달성된 것


번역자가 하나 이상 기여적 전문지식을 지녀도 기여적 전문지식은 번역의 필요조건이 아님.


 


    4.5. Discrimination


258

- 번역에 필요한 두 번째 능력: 식별 능력(ability to discriminate)

- 사회적 행위자들은 과학적 지식이 아닌 것에 기반한 지식-주장들 사이에서 판단을 때때로 내림.

• 그 견해의 저자는 적절한 사회적 네트워크에 있는가?

• 그 경험을 믿게 할 적절한 경험을 했는가?

전문가에 대한 개인적 태도는 이는 사회적 지식에 기반한 것이고 이차적인 것에 초점

: 과거에 틀린 주장을 했는가 등등


258

식별 개념이 작동하려면, 전문가와 대중의 구분 이상이 필요함

사회의 대부분 구성원은 과학으로 간주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식별함

이것은 ubiquitous judgement

점성술이 유형(1)의 전문지식과 겹치지 않음을 구성원들이 앎


259

상온 핵융합(cold fusion)의 예


259

상온 핵융합과 컴프리아 목양농을 대조해보자.

컴브리아 목양농은 기여적 전문지식을 가지면서도 식별도 함.

여러 해 동안 party들 사이에서 논쟁이 일어남.

농부들은 경험을 통해 다른 집단보다 어떤 기관이 더 의문스럽다는 것을 식별함

(참고에 local과 ubiquitous 식별의 등가성이 있다는 브라이언 윈의 논의 있음)



    4.6. The Lack of Expertise of the Wider Scientific Community


259

과거의 실수는, 더 넓은 과학자 공동체에서 연관된 전문지식(referred expertise)의 중요성을 과장한 것

첫 번째 물결

두 번째 물결


260

[그림7]에 나온 대로 세 번째 물결을 평가해본다면, 다르게 볼 수 있음.

다이어그램에서 핵심 과학자들과 동료 과학자들의 차이점은? 중요하지 않음!

핵심 과학자들은 관련된 문제를 다루는 사람들을 포함함


260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핵심 세트와 그렇지 않은 집단의 차이는 비형식적임

비형식성(비밀스러운 집단의 구성원이 경험에 기반함)은 자격증 있는 전문가들과 경험에 기반한 전문가들의 경계를 녹이는 해체하는 것을 제공함

요약하자면, [그림7]에서 세 번째 물결은 구분선이 세로로 지남.

왜냐하면 구분선들은 모든 전문가들을 자격증과 상관없이 유관한 경험으로 구분함.

[그림7]에서 첫 번째 물결에서 구분선은 가로로 지남. 과학적 자격을 가지고 


 

  5. Case Studies


    5.1. Increasing Interaction

        : Cumbrian Sheep and AIDS Treatment in San Francisco


261

목양농부는 MAFF 과학자들의 전문지식을 보완하는 기여적 전문지식을 가짐. 경험을 통해 낙진과 양에 관한 생태학을 안 것임.

농부들은 상호작용적 전문지식을 가지지 못해서 영향을 못 줌.


261

브라이언 윈의 연구가 보여준 것은 전문가가 한 집단이 아니라 두 집단이라는 것이고 두 집단이 각각 무엇인가를 기여했다는 것

농부들의 지식은 과학자에게는 비밀스러운 것이므로 농부들은 lay가 아님

전문가와 대중의 상호작용이 아니고 두 전문가 집단이라는 것


261

정치적 권리와 전문지식은 다름 (밤새 전달한다고 해서 넘길 수 있고 그런 것이 아니라는 말)

예) 금융가와 농부 



261

[그림9]에서 기술적 의사 결정에서 정치적 기여와 기술적 기여의 차이점을 구분함

첫 번째 두 줄은 이미 논의, 두 번째 두 줄은 새로 도입


261

첫 번째 두 줄은 정치가 기술적 의사 결정 과정의 두 측면에 들어오는 방식이 다르다는 것

정치적 영역에서 쉽게 보이고 과학적 결정의 외재적인 특징으로 다루어짐

에딘버러의 골상학 사례에서, 정치는 기술적인 측면에 내재적으로 들어옴


262

두 번째 줄이 나타내는 것

기술적 의사 결정에 기여하는 사람은 땅 주인(이해당사자의 권리)이지 농부와 과학자(기술적인 측면의 이점)가 아니라는 것


262

세 번째 줄은

이해당사자의 기여는 설문조사나 투표 등으로 표상될 수 있는 반면, 기술적 기여는 ...


262

네 번째 줄은 세 번째 줄의 귀결

이해당사자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대리인을 지정할 수 있지만, 그 대리인이 그 사람의 기술을 대리할 수는 없다.


262

저자들의 주장은 목양농민의 조언은 포스트-체르노빌 논의의 일부분이 되어야 한다는 것


262

샌 프란시스코의 게이 공동체의 에이즈 치료 논쟁은 비-자격 전문가들이 전문가적 핵으로 들어가는 데 성공한 사례

이들은 상호작용적 전문지식을 얻은 뒤에야, 즉 관련된 과학의 언어를 배운 뒤에야 그렇게 됨

[그림 6]에서 dashed-line의 연결은 에이즈 활동가들이 기여를 한 곳에 있음,

그러나 그들은 실선 연결로 표상되기 전까지 그런 기여를 못함.



    5.2. Decreasing Interaction: Crashing Fuel Flasks and Aircraft


263

두 번째 물결은 전문가와 대중이 모두 같은 방향으로 민다고 생각함: 적법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중들의 참여를 늘리는 것

세 번째 물결에서는 대중이 반대 방향으로 갈 수 있다는 것. 참여를 줄일 수 있었다는 것 왜냐하면 그들의 전문지식이 기여하기에 충분하지 않아서.


263

1984년 영국중앙발전국(CEGB)에서 사용후 핵연료를 기차로 운반하는 안전성을 결정하기 위한 증명을 결정함

1984년에 에드워드 공군 기지(Edwards Air Force Base)에서 NASA와 FAA는 더미 승객 75개와 AMK를 가득 실은 비행기를 일부러 추락시킴

AMK는 다른 항공 연료와 달리 화재 위험이 적음


263

두 사례에서, 대중은 증명의 과학적 과정의 중심에 옮겨짐

텔레비전으로 중계됨

대중은 플라스크가 안 깨진 것과 비행기가 완전히 파괴된 것을 봄


263

그러므로 다른 전문가들에 따르면, 열차 충돌은 운송 방법의 안전성을 함축하는 것이 아님. 왜냐하면 그 시험의 특정한 특징은 전문가의 눈에만 분명하게 보이므로.

AMK는 중계에서 보여준 것이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함축하지 않음. 의도한 것보다 더 심각하게 충돌했지만, 화재가 나지 않은 기름이 남아있었고 등등. 


264

대중의 비-전문가 구성원을 판단자로 포함하는 것은, 적절한 전문가가 분석하기 전에 논쟁이 종결됨을 의미함.



    5.3. Understanding Interaction: The Magicians and Benveniste


264

자격증 없는 전문가가 과학자들의 핵심 집단으로 이동하는 것은 거의 없음

(사례 등장)


264

다행히, 환경이 적절하면, 전문가주의는 경험에 기반한 전문가들을 과학적 의사결정의 핵심으로 포함하는 데 장벽이 되지 않음을 다른 예가 보여줌.

상온 핵융합에서는 핵심 구성원이 아닌 과학 공동체의 구성원들의 극심한 반발

초-심리학의 사례에서는 stage magicians이 과학의 적절성을 보여주고 그 작업은 상 탄 범위만큼 인정받음


265

stage magician 현상을 보는 두 가지 시각

하나는 이것이 적절한 과학에서 벗어난 것으로 설명하고 정치적 편의로 설명하는 것


265

다른 하나는, pockets of specialist expertise로 설명하는 것

마술사를 이용할 때 과학자들은 specialist지만 경험에 기반한 전문지식에 도달함

여기서 전문지식은 사기로 의심되는 특정한 응용



  6. Different Types of Science and Technology


265

지금까지 전문지식들 사이의 차이만 있고 과학 유형들 사이의 차이는 없었음.

그러나, 세 번째 물결에서는 과학의 범주도 ......


    6.1. Integral Public Expertise in Public-Use Technologies

        : Cars, Bicycles, Personal Computers


266

- 최종 사용자가 대중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자동차, 자전거, 컴퓨터 등의 기술들을 생각해보자.

- 이 경우 적어도 두 가지의 경험에 기반한 전문지식이 관련됨

• (1) 컴퓨터광 같은 좁은 specialist 전문지식

• (2) 

- 그러나 여기에도 정치적인 차원이 여전히 있음.

• 예) 자동차 설계



    6.2. Integral Public Expertise in Local-Interest Technologies: Planning


266

계획 과정에서, ‘local’ 지식은 특정 사회 집단에 특정한 전문지식을 전달하는 것으로 보임


267

계획할 때 지역적 지식은 일종의 전문지식. 왜냐하면 지역 주민은 지역 환경의 오래된 지식을 가진다고 할 수 있기 때문.

그러나 지역적 지식은 조심스럽게 사용해야 함. 지역적 경험은 부분적이라서.

예) 광산 채굴이나 폐기물 처리의 사례에서, 지역 주민들은 발전의 불이익에 대해 부적절한 이해를 할 가능성


267

실제로, 전문지식과 정치를 분석적으로 구분하는 것은 여전히 쉬움

광산 채굴 등의 사례에서 지역적 전문지식은 지역에 업체가 들어오는 것에 안 좋은 영향

그러나 정치적 이해관계는 양면적이며 계급선을 나눔

예) 채석장은 지역 부동산 가격에 악영향, 고용 등에 좋은 영향

높은 사회 계급에게는 전문지식과 정치적 이해가 일치하지만 저소득층에게는 반대 방향으로 작용함.

그래서, 지역적 의사 결정에서도, 정치적 고려와 기술적 고려를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고 유용함.



    6.3. Esoteric and Controversial Sciences


267

- 이제 과학에 초점

- 과학을 네 가지 종류로 구분

• 정상 과학(normal science)

• 골렘 과학(Golem science)

• 역사적 과학(historical science)

• 성찰적인 역사적 과학(reflexive historical science)


267

정상 과학의 특징


268

골렘 과학의 특징: 골렘 과학은 정상 과학이 될 잠재력을 가진 과학이지만 아직 핵심 집단의 만족에 도달하지 못함

[그림 5]

GMO, 광우병 


 

268

역사적 과학은 예측 가능한 미래에 핵심 집단의 논쟁이 종결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없는 과학

실험보다 역사와 관련

예) 지구온난화, GMO의 


268

reflexive historical science은 잠재적인 불확실성이 더 큼

예) 지구 온난화에 대한 과학도 reflexive함


269

환경적 결정을 내려야만 할 때, 

골렘 과학과 역사적 과학은 몇몇 방식에서 비슷, 몇몇 방식에서 차이

과학적 투입이 불확실하다는 점에서 비슷

그러나 골렘 과학은 결국은 정상 과학의 과정을 거쳐서 확실성에 도달하지만, 역사적 과학은 그렇지 않음.

reflexive historical science는 사회적 규제나 문화적 규제 없이 확실성에 도달할 수 없음.


 


  7. Conclusion


269

- 저자들의 주장: 

• 과학학이 과학과 사회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많은 기여를 했지만 해야 할 것이 더 많음.

• 과학학의 두 번째 물결은 공적 영역에서 과학이 기술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없는 여러 방식을 보여줌.

• 특히, 정치적 의사 결정이 과학적 합의 형식의 속도보다 빠름.

- 두 번째 물결의 두드러진 주제는 Problem of Legitimacy를 해결하기 위한 적법한 기술적 결정의 필요성

- 첫 번째 물결의 지적으로 지지될 수 없고 하향식이고 권위적인 모형은 의사 결정에 적법성을 부여하지 못함

- 그렇다고 전문지식과 민주주의의 구분을 없애는 것은 Problem of Extension의 문제를 만듦

- 저자들은 전문지식을 의사 결정 과정에 반영해야 하지만 첫 번째 물결 방식은 아니어야 한다고 함. Problem of Extension를 해결하면서 Problem of Legitimacy를 다시 발생시키지 않으려면 비-전문적 출처에서 발생하는 전문지식을 인식하고 사용하는 데 의존해야 한다고 함. 이것이 전문지식의 규범 이론을 발전시키는 데 필요함.

- 두 번째 물결은 매우 성공적이었고 지식을 해체하는 데 성공적. 세 번째 물결은 두 번째 물결을 무시하지 않으면서 지식을 재구성하는 것


270

저자들은 과학/사회 관계를 이해하는 데 과학학이 기여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다이어그램들을 사용함

다이어그램: 의사 결정권은 정치적 영역에서 등장하여 전문지식에서 성장함을 보여줌

저자들은 정치적 영역과 전문지식의 영역이라는 구분을 되살림. 그러나 그 경계를 다른 곳에서 찾음

그 경계는 professional accredited experts의 집단과 나머지가 아니라 specialists의 집단과 나머지에 있음. 전문가들의 핵심 집단과 일반적인 과학자를 구분하는 것은 쉽지만, 그 핵심은 특별한 전문적 자격을 유지하지 않음

- 이러한 구분이 작동하려면, 비밀스러운 과학과 자동차나 컴퓨터 같은 공적 기술들을 구분해야 함.


270

전문지식에 관한 규범 이론은 두 번째 물결의 통찰이나 프로그램을 포함함.

과학적 전문지식을 ‘상호작용적 전문지식’과 ‘기여적 전문지식’으로 구분함

연관된 전문지식(referred expertise)와 번역(translation)과 식별(discrimination) 개념을 소개함

local experience의 결과들로서 ubiquitous knowledge와 specialist knowledge를 구분함.

저자들은, 집단으로서의 과학자들은 공적 영역에서 기술적 의사 결정을 할 때 특별한 기여를 하지 않으며, 과학에 대한 공적인 방어가 있다면 그러한 방어들은 generalists로서의 과학자보다는 specialists로서의 과학자에 집중하는 것


270

저자들은 일련의 사례 연구를 통해 새로운 범주들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보여줌.

사례) 브라이언 윈이 연구한 Cumbrian sheep farmers


271

예) 스티븐 엡스타인이 연구한 에이즈 활동가들의 성공

예) 해리 콜린스가 연구한 crash demonstrations


271

마지막으로, 저자들은 이러한 종류의 분석들이 과학의 유형들과 관련된 차원들을 가진다고 함.

normal science, Golem science, historical science, reflexive historical science를 구분함.

공적 영역 과학에 대한 각 사례들은 전문지식의 조합을 요구함.

예) 양 사육 농가


271

- 전문지식의 낭만적이고 무절제한 확장이 가지는 위험성은, 대중이 틀릴 수 있다는 것

• 예) 배터리 첨가제인 AD-X2

• 예) 그린피스와 ‘Brent Spar’ oil platform

• 예) Laertile를 지지하는 캠페인을 한 시민 집단

• 예) 미국에서 창조 과학을 배우게 해달라고 로비한 시민 집단

• 예) 영국에서 백신이 자폐증을 일으킨다고 하는 

- 이러한 관찰들은 


271

이러한 작업은 다른 종류의 과학과 다른 종류의 문화적 전문지식들에서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다른 종류의 전문지식들을 어떻게 결합해야 하는가 생각하기 시작함

그 다음 단계는 공적 영역의 기술이 만들어지는 것을 판단할 때, 번역과 식별에 덧붙여 기여적 전문지식, 상호작용적 전문지식, 연관된 전문지식(referred expertise)에 어떻게 가중치를 부여할 것인가를 생각하는 것

이는 고전적인 문제이고, 우리들보다 학자들이 잘 함

  

272

공적 환멸(public disillusion)과 기술적 마비(technical paralysis)의 진퇴양난에 있음.


  

(2017.11.26.)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초등학교 셔틀버스의 전원주택 진입로 출입을 막다

전원주택 진입로에 깔린 콘크리트를 거의 다 제거했다. 제거하지 못한 부분은 예전에 도시가스관을 묻으면서 새로 포장한 부분인데, 이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몇 배 두꺼워서 뜯어내지 못했다. 그 부분을 빼고는 내 사유지에 깔린 콘크리트를 모두 제거했다.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