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5/07

[과학사] Toulmin (1992), Ch 3 “The Modern World View” 요약 정리 (미완성)

    

[ Steven Edelston Toulmin (1992), Cosmopolis: The Hidden Agenda of Modernity (Chicago), Ch 3 “The Modern World View,” pp. 89-137. ]
  
  
  1. Fashioning the New “Europe of Nations”
  2. 1660-1720: Leibniz Discovers Ecumenism
  3. 1660-1720 Newton and the New Cosmopolis
  4. 1720-1780 The Subtext of Modernity
  5. The Second Step Back from Rationalism
  
  
  1. Fashioning the New “Europe of Nations”
 
종교전쟁 동안 전문인층과 상인층 영향력 증대, 지주 귀족층 세력 약화, 새로운 사회구조와 유대관계 정립할 필요 생김.
 
논증의 “확실성"에 대한 꿈.
(신학의 양편이 주장하는 확실성보다 매력적)
반세기 동안의 대결이 “이성주의”를 더욱 매력적으로 보이게 만듦.

1650년 이래 민족국가들이 몰두한 과제는 종교적 통일과 관용
국가가 인정하지 않은 종교를 신봉하는 자들은 정치적・사회적 기회 박탈.
그러나 완전한 관용과 완전한 통일 사이에서 균형 모색.
 
국민국가를 단위로 새로운 체제가 정립되기 위해 새로운 사회 관계 필요.
→ 계급사회 형성
(특정 수준에 속한 사람들이 집단적으로 특정한 수평적 사회계급 형성)
 
16세기 왕권이 상속된 봉건영지의 법적 계승권이 아닌 한 국민이나 민족의 상징이라는 생각 등장.
사회적 안정 재정립
전-국민적 교회 형성.
 
1650년 이후, 새로운 “폴리스” 개념 정립 필요.
국민국가의 새로운 지배 원리 정립 필요.
 
 
  2. 1660-1720: Leibniz Discovers Ecumenism
 
보편교회(Ecumenism)

데카르트: 기독교의 신학적 분열이 세상사에 끼치는 해악을 이해할 필요가 있음.
종교적 분단을 초월할 수 있는 지식 제공이 그 방법.
이성적 방법이 확실성을 획득할 수 있는 길을 제공할 것.

라이프니츠: 언어와 문화의 차이가 문제.
누구나 배우고 이해할 수 있는 이상적 <언어> 필요.
수학적 상징체계에 기초한 보편언어가 유럽의 정치적 질병과 신학적 질병을 한꺼번에 치료할 것이라고 생각
“충족이유의 원리”에 의존한 최소한의 신앙체계 정립 시도. 실패.
 
새로운 도구를 사용하여 문화적 오해와 다양성을 극복하려던 라이프니츠의 계획은 왜곡된 이상.
어떤 도구를 “완성한다”는 것은 이 도구가 정의롭고 유익하고 합리적으로만 “사용된다"고 믿는 것과 별개의 것.
 
이성적 방법, 통합과학, 정확한 언어는 이성주의자들의 꿈.
새로운 과학은 수학적인 동시에 실험적일 것. 
데카르트와 뉴턴은 베이컨의 방법과 정신 거부, 기술이 아닌 신학의 편에서 <과학> 추구.
 

  3. 1660-1720 Newton and the New Cosmopolis
  
1660-1720. 
학자들에게 사회적 실천의 새로운 모형들을 위한 지적 헌신 요구. 
<폴리스>가 관심사. 
사회와 자연의 유비
자연의 질서라는 관념이 수학과 형식 논리학의 “체계들을 모델로 구성되었듯이, 사회 질서라는 관념도 같은 모형으로 구성될 수 있지 않을까?
사회란 작인들이나 제도들로 구성된 형식적 “체계"라는 생각은 근대 세계에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
 
근대적 세계관: 자연과 인간의 분리
데카르트와 뉴턴. 데카르트적인 이분법이 근대의 골격에서 다른 부분들을 연결. 두 영역의 예리한 구분은 근대적 세계관의 특징.
 
 
  4. 1720-1780 The Subtext of Modernity
 
1680년 말, “여러 조국들의 유럽의 미래가 드러남. 
“근대성의 비계”가 지식인 사이에서 폭넓은 지지 획득. 
How? 
사실 뉴턴주의는 소수 엘리트층이지지. 
physical mass로부터 자발적인 행동이나 운동 능력을 박탈하자는 제안은 human mass 즉, “낮은 신분으로부터 자율적인 행동과 사회적 독립의 능력을 박탈하자는 제안과 맞물려 있는 것. 
물질의 비-활동성 문제는 당시 사람들에게 불평등한 구질서로의 회귀하려는 복고 운동의 일환.
 
로크, 물질의 비-활동성을 당연하게 여기지 않음. “사고하는 물질”의 가능성 고려. 

30년 전쟁 이후 유럽의 두 가지 원리: 안정과 위계
이는 라이프니츠와 클라크의 편지에서도 나타남.
 
중요한 것은 신의 계획의 모든 구석구석에서 안정과 위계의 원리를 발견할 수 있다는 믿음. 
근대성의 비계를 구성한 이 총체적 체제는 과학적 장치이자 사회정치적인 장치.
이 체제는 신을 빌어 주권 국민국가의 정치질서를 정당화.
 
 
  5. The Second Step Back from Rationalism
 
근대의 과학과 철학은 특수한 역사적 상황의 산물.(30년 전쟁) 
17세기 말, 불확실한 면들이 확신 앞에 굴복, 뉴턴의 자연 질서는 사회질서 정당화, 안정과 위계
 
1720년 뉴턴 세계관을 수용한 사람들 사이 긴급한 현안은 무엇이었나? 
뉴턴 세계관의 코스모폴리스적 기능의 중요성. 뉴턴주의는 근대 사회질서에 대한 코스모폴리스적 정당화 역할. 

새로운 사회관에서 사회적으로 중요한 두 가지 특징. 
특징(1): 자연과 사회를 체계화한 원리가 안정. 
특징(2): 개인 행위, 집단 행위에서 이성과 감정 사이 긴장 형성.
 
1700년 이후 사회관계는 계급적 지배와 복종이라는 “수평적 견지에서 정의
이론상 수평적이지만 실제로는 태양계와 비슷한 권력 관계.
합리성은 cosmos와 police를 이으며, 양자 모두에게 안정을 보장.
가부장 중심의 성차별은 새로운 국가의 핵심 구성요소, 국내에서 고안된 차별화의 패턴은 정복지 주민들에게 응용
새로운 코스모폴리스의 골격은 인종차별, 성차별, 계급차별에 새로운 의의 부여
자연과 인류에 대한 신의 계획에서 차별이야말로 본질적인 요소라는 뜻 함축.
 
근대성의 핵심: 이원론
‘종교’가 아닌 ‘우주의 자연 질서’에 의한 사회질서의 정당화.
(따라서 사람은 자신의 위치에 맞게 행동해야..)
 
  
(2020.09.09.)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외국 가요] 맥 드마르코 (Mac DeMarco)

Mac DeMarco - Heart To Heart ( www.youtube.com/watch?v=qBoQzo98EpQ ) ​ ​ (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