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4/14

[심리철학] Searle (1992), Ch 6 “The Structure of Consciousness: An Introduction” (미완성)

      

[ John R. Searle (1992), The Rediscovery of the Mind (MIT Press), pp. 127-149. ]
 
  
  I. A Dozen Structural Features
    1. Finite Modalities
    2. Unity
    3. Intentionality
    4. Subjective Feeling
    5. The Connection between Consciousness and Intentionality
    6. The Figure-Ground, Gestalt Structure of Conscious Experience
    7. The Aspect of Familiarity
    8. Overflow
    9.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10. Boundary Conditions
    11. Mood
    12. The Pleasure/Unpleasure Dimension
  II. Three Traditional Mistakes
    1. Self-Consciousness
    2. Introspection
    3. Incorrigibility
  III. Conclusion



  I. A Dozen Structural Features


    1. Finite Modalities

128
인간 의식은 아주 제한된 수의 양상(modality)을 통해서만 나타남.
이러한 양상에는 전통적인 오감 외에 균형감각, 고유수용(proprioception), 의식의 흐름 등이 있음.


    2. Unity

  
129-130
비-병리학적 의식 상태의 특징은, 통일된 연쇄의 부분으로 우리에게 나타난다는 것.
통일성의 두 차원: 수평적 통일성과 수직적 통일성
수평적 통일성(horizontal unity) 
수직적 통일성(vertical unity) 


    3. Intentionality

130-131
대부분의 의식은 지향적이지만 모든 의식이 지향적인 것은 아님.
나의 기분(mood) 같은 것은 지향적이지 않음.
그러나 일반적으로 어떤 의식 상태는 어떤 것이나 다른 것을 향하며, 그것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그러함.
이러한 의미에서 그러한 의식 상태는 지향성을 가짐.
 

    4. Subjective Feeling

131-132
우리 의식 상태의 주관적 느낌

 

    5. The Connection between Consciousness and Intentionality

132
의식적인 지향적 상태를 가질 수 있는 존재만이 지향적 상태를 가질 수 있음.
모든 무의식적 지향적 상태는 적어도 잠재적으로 의식적임.


    6. The Figure-Ground, Gestalt Structure of Conscious Experience

132-133


    7. The Aspect of Familiarity

133-
친숙성(familiarity)
우리가 경험하는 대상들은 가장 친숙한 것에서 가장 낯선 것까지 연속적인 스펙트럼을 이룬 채 우리의 의식으로 다가옴.



    8. Overflow

137
의식 상태들은 일반적으로 그 경험을 넘어서 있는 것을 지시함.
써얼은 이러한 현상을 범람성(overflow)라고 부름.
우리가 가지는 경험들은 결코 고립된 것이 아니라 항상 그 이상의 경험에까지 뻗어있다는 것.


    9.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137-
우리는 우리가 주목하는 의식의 장 내에서 중심부와 주변부를 구분하고 또 임의로 그 주목하는 방향을 바꿀 수 있다는 것


    10. Boundary Conditions

139-
상황성(situatedness)
나의 현재 의식 상태의 공간-시간-사회-생물학적 위치의 부분
한계조건(boundary conditions) 


    11. Mood

140-
모든 의식 상태가 이런저런 기분(mood) 속에서 우리에게 다가온다는 점
이것은 유쾌함/불쾌함이라는 특성과 비슷한 것인데, 기분은 그보다 좀 더 지속적인 것을 의미함.


    12. The Pleasure/Unpleasure Dimension

141
모든 의식 상태는 유쾌함/불쾌함이라는 맛을 띠고 있다는 것


  II. Three Traditional Mistakes

141
의식에 관한 더 적극적인 논의를 전개하기에 앞서, 써얼은 철학사에서 고질적으로 되풀이되는 의식에 관한 대표적 오류 세 가지를 언급함.


    1. Self-Consciousness

141-
의식의 모든 상태들이 자기-의식의 상태라는 것

142
일상적인 자기-의식 개념과 전문 철학자의 개념을 구분해야 함.
일상적인 의미에서, 나는 나로서 의식이 있지만 나의 의식 상태를 반드시 의식하는 것은 아님.
다른 세 가지 사례

142
사례(1)
사례(2)
사례(3)

142-143
일반적인 자기-의식 개념은 내가 무엇인가를 의식할 때마다 그것을 의식하는 나 자신을 의식한다는 것
sensibility의 극단적으로 전문화된 형태
인간과 몇몇 다른 종들만 가짐.

143
전문적인 자기-의식 개념은?
앞서 논의한 중심과 주변의 구분에 관한 논의
우리는 항상 대상에 대한 우리의 주의(attention)를 의식의 중심에서 주변으로 옮길 수 있음.
비슷하게, 우리는 우리의 주의를 의식 경험의 대상에서 경험 그 자체로 옮길 수 있음.
인상주의 화가
이는 경험의 특성에 관한 자기-의식의 사례
나는 나의 주의를 내 앞에 있는 장면이 아니라 내가 보는 그 장면에 관한 경험에 기울일 수 있음.
주의를 이동하는 가능성이 의식 상태 그 자체에 나타났으므로, 우리는 전문적인 의미에서 모든 의식이 자기-의식이라고 말할 수 있음.

143
그러나 써얼은 모든 의식이 자기-의식이라고 주장하는 사람이 의도한 이러한 의미를 매우 의심함.
 

    2. Introspection

143-
의식적 심적 상태들은 내성(introspection)이라는 특수한 능력을 통해 알려지는가?
일상적 의미에서, 우리는 종종 우리 자신의 의식 상태들을 내성함.
예) 샐리는 지미와 결혼해야 하는지 알고 싶어 할 때, 그녀 자신의 느낌들을 매우 가까이 평가하려고 함.
문제는 내성 개념의 일상적 의미가 아니라 은유(metaphor)를 문자 그대로 받아들이는 전문적 의미에서 생김.
그러한 은유는 내성을 시각 모형에 바탕을 둔 것으로 이해함.
시각의 경우에는 반드시 관찰자와 관찰 대상이 구분되지만, 의식 상태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음.
그러므로 의식이 내성을 통해 알려진다는 주장은 오류
 

    3. Incorrigibility

144-
마음에 관한 전통적인 데카르트 식 개념에서, 심적 상태들에 관한 1인칭 보고는 교정불가능함(incorrigible).
우리 자신의 의식 상태에 대한 지식은 오류가 있을 수 없다는 것.

써얼은 자기 기만, 잘못된 해석, 부주의 등으로 인해 자기의 의식상태에 관한 지식에도 오류가 있을 수 있다고 주장함.



  III. Conclusion



(2021.01.21.)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초등학교 셔틀버스의 전원주택 진입로 출입을 막다

전원주택 진입로에 깔린 콘크리트를 거의 다 제거했다. 제거하지 못한 부분은 예전에 도시가스관을 묻으면서 새로 포장한 부분인데, 이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몇 배 두꺼워서 뜯어내지 못했다. 그 부분을 빼고는 내 사유지에 깔린 콘크리트를 모두 제거했다.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