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9/19

내 휴가는 왜 아무도 안 묻나?


술 먹다 들은 이야기인데, 어떤 사람한테 애인 있냐고 대놓고 묻기 어려운 경우 다른 질문을 통해 해당 정보를 알 수 있다고 한다. 가령, 여름철 같은 경우 “이번 여름에 휴가 어떻게 보내세요?”라고 물어보면, 애인이 있으면 애인하고 휴가를 간다고 하고 애인이 없으면 친구들하고 보낸다고 하든지 등등의 대답을 한다는 것이다. 나는 그 이야기를 들으면서 두 가지를 생각했다. ‘아, 다른 사람들은 휴가를 애인하고 보내는 구나. 그런데 내 휴가 같은 것에 관심을 보이는 사람은 아무도 없네.’


아니다. 기억을 더듬어 보니 내 휴가를 물어본 사람이 있었다.


- 지도교수: “음... 〇〇이, 혹시 이번 여름에 어디 간다든지 하는 계획이 있나?”

- 나: “아직 별 다른 계획은 없습니다.”

- 지도교수: “방학 때는 어디서 지내나?”

- 나: “기숙사에서 지냅니다.”

- 지도교수: “아, 잘 됐구만. 그러면 나중에 연락할 일이 있으면 그 때 보기로 하지. 그리고 그 서류는 늦지 않게 전달해야 할 것 같네만.”

- 나: “네, 선생님.”



(2017.07.19.)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오타의 기능

교육부 장관으로 지명된 이진숙 교수가 지도학생의 논문을 표절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흥미로운 점은 지도학생의 석사 논문에 있던 오타까지 그대로 이진숙 교수의 논문에 등장한다는 점이다. 석사학위논문에 있는 오타는 생성형 인공지능이 산출물에 남기는 워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