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9/08

[생물학의 철학] M. Weber (2005), Ch 9 “Scientific Realism: In Search of the Truth” 요약 정리 (미완성)



[ Marcel Weber (2005), Philosophy of Experimental Bi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66-295. ]

9.1 Realism about What?

9.2 The “Miracle Argument”

9.3 The Experimentalist Argument

9.4 The Argument from Independent Determinations

9.5 Experimental Artifacts: Lessons from the Mesosome

Summary

9.1 Realism about What?

p.273

정보에 대한 실재론은 정보가 존재론적인 기본 범주라고 주장함

이는 정보를 해석할 수 있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고 해도 정보가 이 세계에 있다는 주장

저자는 생물학에서 정보 개념이 문제가 있다는 주장을 함

정보에 문제되지 않는 의미가 있다고 해도,

즉 pragmatic information concept이 있다고 해도,

이러한 개념은 실재론자에게 열려있지 않다.

왜냐하면 이러한 약한 개념은 3항 관계이기 때문이다.

cognitive agent, information source, signal

p.274

더 강한 의미의 정보

그런데 저자는 이것이 생물학적 존재자들(DNA sequence, morphogen gradients 등)에게

적법하게 귀속되지 않는다고 주장함

9.2 The “Miracle Argument”

9.3 The Experimentalist Argument

9.4 The Argument from Independent Determinations

9.5 Experimental Artifacts: Lessons from the Mesosome

Summary

(2017.09.23.)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한국에서 넷플릭스 드라마 <삼국지>를 만든다면

리들리 스콧의 영화 <나폴레옹>은 영화가 전반적으로 재미없다는 것을 다 떠나서 약간 놀라운 게 있는데, 바로 나폴레옹이 영어를 쓴다는 점이다. 영화 <글레디에이터>처럼 고대 로마를 배경으로 한 영화도 아닌데, 나폴레옹이 주인공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