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1/23

[동양철학] 시마다 겐지, 제3장 “양명학의 성립과 전개” 요약 정리 (미완성)


[ 시마다 겐지, 「제3장. 양명학의 성립과 전개」, 『주자학과 양명학』, 김석근 옮김 (에이케이 커뮤니케이션즈, 2020), 202-269쪽. ]

1. 왕양명(王陽明)의 등장

2. 양명학의 전개 특히 좌파

1. 왕양명(王陽明)의 등장

1.1. 주자학의 보급

1.2. 오강재와 진백사

1.3. 왕양명의 유년 시절

1.4. 남경병부상서가 되다

1.5. 주자학이 남긴 문제

1.6. 안과 밖의 투쟁사

1.7. 격물치지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지행합일

1.8. 천리(天理)와 인욕(人慾)

1.9. 양명학과 소라이가쿠(徂徠學)

1.10. 마치 샘이 솟아오르는 것처럼

1.11. 새로운 만물일체

1.12. 양지(良知)와 만물일체의 결합

1.13. 절박한 심정

1.14. 광(狂)의 의식

1.15. 왕양명의 유토피아

1.16. 내면주의의 여러 성과

2. 양명학의 전개 특히 좌파

2.1. 양명학 좌파

2.2. 무선무악(無善無惡)

2.3. 양지(良知)의 새로운 의미

2.4. 현성양지(現成良知)

2.5. 삼교일치(三敎一致)

2.6. 자신의 존엄

2.7. 세 번째 만물일체

2.8. 주관유심론? 객관유심론?

(2023.06.06.)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강연] 임종태 교수 (서울대 과학학과)

  [네이버 열린연단] 제13강. 18세기 조선 과학기술의 지형도 / 임종태 교수 ( https://openlectures.naver.com/contents?contentsId=140492 ) _1부. 강연 ( https://tv.na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