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ob Inkpen (2005), Science, Philosophy and Physical Geography (Routledge), pp. 45-61. ]
1. Introduction
2. What are entities?
3. Entities and kinds
3.1. Case Study: Species as natural kinds
3.2. Case Study: Magnitude and frequency - entities out of context
4. Classification
4.1. Case Study: Classification of soils
5. Summary
1. Introduction
45-46
- 존재자(entities)가 문제가 된다는 것
- 물리적 실재들(physical realities)이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바뀌지 않는다는 것은 분명함.
• 산에 대한 속성-기반 정의도 수정되지 않음.
• 바뀌는 것은 존재자나 개체가 어떻게 정의되고 분류되는지임.
- 여기서 논의하는 것
• 존재자에서의 변화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물리적 실재 또는 심적 구성물인지
• 답변은 둘 다라는 것. 물리적 실재는 우리의 이론에 의해서만 포착되기 때문임.
- 이론이 변하면, 우리가 물리적 실재라고 믿는 것도 변하게 되며, 존재자가 같은 물리적 대상으로 유지되는 것처럼 보여도 그렇다.
• 존재자들은 특정한 이론으로 정의되고 자리잡으며, 그 다음에는 새로운 속성들을 구분하는 기초를 제공함. 이 속성들이 그 존재자를 정의하는 데 도움을 줌.
- 이 장에서 다루는 것
• 존재자들의 본성, 존재자는 무엇이며 어떻게 정의되는가
• 이 논의에서 중요한 것은 존재자와 자연종(kinds)의 관계
• 자연종은 실재의 분류와 표준화의 쟁점과 연결됨.
2. What are entities?
46
- 존재자는 우리가 실제로 존재한다고 믿는 단위(units)임.
- 존재자는 우리가 탐구하려고 하는 것들임.
• 우리가 설명하려고 하는 것은 그것들이 어떻게 움직이고 왜 그렇게 움직이는지임.
- 그러나 우리가 생각하는 대로 존재자들이 존재해도 명확하게 해야 할 쟁점이 있음.
• 예) 우리는 산사태를 더 작은 부분들을 언급하여 그 움직임을 설명하고자 함.
• 구성요소들에 초점을 맞추면, 산사태는 탐구나 설명의 핵심이 아닌 것인가?
• 탐구 대상은 구성요소들이 아니고 ‘실제’ 존재자들인가?
• 우리는 물리학과 화학만이 실제 기본 존재자들을 탐구한다고 믿어야 하는가?
- 3절에서는 자연지리학에서 왜 존재자에 관한 환원주의 견해가 잘못 놓여있는지 설명할 것.
46
- 개별 존재자의 핵심 특성은 특정한 속성이나 속성들의 집합을 가짐으로써 구분됨(distinctiveness)을 예화한다고 가정된다는 것.
- 그러나 존재자들을 고립된 섬처럼 보는 것은 설명에서 유용하지 않음.
• 존재자들을 설명에서 유용한 기호(signs)나 어떤 것에 관한 표상(representative of something)으로 볼 필요가 있음.
46-47
- 존재자들에 관한 두 가지 가능한 관점
- 관점(1): 실재가 보편자들로 구성된 것이라는 것.
• 보편자들이 우리의 ‘실제’ 세계나 경험 세계에서 찾을 수 있는 존재자들에 관한 표현을 찾을 수 있는 실재 존재자들.
• 그러한 존재자들은 다른 대상들(objects)에 의해 동시에 예화됨.
• 보편자는 어떤 것(a thing)이 가지는 속성들을 정의함.
- 예) 이류(mudslide)는 이류임 덕분에 일련의 속성들을 가짐.
• 우리가 관찰하는 이류는 ‘순수한’ 것이 아님.
• 일련의 속성들의 실현은 이류가 발생하는 물질의 본성과 이류가 일어나는 특정한 환경적 조건 등에 의해 오염됨. 이러한 속성들은 완전히 표현되지 않음.
• 우리가 염두에 두는 것은 이상적 유형인 보편적 이류이며 실제로 존재함.
• 그러나 우리는 엷은 실현들(pale realizations)만 관찰할 수 있음.
- 관점(2): 실재는 개별자들로 구성된다는 것.
• 이러한 존재자들은 근본적인 보편자들의 예화가 아니며, 각 개별자는 다른 개별자들이 소유할 수도 있고 안 소유할 수도 있는 속성과 동일한 속성을 가짐.
• 두 물체는 운동에서 같은 속도를 가지고 대체로 같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우리가 측정할 수 있는 한에서 비슷한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음.
- 예) 우리가 이류라고 부르는 것들은 우리가 비슷한 속성을 가진다고 말하기 때문에 비슷한 속성을 가지는 것.
• 비슷한 속성들을 소유하는 것은 두 존재자 사이의 어떠한 관계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며, 한 존재자로부터 다른 존재자의 움직임의 예측을 가리키는 것도 아님.
- 이러한 두 견해는 존재자들이 본성상 구조로 되어있고 복잡할 수 있다는 것임.
• 존재자들은, 환원주의 견해가 예상하는 실재에 관한 단순한 기본 단위는 아님.
47
- 관점(3): 기층 견해(substrata view)
• 어떤 존재자는 어떤 속성들도 결여된 존재자로 보일 수 있음.
• 속성들은 존재자와 독립적이고 그 존재자의 본질에 필수적이지 않음.
• 어떤 존재자가 존재하고 속성들이 그 존재자를 가득 채우는 것.
• 속성이 어떤 존재자와 연결되지만, 그 속성은 그 존재자를 정의하지 않음.
- 관점(4): 다발 이론
• 빈 껍데기 같은 것은 없고, 존재자를 정의하는 속성들의 결합이 있음.
• 존재자는 속성들의 잠재적으로 우연한 결합 밖에서 물리적 존재를 가지지 않음.
• 속성이 없으면 존재자는 녹아 없어짐. 존재자는 실체를 가지지 않음.
- 이러한 두 견해는 심각한 형이상학적 문제점이 있으며(Loux 1998), 자연지리학에서 설명을 돕지도 않음.
3. Entities and kinds
47-48
- 존재자에 대한 위의 견해들의 설명적 막다른 길(dead-end)에서 벗어나는 방법은 실체(substance)나 본질(essence) 개념을 도입하는 것.
- 이는 철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
• 존재자들을 환원불가능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것.
• 환원불가능한 존재자들은 그들 부분들의 단순한 합이 아니라 그 이상.
• 보편자들에 근거하는 속성들이 그 존재자의 실체의 본질적 본성을 지시함.
• 어떤 존재자를 정의하는 것은 그러한 속성들.
- 어떤 존재자와 결합된 모든 속성들이 그 존재자의 본질에 동등하게 중요한 것이 아님.
• 속성들은 그 존재자의 실체를 정의하거나 연구자가 확인하도록 허용함.
• 그러나 속성들이 빈 껍데기를 채우는 것은 아님.
• 속성들은 특정한 존재자의 일부분임.
• 존재자와 속성들의 관계는 상호적이고 분해불가능함.
- 핵심적인 보편자는 어떤 종에 대한 보편자
• 종은 어떤 존재자의 본질에 관한 몽타주(indentikit)를 제공함
• 한 자연종의 멤버십은 그 종의 어떤 존재자에 나타나야 하는 속성들을 정의함.
• 비-본질적 속성들은 한 자연종의 어떤 존재자의 멤버십을 변경하지 않음.
• 같은 종의 존재자들은 모든 속성들을 공통으로 가지거나 본질적 속성들을 같은 값으로 가질 필요가 없음.
- 자연종은 더 일반적이거나 더 특정한 본질들에 관한 내포된 위계들(nested hierarchies)을 형성할 수 있음.
• 예) 동물 / 영장류 / 인간
• 생물학에서의 린네 식 분류는 내포된 종들의 고전적인 예
48
- 어떤 존재자의 본질의 견본(template)을 제공하는 것은 설명을 돕는가?
- 특정한 종의 존재자가 특정한 방식으로 움직일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음.
- 그런데 종이 설명에 관한 적절한 초점인가?
• 경사면 같은 자연지리학적 특질은 토양 같은 더 작은 종으로 구성될 수 있는가?
• 그러한 더 작은 종류들이 경사면보다 더 근본적인가?
• ‘진정한’ 종에 도달하기 전까지 이러한 환원을 계속할 수 있는가?
48
- 로즈와 쏜은 지형학의 대한 연구 방법보다 대상들의 유의미성에 주목함.(Rhoads and Thorn 1996b)
• 지형형성은 자연종(natural kinds)인가 명목종(nominal kinds)인가?
- 자연종은 실재에서 어떤 객관적이고 실제 본성을 가지는 것인 반면, 명목종은 인간이 구성한 인공물(Schawrtz 1980)
- 자연종이 존재한다면, 자연종의 객관적 본성은 설명에서 우월한 지위를 함축할 것.
• 자연종을 포함하는 설명은 실제 사물, 실재 그 자체에 관한 것으로 보이므로, 잠재적으로 주관적이고 변화가능한 인공물보다 설명에서 우위를 가짐.
• 자연종에 대한 탐구는 ‘실재’ 객관적인 존재자의 본질과 메커니즘, 그리고 인과력을 도출함.(Harre and Madden 1973; Putnam 1994; Wilkerson 1988)
• 존재자의 힘은 존재자의 맥락이나 탐구자와 독립적으로 존재함.
- 자연종이 실제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이는 한에서, 다른 종들로부터 어떤 자연종을 확인하는 것은 설명에서 중요한 것이 됨.
- 자연종과 인공종을 구분하는 기준이나 작업을 설립하는 것은 핵심 작업이 됨.
• 퍼트남과 크립키는 경험적 탐구가 이름과 자연종을 할당하는 것에 대한 기초를 제공한다고 함.(Putnam 1973; Kripe 1980)
• 리는 이것이 문제의 기초와 씨름하지 않고 종에 대한 질문을 철학적 논쟁의 영역에서 과학적 논쟁의 영역으로 옮긴 것에 불과하다고 함.(Li 1993)
• 슈워츠는 자연종이 경험적으로 발견가능한 특질들로 정의되며 그의 counter-example test로 시험할 수 있다고 주장함.(Schwartz 1980)
- 과학자들은 개별 존재자들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자연종과 관련된 특징을 확인함.
• 그러나 그러한 존재자들은 그 종의 구성원인 것과 일관된 방식으로 탐구됨.
• 이러한 순환 논변은 경험적 속박에서 벗어나기 힘들게 만듦.
48
- 불행히도, 자연지리학에서 바위, 강, 산사태의 촉발점이 되는 사건 등의 지위가 자연종인지는 논쟁적임.
• 예) 아리스토텔레스는 제한된 범위의 존재자들에게만 자연종의 지위를 부여함.
• 양자역학
- 극단적 해석을 제외하고(van Inwangen 1990), 지리학적 존재자들의 존재는 부정되지 않지만, 그러한 존재자들의 설명적 지위는 종종 낮은 것으로 보임.
49
- 듀프레와 쉐인은 자연종의 정의가 탐구 맥락에 의존적이라고 함.(Dupre 1993; Shain 1993)
- 리는 자연종을 명명할 때 항상 모호함이 있다고 함.(Li 1993)
• 그 종을 예화하는 개별 존재자들을 통해서만 자연종을 알 수 있기 때문임.
• 자연종에 대한 직접적 접근은 없음. 명명은 개별적이고 집합적인 경험에 의존하며, 실재에 관한 어떤 절대적 지식에도 의존하지 않음.
• 확인(identification)과 명명은 존재자들의 비교에 기반함.
• 비교 과정은 끝나지 않는 것으로 보임.
• 어떤 존재자를 어떤 종에 절대적으로 할당하는 것은 절대로 확실할 수 없음.
49-50
- 해킹에 따르면, 유명론자들(nominalists)은 존재자들을 포함하는 외부 세계의 실재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그러한 실재에 우리의 분류를 부여한다고 믿는 것.(Hacking 1983)
• “종은 어떤 것들을 사용하기를 원하는 행위자들에게 중요하다. [...] 아마도 동물들은 속성들의 세계에 서식한다. [...] 간단히 말하면, 자연종은 호모 파베르에게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Hacking 1991, p. 114)
- 해킹은 지리학에서 유용한 유형분류체계를 입증할 수 있는 두 가지 유형의 종을 제안함.(Hacking 1999)
- 종(1): 무차별종(indifferent kinds)
• 무차별종은 명명되는 것에 반응하지 않음.
• 예) 석회암은 석회암으로 분류되는 것에 반응하지 않음.
- 종(2): 상호작용종(interactive kinds)
• 상호작용종은 분류 행위에 반응함.
• 예) 난민으로 정의된 개인은 분류 행위 때문에 발생한 일련의 관계들에 휘말리게 됨.
• 그 개인은 그러한 분류를 허용하거나 유지하는 방식으로 대응함.
- 대부분의 자연지리학의 종들은 무차별종으로 생각될 수 있음.
- 무차별종이 더 ‘실재적’이며, 상호작용종보다 설명에 관한 ‘더 나은’ 기초를 제공한다는 암묵적 가정이 있음.
- 그러나 무차별종조차도 사회적이고 실재적임.(Hacking 1999)
50
- 종을 확인하고 연구하는 기초는 실재와 연구자의 대화
• 속성들의 추출은 항상 어떠한 목적을 위하여 이루어짐.
• 구분은 무차별한 종과 사회적으로 구성된 상호작용종 사이에서 이루어지지 않음.
- 굿맨은 유관한 종(relevant kinds)을 사용자의 어떤 목적과 유관한 것으로 정의된 것과 동일시함.(Goodman 1978)
• 유관한 종은 실재 존재자들과 관련된 외재적 실재를 가정함.
• 그러나 이러한 실재는 우리의 행동으로만 접근가능하며 행동은 우리의 의도를 따름.
• 우리는 우리의 유관한 목적을 위하여 실재를 나누고 존재자들을 만듦.
- 자연지리학에서의 종은 항상 시간적이고 공간-특정적인 대화로부터 도출된 유관한 종임.
50-54
- 기호학(Semiotics)은 존재자들에 관한 모호한 이미지를 가지며 존재자들의 미결정적 지위를 인식함.(Baker 1999)
• 존재자들은 기호들의 그물 속에 있는 것으로 보임.
• 존재자들은 연구 맥락과 독립적인 대상들보다는 맥락적으로 정의된 것이 됨.
- 존재자는 기호, 해석경향(interpretant), 해석자의 3자 관계 때문에 구성될 뿐임.
- 존재자는 어떤 것(a thing)으로서 존재하며, 그러한 요소들 각각은 상호의존적이고 다른 요소 없이 해석될 수 없음.
• 어떤 것의 본성은 물리적 실재와의 관계되어 있으며, 그 관계는 연구자가 알 수 있는 것을 넘어섬.
• 그 것은 연구자에 대한 관계에 의해 구성된 대상과 전체적으로나 부분적으로 관계됨.
- 대상은 기호를 통해 구성됨.
• 대상의 본성은 어떤 것, 실재의 본성과 다름. 대상은 어떤 것에 대한 표상.
- 연구자가 실재에 관하여 얻을 수 있는 어떠한 지식도 대상을 통한 것이며, 그래서 알 수 있는 것은 기호를 통한 것이고 해석을 통한 것일 뿐.
- 기호와의 관계가 없는 지식은 불가능함.
54-55
- 존재자들은 실재의 어떤 공통 기저(common baseline)로 환원될 수 없고, 오직 연구 대상으로만 환원될 수 있음.
• 개별 존재자에 대한 이러한 해석은 화이트헤드가 주장한 존재자에 관한 상대적 견해와 비슷함.(Whitehead 1929)
• ... (자세한 설명은 생략)
55
- 기호학적 접근은 존재자와 종이 모두 어떠한 물리적 실재를 가질 필요가 없음을 의미함.
• 기호학과 실용적 실재론에서 자연종이나 존재자는 없으며, 둘 다 해석자와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음.
55-56
- 실재의 분할은 우리가 만든 것이지만, 우리가 빈 페이지에서 시작하는 것은 아님.
• ...
• 많은 과학자들은 절대적인 의미에서 이러한 재교섭(renegotiation)이 ‘더 참인’(truer) 쪽으로 수렴되는 것이라고 함.
• 이는 해석적 택스트의 대안에 대한 더 진보적인 방향을 가정하는 것.
• 변화하는 해석적 텍스트와 함께 특정한 존재자와 종의 지속은 궁극적 실재에 대한 증명보다는 적용가능성을 증언하는 것.
• 여기에 대한 은유는 진화
3.1. Case Study: Species as natural kinds
51
- 생물학적 분류에 관한 자연적 존재자로서 종의 지위는 수많은 연구자들이 의문을 제기했음.
- 듀프레는 종이 진화와 분류의 단위로 효과적인 기능을 하지 않는다고 함.(Dupre 2001)
• 진화의 단위는 개체일 필요가 있는데 분류의 단위는 종이어야 하기 때문.
- 도킨스는 진화의 단위가 유전자라고 함.(Dawkins 1978)
- 듀프레는 시간이 지나면서 개체들을 특징짓는 일련의 속성들이 계통 발생론적 계통(phylogenetic lineage)에서 변화할 때 진화가 발생한다고 함.
• 계통은 진화의 단위이며 한 시점의 존재자가 아님.
- 어떤 종이 진화하는 내내 같은 것일 수 있다는 생각은 같은 종이 진화의 모든 단계에 존재한다는 것을 함축함.
51
- 레빈스와 르원틴은 유기체가 진화의 단위일 수 있지만, 기본 단위일 필요는 없다고 함.(Levins and Lewontin 1985; Lewontin 1985)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3.2. Case Study: Magnitude and frequency - entities out of context
52
- 월맨과 밀러는 지형학(geomorphology)에서 사건의 강도와 빈도의 유의미성을 윤곽지음.(Wolan and Miller 1960)
• 사건들이 발생하는 맥락에서 사건들을 추출
• 시스템에 대한 투입을 측정하고 나서 그것이 매개하는 산출이나 결과를 측정
• 예) 사건은 주어진 강도로 흐르는 것으로 정의됨. 반면, 산출은 강이 운반한 유사(流砂, sediment load)로 정의됨.
- 그림 3.1
• 작은 사건은 빈번하게 일어나지만 물질을 나르는 힘이 불충분함.
• 큰 사건은 많은 양의 물질을 나르지만 빈도가 낮아서 지형을 만들 정도로 충분히 많은 물질을 나르지 못함.
• 중간 크기의 사건이 충분한 빈도와 지형을 만들 정도의 물질을 운반함.
53
- 강도와 빈도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이러한 초기 기술이 하천 시스템에서 작동하는 ‘보통’ 양태에 관한 생각에 강하게 의존함.(Lane et al. 1999)
• 하천 시스템이 ‘보통’ 양태인 균형으로 향하는 경향이 있다는 생각은 사건과 결과를 맥락으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기초가 됨.
• 이러한 사건 특성들은 이상적인 사건과 결과를 반영함.
• 이는 사건과 결과는 하천 시스템들로 변형될 수 있는 투입-산출 관계로 모델링될 수 있음을 의미함.
• 도출된 강도-빈도 곡선은 환경적 맥락과 무관하게 어떤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음.
53-54
- 월맨과 거슨의 강도-빈도 개념의 그 다음 발전은 추상적인 관계에 관한 맥락 의존을 인식한 것.(Wolman and Gerson 1978)
• 다른 지형이 어떻게 같은 사건, 같은 투입에 다르게 반응하는지 기술하기 위하여 유효성(effectiveness) 개념을 도입함.
• 방정식의 부분들이 맥락 의존적
• 예) 온화한 환경, 건조한 환경, 반-건조 환경...
- 맥락이 분석에 도입되었지만, 여전히 이는 맥락에 대한 매우 제한된 견해임
• 시스템은 균형이나 ‘정상성’(normality)을 향하는 운동을 여전히 유지함.
54
- 랜과 리처드는 ‘내재된’(immanent) 무-역사적 과정과 ‘배열적’(configurational)인 것 사이의 구분이 필요로 하다는 점에 주목함.(Lane and Richards 1997)
• ‘내재된’: 무-역사적 과정: 항상 특정한 조건에서만 발생
• ‘배열적’: 특정한 역사적 환경에서 역사적 상호작용의 결과
- 이는 사건 강도-빈도와 영향(impacts)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보여줌.
• 그 관계는 추상화될 수 있고 일반적 속성들은 도출될 수 있음.
• 그 관계는 일반화. 복잡하고 시간적으로 구분되는 관계들.
• 일반성은 특정한 환경들로부터만 유도됨.
• 그러한 환경들에 관한 지식이 없다면, 일반성은 실재와 관계맺을 수 없음.
• 일반적 속성들은 식별가능할 뿐임. 왜냐하면 특정한 맥락에서 속성을 일으키는 과정은 변화의 유일하게 역사적인 연쇄에 의해 도출되기 때문.
4. Classification
56
- 존재자와 종에 관한 3절의 논의는 실재 안에 자연적 분류가 있다는 생각을 일축함.
- 실재의 분할은 종과 존재자들의 버전과 관련하여 유일하게 해석되는 맥락에서 작업하는 연구자들의 의해 수행됨.
• 위의 논의는 종과 존재자가 실재 그 자체는 아니지만 연구자들에게 유용함을 보여줌.
• 분류는 실재에 관한 절대적인 구조가 아니라 연구자들의 유용성에 기반함.
56
- 분류의 핵심은 실재를 어떻게 나눌지 결정하는 것
• 이는 존재자와 종과 관련된 속성들의 사용을 요구함.
- 실재를 분류하는 데 속성들을 사용하는 방법은 두 가지
• 방법(1): 어떤 것들을 모두 합치기(lumping thing together)
• 방법(2): 실재를 따로 쪼개기(splitting reality apart)
- ‘합치기’는 속성이 결합한 존재자들을 단일 실재로 쌓는 도구라고 보는 것
• 속성은 다양한 존재자들을 연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선택됨.
- ‘쪼개기’는 초기에 구별되지 않던 실재를 구별되는 유일한 부분이 되게 하는 것.
- 이 둘은 상향식(합치기)와 하향식(쪼개기)라고 볼 수 있음.
- 폴리(Foley)는 인류 진화와 관련하여 다변량 통계학이 인류 형태들의 중첩에 주목하는 반면, 분기학(cladistics)은 인류 형태들의 차이점을 탐구할 때 효과적이라고 함.
56-57
- 핵심 질문은, 합치기나 쪼개기에서 어떤 속성이 실재를 구분하는가임.
• 분류에 관한 속성 선택은 사용된 이론적 틀에 다시 관련됨.
- 이론은 어떤 속성이 존재자의 본질을 반영하고 어떤 것이 우연적인지를 정의함.
• 이상적으로, 어떤 존재자가 존재하는 데 본질적인 속성들은 분류의 기초를 형성함.
• 그러한 속성 확인이나 속성 결합은 드묾.
- 종종 분류는 어떤 존재자에 유일한 속성이 아니라 존재자들 사이에서 달라지는 속성을 요구함.
• 이러한 속성들은 값의 범위에서 측정될 수 있고 존재자들은 제한된 연속체에서의 위치에 따라 어떤 종류에 할당됨.
• 할당하려면 속성들의 영역을 특정 구간으로 나누어야 함.
• 어떤 속성의 값이 어느 영역에 속하면 존재자는 그 종류(class)에 속하는 것이고, 그 값이 그 영역을 벗어나면 그 존재자는 다른 종류에 속하는 것.
- 많은 속성들은 더 복잡하고 합성된 측정 스케일(measurement scale)을 제공하기 위해 결합될 수 있음.
• 이는 다-차원적 측정 스케일이 아님.
• 원리들은 단일 지표(single index)에 관하여 동일함.
57
- 이 쟁점은 단지 본질의 속성을 확인하는 것보다 더 복잡함.
• 종종 분류에 유용한 속성들은 측정될 수 없음.
• 어떤 속성들은 이론상 존재하지만 측정가능한 속성들로 명확하게 번역되지 없음.
• 이러한 경우 측정가능한 대용적 속성들(surrogate properties)을 사용함.
- 문제는 측정가능한 속성들의 일대일 관계가 대체로 없다는 것.
• 측정가능한 속성은 이론적 속성의 특정한 측면만 반영함.
57
- 일대일 대응의 결여는 절대적인 방식으로 존재자들을 분류하는 이상적인 기초가 없다는 것.
• 어떤 분류 틀이 다른 틀보다 안정적으로 보이더라도 모든 분류가 조건적임.
• 생물 영역에서 린네 식 성공적이고 안정적인 분류 틀로 보임.
• 그러나 안정성은 실재와 동등하지 않음.
• 존재자와 종과 관련하여, 종류들(classes)은 연구자에게 편리하고 유관한 분할임.
57
- 분류는 또 다른 요소인 표준화(standardization)를 요구함.
• 특히 자연과학에서의 분류는 반복된 측정과, 존재자들을 특정 종류에 일정하게 할당하는 것을 요구함.
• 존재자들이 관찰자와 독립적으로 같은 종류에 할당되어야 함.
- 그러나 표준화에는 복잡한 사회적이고 물질적인 네트워크의 이행과 조직(co-ordination)이 필요함.(ANT에서의 수렴과 동맹(alignment))
• 표준화의 절차는 주제의 전통적인 실행 안에서 자리잡음.
• 그러한 실행은 비평 없이 통과하거나 방법론적 각주로 격하되거나 방법론적 세부사항과 무관한 것으로 기각됨.
• 측정에 관한 합의되고 공통된 절차가 어떻게 발생하며, 가정들과 분류에 대한 개인적인 다툼이 반복적 응용에서 어떻게 사라지는가?
• 표준화에 대한 논의, 타협, 수용된 예외, 세분화의 기초는 자연지리학의 일반적 출판의 일부분이 아님.
- 그러므로, 사회학적이고 주관적이고 상대적인 함축은 자연지리학의 객관적 연구의 일부분으로 보이지 않음.
4.1. Case Study: Classification of soils
58-59
- 토양 분류는 복잡한 현상을 명료화하는 데 핵심적임.
- 대부분의 저자들은 토양 분류를 불완전한 것으로 받아들이지만, 일부는 어떤 유형의 토양 분류가 다른 분류보다 우월하다고 믿음.
• Townsend 1973, p. 110
• 타운센드는 내재적 속성들을 자연적 분류와 인공적 분류의 핵심 결정요소로 봄.
• 이러한 견해는 토양 분류에서 일반적인 견해.
• 그런데 내재적인 것이 무엇인지 정의하기가 어려움.
- 토양을 형성하는 모재료(parent material)에서 나온 속성들을 내재적인 것으로 볼 수 있으나, 토양이 발달하면서 이러한 속성도 바뀜.
• 변화를 미리 정의된 단계들(predefined stages)로 구분하여 토양 변화(soil progress)에서 발전 단계에 기반한 내재적 속성을 정의할 수 있다는 주장.
• 그러나 이러한 논변은 순환적. 단계들은 속성으로 정의될 것이기 때문임.
- 타운센트 인용문에서는 ‘자연적’ 분류가 목적에서 기원한 분류보다 더 우월하다고 함.
• 그런데 이상적인 것으로 제안된 ‘자연적’ 틀은 목적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
59
- 토양 분류에 대한 더 실용적 견해
• “어떠한 분류든 목적을 가져야만 하며 그 목적은 매우 폭넓다. 토양 조사에서 지도 단위를 정의하는 데 사용한 일반적인 체계는 토지 사용에 이용될 수도 있지만 덜 실용적인 목적으로 구성되거나 과학적 목적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Clayden 1982, p. 59)
- 분류는 특정한 목적과 관련되고 그 목적에 일관될 때 정당화됨.
• 분류에 사용되는 속성들이 비슷하더라도, 다른 목적들을 위해 같은 틀이 사용될 것인지에 대한 논쟁은 열려있음.
- 분류 틀이 같은 현상을 지시한다면, 틀들의 중첩이나 공통적인 부분이 있을 것.
• 이는 측정되는 속성들과 측정 수단을 이론이 알려주기 때문임.
• 분류 틀의 목적이 다르더라도, 고려되는 분류 틀의 특성이 수렴될 수 있음을 보여줌.
59-60
- 클래이덴은 토양을 분류하는 잠재적인 두 방법을 지적함.(Clayden 1982)
- 방법(1): 위계적 분류(hierarchical classification)
• ‘가족 나무’(family tree) 구조와 초기 ‘유형’(type)
• 속성들의 범위와 관련하여 종류(class)의 멤버십을 정의함.
• 예) 미국 농업부의 토양보존국(Soil Conservation Service)에서 개발한 미국 토양 분류법
- 방법(2): 조정적(co-ordinate) 분류 체계
• 이 체계에서 존재자들은 여전히 구분되지만 속성들이 필수적으로 층위나 등급에 배열되지 않음.
- 방법(1)은 속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기 때문에 기억하기 쉬움.
- 방법(2)는 러시아, 동부 독일, 벨기에에서 사용함.
• 자연이 구조화되지 않아서 국제적으로 그 체계가 받아들여지지 않는 곳에서 사용.
60
- ISRIC(1994)가 사용하는 것 같은 분류 체계는 국가적 행위자들의 오랜 협상의 결과.
• FAO/UNESCO의 세계 토양 지도. 1960년에 시작되어 1969년 처음 출간됨.
• 결과물이 통일된 이론이나 합의된 위계에 기반한 합의되고 단일한 틀에 부합하지 않음
• 국가나 지역적 관심에서 발전된 체계와 연구자들이 추구하는 국제적인 명료성의 필요 사이에서 타협함.
• chernozems와 kastanozems 같은 지역 이름이 붙은 분류에 기존의 엄격한 분류 방법이 혼합됨.
- 명료하게 토양을 정의하는 속성들의 두 집합: 진단(diagnostic)과 단계(phase)
- 진단적 관점은 토양 단위(soil units)를 확인하는 데 사용됨.
• 그러한 진단은 토양의 특정한 진단적 과정의 작동에 기반함.
• 예) ‘andic properties’(무정형물질이 지배적인 토양), ‘hydromorphic properties’(수준 포화도 상태)
• 단기 경작에 의해 바뀌지 않는 속성
• 이는 가볍게 경작된 지역을 진단할 때도 응용할 수 있음.
- 단계는 토지 사용과 관리에 중요한 토지의 특질.
60
미경작 1차
경작 2차
5. Summary
60-61
(2020.11.27.)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