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11/03

[과학사] Feyerabend (1981), “Galileo as a Scientist” 요약 정리 (미완성)

   
[ Paul K. Feyerabend, “Galileo as a Scientist,” Science, 1981 Feb 27; 211(4485): 876-877. ]
    
    
[p. 876]
파이어아벤트는, 갈릴레오의 달 관찰을 ‘반규칙’의 한 예로 본 자신의 견해에 대한 Whitaker의 반박을 재반박하고자 함.

■ 1) [p. 876]
Whitaker는 갈릴레오의 달 관찰이 파이어아벤트의 견해와 달리 상당히 정확하며, 파이어아벤트가 잘못된 결론을 내린 이유를 그가 동판화가 아닌 덜 정확한 목판화를 보았기 때문이라고 함.

■ 2) [pp. 876-877]
파이어아벤트는, 동판화가 더 정확하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자신의 논지는 변함없다고 함.
동판화에서도 여전히 갈릴레오는 달에 대한 잘못된 관찰 사실을 말하기 때문.
달의 표면은 울퉁불퉁하지만 가장자리는 완벽히 둥글다는 것이 갈릴레오가 잘못 관찰한 사실의 한 예
 
■ 3) [p. 877]
갈릴레오가 ‘과학적 방법’을 사용했는지의 여부는 현대가 아니라 당대의 기준으로 판단해야 함.
당대의 관점에서 보자면, 갈릴레오가 보고한 관측은 누구에게도 확인되지 않았으며, 망원경 또한 믿을만한 도구로 생각할 근거가 전혀 없었음.
오히려 “이론적으로 그리고 관찰적으로” 갈릴레오의 관측을 믿지 않을 합당한 이유가 존재했으며 이런 상황에서 그의 관측을 믿는 것은 오히려 “비과학적인”(unScientific)” 일이었음.
 
■ 5) [p. 877]
달 관측뿐만이 아니라 갈릴레오의 많은 작업들이 과학적(Scientific)으로 행해지지 않았음.
갈릴레오는 당대의 과학자들과 철학자들이 중요한 과학적 방법이라고 생각한 것들을 어김으로써 진보를 이루어냄.
그리고 이러한 견해는 갈릴레오를 나쁜 과학자로 만들지 않음.
갈릴레오는 오히려 과학적 방법(Scientific method)을 위반했기에 좋은 과학자임.
과학적으로 되는 것(being Scientific)이 좋은 과학자가 되는 것(being a good scientist)을 의미하지는 않음.
 
   
(2019.03.29.)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초등학교 셔틀버스의 전원주택 진입로 출입을 막다

전원주택 진입로에 깔린 콘크리트를 거의 다 제거했다. 제거하지 못한 부분은 예전에 도시가스관을 묻으면서 새로 포장한 부분인데, 이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몇 배 두꺼워서 뜯어내지 못했다. 그 부분을 빼고는 내 사유지에 깔린 콘크리트를 모두 제거했다.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