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icholas G. Carr (2010), The Shallows: How the Internet Is Changing the Way We Think, Read and Remember (W. W. Norton & Company).
니콜라스 카, 「5장. 가장 보편적인 특징을 지닌 매체」,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최지향 옮김 (청림출판, 2015) ]
- 인터넷 속도가 빨라지면서 인터넷으로 더 많은 일을 처리할 수 있게 되었지만 미국인이 인터넷을 사용하는 시간은 오히려 늘어남.
- 인터넷 사용이 늘면서 텔레비전을 보는 데 소요되던 시간이 줄었을 것이라 추측했지만 조사결과는 정반대.
- 미디어 활동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는 인터넷 사용이 증가하면서 텔레비전 시청시간이 예전과 같은 수준을 유지하거나 증가했음을 보여준다.
- 책과 신문은 소리나 동영상을 다룰 수 없었고, 영화와 텔레비전은 문자를 보여주기에 적합하지 않았으며, 라디오, 전화, 축음기, 테이프 플레이어는 소리를 송출할 수 있을 뿐. 그런데 정보가 디지털화되자 미디어 간의 경계가 사라짐.
- 새로운 미디어는 낡은 것에 추가되는 것이 아니며, 새로운 미디어는 낡은 미디어들이 새로운 형태나 위치를 찾을 때까지 압박함.
- 콘텐츠 형태의 모든 변화는 우리가 해당 콘텐츠를 사용하고 경험하고 이해하는 방식을 바꿈. 종이에서 스크린으로의 변화는 문서를 살펴보는 방식만 바꾼 게 아님. 책장을 넘기는 것과 웹문서를 클릭하는 것은 서로 다른 신체적인 동작과 감각적 자극을 수반함.
- 하이퍼링크는 인용, 암시, 주석 등의 변주지만, 우리가 링크를 이용할 때 받는 영향은 이와 달리 일련의 문서 사이에서 들어갔다 나가기를 반복하게 함.
- 검색은 온라인 저작물의 분절화를 초래함. 검색 엔진은 우리가 찾는 내용과 연관이 있는 자료의 일부분을 보여주지만 이 저작물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근거는 거의 제공하지 않음. 다른 종류의 정보를 한 스크린에 모으면서 인터넷은 콘텐츠를 더욱 분절시키고 우리의 집중을 방해함.
- 사람들의 사고가 웹 콘텐츠 조각들에 맞춰지고 집중력이 짧아지면서, 많은 제작자들은 이에 맞추어 생산물을 쪼개어 유통시킴. 이를 경제학자들이 콘텐츠의 가격분리(unbundling)이라고 부르는 현상인데, 이 방식은 미디어 소비의 변화 양상을 보여주는 동시에 이를 강화함.
- 인터넷의 영향은 전통적인 물리적 생산물도 온라인 미디어와 유사하도록 만듦. 잡지는 기사의 길이를 줄이고, 따로 내용을 요약하는 글상자를 도입하고, 보기 쉬운 안내문과 사진 설명으로 페이지를 채움. 신문도 마찬가지.
- 인쇄업계처럼 텔레비전쇼와 영화도 인터넷과 닮아 보이게 함. 방송국은 프로그램 화면에 자막과 정보를 담은 그래픽과 팝업 광고를 삽입함. NBC의 <지미 펠론 쇼>는 유튜브를 통해 유통될 수 있는 짧은 코너들로 분할을 강조함.
- 도서관도 달라짐. 뉴욕 공공 도서관은 도서관 내 주요 공간 네 개에서 서고를 구석에 배치하고 중앙의 거대한 공간 대부분을 컴퓨터에 할애함.
(2017.12.03.)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