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11/05

[과학철학] Thagard (1978), “Why Astrology Is a Pseudoscience” 요약 정리

   
[ Paul R. Thagard (1978), “Why Astrology Is a Pseudoscience”, PSA 1978, pp. 223-234. ]
  
  
■ 이 글의 목적 [p. 223]
- 많은 철학자들과 과학사가들은 점성술이 사이비과학이라는 점은 인정하지만, 왜 사이비과학인지에 대해서는 거의 일치하지 않음.
- 태가드가 제시한 사이비 과학을 구분하는 기준은 논리적인 특징만큼 사회적인 특징과 역사적인 특징을 소개한다는 점에서 검증주의자와 반증주의자의 시도와 다름.

■ 점성술에 대한 소개 [pp. 223-224]
- 점성술은 하늘을 12구역으로 나누고 이를 황도 12궁(Zodiac)이라고 함.
• 점성술의 기원은 기원전 700년 칼데아(Chaldea). 이 때 황도 12궁이 만들어짐.
• 몇 세기 후 지금과 비슷한 형태가 됨.
• 알렉산더 대왕의 그리스 정복으로 그리스에 점성술이 전해졌고 이는 로마에 전해짐
- 점성술은 점차 체계화되어 프톨레마이오스의 <테트라비블로스>(Tetrabiblos)가 됨.
• 프톨레마이오스는 점성술을 천문학이나 지리학만큼 진지하게 다룸.
- 르네상스 시기에 근대 과학이 등장했으나 점성술이나 연금술 같은 신비주의도 활발했음.
• 17세기 지식인들과 일반인들 사이에 점성술은 인기가 있었음.
• 그러한 인기는 스위프트와 볼테르 같은 계몽주의자의 공격으로 18세기에 끝남.
- 1930년대가 되어서 점성술은 다시 엄청난 인기를 얻음.
-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별자리를 알며 달과 행성이 자기 삶에 영향을 끼친다고 믿음.

■ 점성술에 대한 세 가지 비판 [pp. 224-225]
- Bart Bok, Lawrence Jerome, Paul Kurtz 등 영향력 있는 과학자 192명은 점성술을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함.
- 이 성명의 주요 비판 지점
• 비판(1): 점성술이 마술적 세계관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는 점
• 비판(2): 영향을 미치기에는 태양이나 행성이 너무 멀다는 점(물리학적 토대가 없다)
• 비판(3): 점성술에 믿는 사람들은 위안을 얻기 위함이라는 점
- 세 가지 비판은 점성술이 사이비과학임을 보여주지 못함
- 반박(1): 기원은 과학적 지위와 무관함.
• 예) 화학의 기원은 연금술.
- 반박(2): 대중적 믿음의 심리적 이유도 점성술의 과학적 지위와 무관함.
• 예) 사람들은 좋은 이론을 적법하지 않은 이유로 믿는다.
- 반박(3): 물리적 기초의 결여는 이론을 비-과학적인 것으로 만들지 못함.
• 예) 베게너가 대륙이동설을 주장할 당시 메커니즘이 알려지지 않았음.
• 예) 흡연과 암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성립하지만 자세한 것은 여전히 알려지지 않음.
- 따라서 위와 같은 이유는 (점성술을 비판하는 모종의 얘기는 될 수 있어도) 점성술을 사이비과학으로 몰아내진 못함.

■ 검증가능성이나 반증가능성의 기준 [pp. 225-226]
- 검증가능성이나 반증가능성의 기준
• 관찰이 이론을 입증하거나 반증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면 그 이론은 검증가능함.
• 어떠한 이론이 검증가능하면 과학적임.
- 그러나 이미 에이어(A. J. Ayer)는 그 원리가 실패한다는 점을 보여줌.
• 대부분의 과학을 비-과학적인 것으로 몰아내거나, 반대로 아무것도 몰아내지 못한다는 것.
- 게다가 점성술은 모호하게 검증 가능함.
•  아주 정밀하지 않더라도 점성술은 어떠한 예측을 하며 우리는 그 관찰 결과를 가지고 이론을 평가할 수 있음.
• 고클랭(Michel Gauquelin)의 통계적 조사에 따르면, 점성술의 예측과 실제 관찰의 상관관계는 대부분 부정적인 것으로 드러나지만, 점성술이 원리적으로 검증가능하다는 점은 유효하며, 검증가능성을 이유로 점성술을 사이비과학으로 몰아낼 수는 없음.

■ 반증가능성 [p. 226]
- 점성술 예측의 모호성은 점성술의 반증을 불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보임.
• 포퍼에 따르면, 점성술은 반증불가능하므로 비-과학적.
- 그러나 뒤앙, 콰인, 라카토슈, 그리고 포퍼 본인까지도 반증의 난점을 지적함.
• 한 이론은 보조 가설을 도입하거나 수정을 통해 언제나 구제될 수 있으며, 관찰 진술이라고 명백한 것도 아님.
• 라카토슈: 이론 전체를 변경할 것이냐, 보조 가설을 교체할 것이냐는 자의적이며, 반증 때마다 이론 전체를 거부하는 것은 쓸 만한 이론의 싹을 자르는 일이 될 수도 있음.
- 반증은 더 나은 이론이 있을 때만 일어남.
• 그렇다면 반증가능성은 이론 교체의 문제일 뿐이다.
• 점성술은 원리적으로 다른 이론으로 교체 가능하므로 반증가능성은 점성술을 사이비과학으로 거부할 아무런 기준도 제공하지 못함.
- 고클랭: 점성술의 예측은 통계적 규칙성이 거의 없지만 이는 점성술을 (완전히) 반증하지 못함.
• 점성술에게는 여러 길이 열려 있고, 대부분의 과학 이론도 대안 이론이 나타나기 전까지는 반증에 저항함.
- 따라서 반증가능성 및 반증은 점성술을 사이비과학으로 몰아내지 못함.

■ 해결하지 못한 문제들 [pp. 226-227]
- 점성술에는 아직 풀리지 않은 문제가 있다는 비판
- 그렇다고 해서 점성술이 거짓이라거나 사이비과학으로 간주될 수 없음.
• 대부분의 과학 이론들에도 풀리지 않은 문제가 있기는 마찬가지다.

■ 태거드의 구획 기준 [p. 227]
- 태거드의 구획 기준은 이론, 공동체, 역사적 맥락, 이 세 가지의 행렬로 구성됨.
- 행렬(1): 이론
• 구조, 예측, 설명, 문제 해결의 구조와 관련.
• 이전까지 구획 문제는 이론에 관한 것인데, 이는 점성술을 사이비과학으로 특징짓는데 충분하지 않음.
- 행렬(2): 공동체 - 세 가지 질문이 중요함.
• 질문(1): 그 이론에 동의하는 사람들이 그 이론이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착수하는가? 
• 질문(2): 그들은 이상 현상을 다루는 것에 관심을 가지며 자신들의 이론의 성공과 다른 이론을 비교하는가? 
• 질문(3): 그들은 그들의 이론을 입증하거나 반-입증하는 실제적인 시도를 하는가?
- 행렬(3): 역사적 맥락 - 두 요소가 중요함
• 요소(1): 시간이 지나면서 새로운 사실들을 설명하고 이상 현상을 다루는 이론에 대한 기록,
• 요소(2): 대안 이론의 이용가능성

■ 정식화 [pp. 227-228]
- 과학적이고자 하는 이론이나 분야는 다음의 경우 오직 그 경우에만 사이비 과학이다
• (1) 오랜 기간에 걸쳐 대안 이론에 비해 덜 진보적이었고 많은 미해결 문제들에 직면한다. 그러나,
• (2) 해당 공동체는 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이론의 개선에는 별 노력을 보이지도 않고, 다른 이론에 비추어 자신의 이론을 평가하려고도 하지도 않으면서, 입증과 반-입증에 대해서는 선택적으로 고려한다.

■ 태거드가 점성술을 사이비과학으로 간주하는 이유 [p. 228]
- 이유(1): 점성술은 극히 비진보적.
• 점성술은 프톨레마이오스 시대 이후 변화된 것도, 설명력에 추가된 것도 거의 없음.
- 이유(2): 춘분점 세차(precession of the equinoxes) 같은 문제가 뚜렷함.
- 이유(3): 개성과 행동에 관한 대안적인 이론이 존재함.
- 이유(4): 점성술 공동체는 일반적으로 점성술을 개선하거나 다른 이론과 비교하여 자신의 이론을 평가하는 데 관심이 없음.
 
■ 라카토슈・쿤과 태거드의 공통점과 차이점 [pp. 228-229]
- 라카토슈와의 공통점: 진보성을 중요하게 여긴 것에는 동의함.
- 라카토슈와의 차이점: 진보성만으로는 과학과 비-과학을 구분 짓는 데 부족함.
- 쿤이 패러다임 지배적인 퍼즐 풀이 활동의 부재를 이유로 점성술을 사이비과학으로 여긴 것은 해석에 따라 반대할 수도 있고 동의할 수도 있음.
- 쿤과의 차이점
• 점성술이 사이비과학인 것은, 정상과학기가 없었기 때문이 아니라, 더 진보적인 대안 이론이 있지만 점성술 지지자들이 “정상” 과학자들에 무비판적 태도를 취하기 때문.
- 쿤과의 공통점
• 그러나 춘분점 세차 같은 이론적 문제의 수준에서 보면, 점성술사는 패러다임이 가져다주는 이론적 문제 풀이에 대한 자신감이 없음.
• 과학은 패러다임으로 해결가능하다고 여기는 문제, 즉 퍼즐 풀이 활동의 특징을 갖춘 반면, 점성술은 해결가능한 문제를 가지지 않음.
• 점성술에서의 이론적 문제들은 대부분 개인의 능력과 책임을 벗어난 막막한 문제이기에, 그 이론을 개선할 어떠한 지침도 주지 못함.

■ 응용 [p. 229]
- 태거드의 기준은 점성술 외의 사이비과학에도 적용가능함. 이를 적용하면
• 마술이나 pyramidology 등의 활동은 사이비과학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반면, 현대의 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은 위협받지 않음.
• 하지만 바이오리듬은 사이비과학으로 간주될 수 없다. 왜냐하면 이를 대체할 대안 이론이 없기 때문.

■ 태거드의 구획 기준의 귀결, 함의, 중요성 [p. 229]
- 이론은 한 시점에서 과학적이다가 다른 시점에서는 사이비과학적일 수 있음.
• 현재 점성술은 사이비과학이지만, 고대나 르네상스 시기에는 과학적인 활동으로 간주되어야 함.
- 과학/사이비과학은 초-역사적 범주가 아니다.
• 합리성은 생각이 가진 항구적인 속성이 아님. 행동처럼, 생각은 한 시점에서 합리적이었다가 다른 시점에서는 비합리적일 수 있음.
• 역사적 시기에 따른 과학/비과학 구분의 상대화는 바람직한 귀결임.

■ 역사적 문제 [p. 229]
- 태거드의 기준에 따르면, 점성술은 현대적인 심리학이 나타난 19세기에서야 사이비과학으로 간주되는데, 이미 18세기 초부터 점성술은 과학자 공동체에서 배제되기 시작했음.
• 어떠한 이론은 그것이 사이비과학으로 판정되기 전에 이미 전망 없는 기획의 징후를 띨 수 있음.
• 예) 천문학 혁명과 뉴턴, 데카르트, 홉스의 메커니즘의 등장(새롭게 부상한 이론과의 양립불가능성 또는 설명방식 및 전제에서의 차이), 17세기 과학의 엄청난 성장(점성술의 지체와 대비됨).
- 이러한 상황은 점성술의 전망을 어둡게 한 좋은 이유를 제공하긴 하지만, 그것이 점성술을 사이비과학으로 간주하거나 점성술을 반박할 충분한 이유가 되지는 못함.

■ 상대주의적 성격 [pp. 229-230]
- 태거드의 기준은 그 사회적 성격 때문에 일종의 문화적 상대주의를 제안하는 것일 수도.
• (i) 어떤 고립된 집단에서 대안 이론을 알지 못한 채 점성술을 수행하는 경우 그들에게 점성술은 과학적인가?
• (ii) 반대로 외계생명체에 의한 대안 이론이나 미래에 있을 대안 이론을 상정할 경우, 현재의 이론은 모두 사이비과학인가?
- (i)은 대안을 너무 좁게 봤고, (ii)는 대안을 너무 넓게 본 것임.
- “대안”은 이 세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임.
• 가정(1): 한 공동체가 접근할 수 있는 어떤 종류의 의사소통망이 있다.
• 가정(2): 대안을 찾을 책임이 개인과 공동체에 있다.
• 가정(2)가 합리성의 일반적 특성이며, 사이비과학이라는 판정을 피하기 위한 현실 도피를 배제하는 데 충분한 기준.

■ 결론 [p. 230]
- 태거드의 관심은 사회에 있음. 현대 사회는 두 가지 쌍둥이 문제에 직면함.
• 문제(1): 과학의 진보에 대한 공적인 관심 결여
• 문제(2): 과학과 기술에 의해 제기된 중대한 윤리적 문제에 대한 공적인 관심 결여.
- 두 가지 관심이 결여된 이유는 대중들 사이에 널리 퍼진 사이비과학과 신비주의 때문.
- 과학과 사이비과학의 차이를 해명하는 문제는, 진짜 과학에 대한 대중적 무시를 극복하기 위한 철학적 작업임.
  
  
(2017.11.18.)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외국 가요] 빌리 홀리데이 (Billie Holiday)

Billie Holiday - I’m a fool to want you ( www.youtube.com/watch?v=qA4BXkF8Dfo ) ​ Billie Holiday - Blue Moon ( www.youtube.com/watch?v=y4b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