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11/16

[과학철학] Feyerabend (2010), Against Method, Ch 4 요약 정리

     

[ Paul Feyerabend (2010), Against Method, 4th edition (Verso), pp. 27-32.
  Paul Feyerabend (1975), Against Method, 1st edition (New Left Books).
  파울 파이어아벤트, 「제4장」, 『방법에 반대한다』 (그린비, 2019), 93-101쪽. ]
  
  
[p. 27, 93-94쪽]
- 기존 관점에 대한 검토는 양립불가능한 대안을 포함할 수 있고, 그래서 최초의 난점이 나타나기 전까지 대안을 연기시키라는 (뉴튼식) 조언은 앞뒤가 바뀐 것.
- 자신의 이론이 가지는 최대한의 경험적 내용에 관심을 가지는 과학자는 그 이론을 ‘경험’, ‘데이터’, 또는 ‘사실들’과 비교하기보다는 다른 이론과 비교할 것이며, 경쟁에서 진 것으로 보이는 관점들을 배제하기보다는 개선시키려고 할 것임.
• 대안들은 과거의 것에서 얻을 수도 있기 때문임.
• 한 주제의 역사 전체가 그 주제의 가장 진보된 단계를 개선하기 위해 활용됨.
• 따라서 과학사, 과학철학 및 과학 그 자체 사이의 구분은 사라지고 과학과 비-과학의 구분도 사라짐.
 
[pp. 28-32, 95-100쪽]
- 헤세: “어떤 형이상학이라도 좋다면, 왜 우리는 아리스토텔레스주의나 부두교에서 가능한 현대과학에 대한 비판으로 돌아가지 않는가?”
- 파이어아벤트: 진보는 헤세 박사가 추방했던 것 같은 종류의 ‘과거로부터의 비판’에 의해 종종 이룩되어 왔음.
- 사례(1): 아리스토텔레스와 프톨레마이오스 이후 폐기되었던 피타고라스의 견해가 코페르니쿠스에 의해 재생되었고, 이 과정에 헤르메스주의의 문서가 중요한 역할을 함.
• 뉴튼도 헤르메스주의의 문서를 연구함.
- 어떠한 관념도 그것의 모든 분지까지 검토되지는 않으며, 어떠한 관점도 그것이 가져야 할 모든 기회를 가지는 것이 아님.
• 이론들은 그 진가를 나타낼 기회를 얻기 전에 포기됨.
• 고대의 이설 등이 이상해 보이는 것은 그것의 과학적 내용이 알려지지 않았거나, 문헌학자나 인류학자에 의해 왜곡되기 때문임.
- 사례(2): 부두교를 후진성과 혼란의 패러다임으로 이용하지만, 우리는 아직 부두교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했음.
• 부두교에 대한 지식은 우리들의 생리학 지식을 풍부하게 하고 개정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음.
- 사례(3): 중국 전통의학의 부흥
• 서양 의학과 양립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전통의학이 배제됨.
• 그러다 1954년부터 중국에서 부르주아적 요소를 숙청하면서 전통의학 부흥을 위한 캠페인이 시작됨. 이는 정치적 이유에 의해 시작된 캠페인.
• 캠페인의 두 요소: (1) 서양과학과 부르주아 과학의 동일시 (2) 과학을 정치적 감시로부터 제외하는 것과 전문가에게 특권을 주는 것에 대한 거부
• 현대 의학에서 재현할 수 없고 설명할 수도 없는 진단의 효과나 수단이 존재함을 알게 됨. 서양의학은 약초가 유기체 전체의 상태를 바꿀 수 있다는 것과 병이 든 것은 유기체 전체의 상태와 관련되어있음을 간과함.
• 지식은 관점의 증식에 의해 얻어지며, 관점의 증식은 비-과학적 동인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음.

[p. 32, 100-101쪽]
- 다원주의적 방법론 옹호
 
 
(2021.05.30.)
    

댓글 없음:

댓글 쓰기

2025년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대한 감상

이재명의 대통령 당선을 보면서 정말 천운이라는 것이 있는 것인가 싶었다. 주요 대선 주자들은 죄다 자기 발에 자기가 걸려 알아서 자빠졌지, 올망졸망한 잠재적 경쟁자들은 크지 않지, 무언가 안 좋은 것에 많이 얽혀 있는 것은 분명한데 이리저리 잘 피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