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20

정◯◯ 기자는 정말로 나를 고소하려나?



<한겨레> 정◯◯ 기자가 정말로 나를 고소하려나 보다. <네이버>로부터 “방송통신심의위원회를 대신하여 네이버에서 안내드립니다”라는 이메일을 받았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명예훼손분쟁조정팀에 정보제공 청구 건이 접수되었기에 당해 위원회로 의견을 제출하실 수 있도록 안내”한다는 내용이다. 정◯◯ 기자가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명예훼손분쟁조정팀에 정보제공 청구를 했으니 이의신청 할 생각이면 기한 내에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서면(우편, 구술, 전자문서 등)으로 제출하라고 한다.


정보제공 청구서에 따르면, 정◯◯ 기자는 내가 블로그를 통해 정◯◯ 기자의 명예를 훼손했으니 명예훼손 소송을 제기할 수 있도록 소 제기를 위한 성명, 주소, 생년월일 등을 알려달라고 했다고 한다. 명예훼손죄가 성립하려면 공연성, 특정성, 비방의 목적이 충족되어야 한다. 이 경우는 공연성과 특정성은 충족되고 비방의 목적이 문제가 될 것인데 나는 도대체 정◯◯ 기자를 어떻게 비방했나? 정보제공 청구서에는 이렇게 그 근거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정◯◯ 기자가 그 동안 글쓰기 칼럼을 연재하고 글쓰기 교육 책도 냈다는 사실이다. 한 신문사에서 글쓰기 칼럼을 맡은 사람의 글이 이 정도라는 것은 상황이 심각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내가 욕을 한 것도 아니고 허위사실을 유포한 것도 아니고 기자가 글을 못 써서 글을 못 쓴다고 한 마디 한 거 가지고 명예훼손으로 고소하겠다는 것이다.

그런데 내가 한 짓이 명예훼손에 해당한다면 사실적시에 의한 명예훼손인가, 허위사실에 의한 명예훼손인가? 명예훼손죄는 공연히 사실 또는 허위의 사실 적시하여 사람의 명예를 훼손함으로써 성립하는 범죄이므로 사실적시에 의한 명예훼손이든 허위사실에 의한 명예훼손이든 둘 중 하나에 해당되어야 할 것이다. 일단 허위사실에 의한 명예훼손은 아니다. 글을 못 쓴 것도 맞고, 신문사에서 글쓰기 칼럼도 연재했고 글쓰기 교육 책도 냈기 때문에 허위사실이 하나도 없다. 그러면 사실적시에 의한 명예훼손인가? 그렇다면 정◯◯ 기자는 본인이 글을 못 쓴다는 것이 사실임을 인정하는 것인가? 아니면 정◯◯ 기자는 본인이 글을 잘 쓴다고 생각하는데 내가 글을 못 쓴다고 한 것이 허위사실이라고 생각하는 건가? 그러면 나는 허위사실에 의한 명예훼손으로 고소를 당한 뒤 법원에서 판사 앞에서 정◯◯ 기자의 글을 분석하면서 왜 못 썼는지 설명하고 허위사실에 의한 명예훼손에서 사실적시에 의한 명예훼손으로 혐의가 바뀌어야 하는 것인가? 이럴 거면 아예 처음부터 모욕죄로 걸었으면 되는 거 아닌가? 정◯◯ 기자는 기자가 글을 못 썼다고 말하는 것이 모욕죄에 해당하지 않음을 애초부터 알았을 것이고, 그래서 명예훼손으로 고소하여 나에게 겁을 주려고 한 것으로 보인다.

일단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명예훼손분쟁조정팀에 이의신청서를 낼 것이다. 진짜로 소송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얼마나 될지는 모르겠는데, 소송으로 넘어가면 나는 끝까지 갈 것이다. 일단 “표현의 자유를 강조하던 <한겨레> 기자가 자기보고 글 못 썼다고 지적한 <한겨레> 주주를 명예훼손으로 고소한 사건”에 대한 소셜 펀딩으로 시작할 것이다. 얼마나 모일지는 모르겠으나 그렇게 소송 비용을 마련하고 진행 과정을 중계할 것이다.

기자가 글 못 썼다고 한 마디 한 사람을 명예훼손으로 고소하는 일이 이전에 있었나? 찾아보지 않았지만 아마도 이런 일이 대한민국 수립 이후 처음 있는 일일 것이다.

* 뱀발(1)

어머니께 내가 명예훼손으로 고소당할 수 있다고 하면서 어떻게 된 일인지 설명하자 어머니는 아무렇지 않다는 표정으로 이렇게 말했다. “기자가 우리 ◯◯이한테 혼나려고 그러나 보네?” 어머니께서 건설업체에서 보낸 내용증명 서류만 보고도 사색이 되었던 것이 불과 몇 년 전 일인데 그 동안 이렇게 바뀌었다.

* 뱀발(2)

정◯◯ 기자는 “‘윤석열차’와 윤석열 정부의 ‘표현의 자유’”라는 칼럼에서 다음과 같이 표현의 자유를 강조한 바 있다.


‘표현의 자유’는 헌법에 나와 있는 자유권적 기본권의 하나다. 자기 생각이나 의견을 억압받거나 검열받지 않고 표현할 수 있는 자유를 뜻한다. 대한민국 헌법은 21조에 이런 내용을 규정해놓았다. ‘표현의 자유’는 근대 서양 사회에서 시민이 자유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졌다.


최근 문화예술 분야에서 ‘표현의 자유’ 논란이 일었다. 고등학생이 그린 대통령 풍자 카툰인 <윤석열차>가 그 진원이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이 그림을 조처하겠다고 밝히면서 논란은 국정감사로 번졌다. [...] 이 그림은 카툰이란 형식을 빌려 우리 사회 최고 권력자를 풍자하고 비판한 것이다. 권력 집단은 견제받아야 한다는 건, 자유민주주의의 근간이다. 그 견제 방법 가운데 하나가 카툰 또는 만평이다.


‘자유민주주의의 근간은 표현의 자유에 있습니다.’ 2월18일 윤석열 당시 국민의힘 대통령 선거 후보가 페이스북에 쓴 글이다. 윤 대통령은 광복절 경축사 연설 13분 동안 33번이나 ‘자유’를 말할 정도로 ‘자유’를 국정 키워드로 내세우고 있다. 한동훈 장관은 자신을 임명한 대통령의 페이스북을 다시 한번 챙겨 봐야 할 것 같다.


정◯◯ 기자는 9개월 전 자기가 쓴 칼럼을 다시 읽어보아야 할 것 같다.

* 링크(1): 정◯◯과 괴벨스

( https://blog.naver.com/yabrielus/222016222109 )

* 링크(2): [한겨레] ‘윤석열차’와 윤석열 정부의 ‘표현의 자유’ / 정혁준

( www.hani.co.kr/arti/opinion/column/1063862.html )

(2023.07.20.)


댓글 없음:

댓글 쓰기

2025년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대한 감상

이재명의 대통령 당선을 보면서 정말 천운이라는 것이 있는 것인가 싶었다. 주요 대선 주자들은 죄다 자기 발에 자기가 걸려 알아서 자빠졌지, 올망졸망한 잠재적 경쟁자들은 크지 않지, 무언가 안 좋은 것에 많이 얽혀 있는 것은 분명한데 이리저리 잘 피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