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8/27

[사회과학의 철학] Groff (2011), “Getting past Hume in the philosophy of social science” 요약 정리 (미완성)

[ Ruth Groff (2011), “Getting past Hume in the philosophy of social science”, in P. Illari et al. (eds.)(2011), Causality in the Sciences (Oxford University Press), pp. 296-316. ]

14.1 Introduction

14.2 From causality to explanation

14.3 From explanation back to causality

14.4 A word on meta-theory

14.1 Introduction

297

인과성에 관한 실재론자는 인과성이 a display of powers을 포함한다고 생각함

지지자: Brian Ellis, Stephen Mumford, Alexander Bird and Nancy Cartwright

Rom Harré and E. H. Madden, George Molnar and Roy Bhaskar

이 입장은 성향 실재론으로 종종 언급됨

인과성에 관한 반-실재론은 흄에서 밀을 거쳐 형성됨.

14.2 From causality to explanation

포괄 법칙 모형

맥키 INUS

306

메커니즘

14.3 From explanation back to causality

309-310

Harré and Madden의 Causal Powers

A Realist

로이 바스카의 Theory of Science

312-313

방법론적 개체주의

14.4 A word on meta-theory

(2023.04.26.)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프라임 LEET] 2026학년도 대비 LEET 전국모의고사 안내

https://invite.kakao.com/tc/NVNEFmM9U1 ​ 올해 7/20 리트 응시자분들을 위한 단체 채팅방입니다. ​ 리트 언어이해, 추리논증 관련 읽을 만한 논문 등을 게재하고, 6/1부터 매일 세 문제씩 푸는 모형추리(기출이 아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