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9/28

[과학기술학] 홍성욱 (2016), 4장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요약 정리 (미완성)

    

[ 홍성욱, 『홍성욱의 STS, 과학을 경청하다』 (동아시아, 2016). ]

  

  

  1. 융합

  2. 성공적인 팀과 리더십

  

  

  1. 융합


■ 연구자 간 협동 연구의 성격을 띠는 융합 연구 [271-274쪽]

-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의 DNA 구조 발견

- 스탠리 코언과 허버트 보이어의 유전자 재조합

- 앤드루 파이어와 크레이그 멜로의 RNA 간섭 현상 발견

 

■ 기업에서의 융합 연구 [274-277쪽]

- 딥마인드의 CEO 허사비스: 게임 프로그래밍과 뇌 과학을 융합

- 제록스의 팰로알토 연구소에서 개발한 컴퓨터 마우스는 당시 가격 400달러. 애플의 스티브 잡스는 호비-켈리 디자인 회사에 20달러 내외인 마우스 제작을 의뢰


■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융합 연구 [274-279쪽]

- 핵폐기물 처리장은 1만 년 이상 유지되어야 함

- 1만 년 뒤 후손들이 핵폐기물 처리장의 위험성을 알아볼 수 있는 디자인을 만들기 위해 다학제적 융합 연구를 함


■ 기술과 인문학의 융합 [279-284쪽]

- 애플의 스티브 잡스

- 미국의 엔지니어이자 철학자인 데이먼 호로위츠

- 인텔의 ‘상호작용 및 경험 연구소’

- 자동차 산업에서 요구되는 인문학 - 주의 분산 등


■ 테크노사이언스에 인문학을 접목해야 하는 필요성 [288-289쪽]

- 테크노사이언스는 비-인간을 이해하고 통제하는 데 익숙하지만 인간 행위자에게 소홀해지기 쉬움

- 인문학은 역사, 철학, 문학, 인류학 등 분과에서 축적된 지식과 경험으로 인간을 해석하지만 인문학은 비-인간에 주목하지 않음

- 인간과 비-인간은 연결되어 있으므로 인문학과 과학기술을 엄격하게 분리하는 것은 잘못된 생각



  2. 성공적인 팀과 리더십


■ 17세기에 등장하는 협동 연구의 이상 [292-295쪽]

- 베이컨의 『뉴 아틀란티스』에 등장하는 협동 연구

- 베이컨은 정부에 의한 과학 연구 지원을 주장함

- ‘솔로몬의 집’ 연구소에서 총 36명이 체계적인 협동 연구를 진행함

- 베이컨이 살던 시기에 이미 몇몇 과학 분야에서 협동 연구가 진행됨

예) 지도 제작자 오르텔리우스가 만든 16세기 지도책 『테아트룸』. 여행가와 지도 제작자들에게 정보를 받아 여러 번 개정판을 출판함


■ 실험실 리더십의 요소 [303-308쪽]

(1) 리더가 예상치 못한 결과에 주목해야 함.

(2) 신뢰

  

  

(2017.11.05.)

      

댓글 없음:

댓글 쓰기

2025년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대한 감상

이재명의 대통령 당선을 보면서 정말 천운이라는 것이 있는 것인가 싶었다. 주요 대선 주자들은 죄다 자기 발에 자기가 걸려 알아서 자빠졌지, 올망졸망한 잠재적 경쟁자들은 크지 않지, 무언가 안 좋은 것에 많이 얽혀 있는 것은 분명한데 이리저리 잘 피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