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4/04

[기출문제] (서양근대철학) 서울대 철학과 대학원 논문제출자격시험 (2011년-2020년)

     

■ 서양철학전공 논문제출자격시험 영역 구분

- <I 부문> 1 영역: 서양고중세철학

- <I 부문> 2 영역: 서양근대철학

- <II 부문> 1 영역: 이론철학 1

- <II 부문> 2 영역: 이론철학 2

- <II 부문> 3 영역: 실천철학

  

  

■ 2011학년도 2학기

  

※ 아래의 네 문제 중 세 문제를 골라 대답하시오.


1. 데카르트는 <제6성찰>에서 “나는 나의 신체와 진정으로 다르고 그것 (곧 신체) 없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이 확실하다” (AT VII 78)고 주장함으로써 영혼과 신체의 이른바 ‘실제적 구별’ (‘real distinction’)을 개진한다. 영혼과 신체가 실제적으로 다르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며 어떠한 근거를 들어 데카르트는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가? 또한 이러한 근거를 받아들인다면 ‘실제적 구분’에 대해서는 어떤 반론을 제기할 수 있는가?


2. 흄은 A Treatise of Human Nature, Book I Part IV Section VI에 ‘개인의 동일성’ (Personal Identity)에 대한 견해를 피력한다. 제공된 지문에 근거하여 흄의 ‘개인의 동일성’에 대한 견해를 정확하게 소개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3. 칸트에서 공간・시간의 ‘경험적 실재성’과 ‘초월적 관념성’ 개념을 설명하시오.


4. 헤겔 정신현상학에서 “진상은 전체”임을 설명하시오.



■ 2012학년도 1학기

 

※ 아래의 네 문제 중 세 문제를 골라 대답하시오.


1. 제1성찰의 논의로 인해 광범위한 회의주의에 빠진 데카르트는 제2성찰에서 “생각하는 나의 존재”의 확실성에 근거하여 회의의 심연에서 벗어난다. (1) 이른바 “cogito ergo sum”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논변을 소개하라. 특히 왜 “걸어가고 있는 나의 존재”는 “생각하는 나의 존재”만큼 확실치 않은지를 데카르트 입장에서 설명하시오 (2) 데카르트의 이러한 주장은 얼마나 설득력이 있는지 스스로의 입장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2. 흄은 A Treatise of Human Nature, Book I Part III Section XIV 에서 ‘idea of necessary connection’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한다. 여기 제시된 ‘필연적 연관’의 관념에 대한 흄의 견해를 정확하게 소개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3. 칸트에서 ‘일반[형식] 논리학’과 ‘초월 논리학’의 관계를 설명하시오.


4. 헤겔 정신현상학에서 자기의식의 ‘생(Leben)’을 설명하시오.



■ 2012학년도 2학기


※ 아래의 네 문제 중 세 문제를 골라 대답하시오.


1. 데카르트는 <제일철학에 관한 성찰>에서 신 존재 증명을 두 번에 걸쳐 제시한다. 이 중 제3성찰에 등장하는 신 존재 증명을 정확하고 자세하게 서술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시오.

 

2. 흄은 <A Treatise of Human Nature>, Book I Part IV Section II “Of Scepticism with regard to the Senses”에서 지각되지 않는 물체(body)의 지속적인 존재에 대한 우리의 믿음을 비판하는 논변을 펴고 있다. 이 논변을 정확하고 자세하게 서술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시오.

 

3. 칸트 지식이론에서 ‘경험(Erfahrung)’이란 무엇이며, 그것을 가능하게 조건들은 무엇인지 서술하시오.

 

4. 헤겔이 정신현상학을 “의식의 경험의 학”이라고 할 때, ‘경험(Erfahrung)’이란 무엇이며, 헤겔은 그 주요과정을 무엇으로 보는지 서술하시오.



■ 2013학년도 1학기

 

※ 아래의 네 문제 중 세 문제를 골라 대답하시오.

 

1. 데카르트는 <제일철학에 관한 성찰>의 제1성찰에서 다양한 회의주의 논변을 제시하는데, 이 가운데 이른바 ‘꿈의 논증’과 ‘악령의 가설’이 대표적이다. (1) 이 두 논증은 정확하게 소개하고 두 논증이 어떻게 다른지를 명확하게 설명하라. (2) 데카르트가  <제일철학에 관한 성찰> 전체를 통하여 이 두 회의주의 논변에 대한 설득력 있는 해결책을 내놓았는지를 논하라.


2. A Treatise of Human Nature, Book I, Part III, Section VI에서 흄은 원인으로부터 결과에로의 추론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Since it appears, that the transition from an impression present to the memory or sense to the idea of an object, which we call cause or effect is founded on past experience, and on our remembrance of their constant conjunction, the next question is, Whether experience produces the idea by means of the understanding or of the imagination; whether we are determin’d by reason to make the transition, or by a certain association and relation of perceptions.


흄은 위에서 언급한 ‘the next question’을 이어지는 본문에서 어떻게 답하는가? 흄의 답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흄의 답이 설득력이 있는지를 그가 제시한 논거를 검토하며 논하시오.


3. 칸트 초월철학에서 “지각의 예취들의 원리: 모든 현상들에서 실재적인 것, 즉 감각의 대상인 것은 밀도적 크기, 다시 말해 도[度]를 갖는다.”(KrV, B207)를 해설하시오.


4. 헤겔에서 “사고와 존재가 하나임[동일함]”(PdG: GW9, 39)을 설명하시오.



■ 2013학년도 2학기


※ 아래의 네 문제 중 세 문제를 골라 대답하시오.


1. 제6성찰에서 데카르트는 “우리의 몸과 마음은 실제로 다르다 혹은 구분된다”는 논변을 제시한다. (1) 이른바 ‘Real Distinction Argument’로 불리는 이 논변은 어떤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제시된 논변인가? 곧 데카르트가 우리의 몸과 마음이 실제로 구분된다고 할 때 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2) ‘실제적 구분 논변’을 소개하라. (3) 이 논변을 스스로의 입장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2. 흄은 A Treatise of Human Nature, Book I Part I Section I Of the Origin of our Ideas 에서 인상(impression)과 관념(idea)에 관한 그의 유명한 주장인 이른바 ‘모사테제’ (Copy Thesis) - “all our simple ideas in their first appearances are derived from simple impressions, which are correspondent to them, and which they exactly represent” - 를 제시한다. 왜 모사테제를 받아들여야 하는지를 논변을 열심히 편 후 흄은 놀랍게도 이 테제를 위반하는 이른바 ‘비어있는 푸른색 띠’ (missing shade of blue) 반례를 스스로 제시한다. (1) 흄이 제시하고 있는 ‘비어있는 푸른색 띠’의 예를 정확하게 소개하고, 과연 흄의 말대로 이 경우가 모사테제의 반례에 해당되는지 논하시오. (2) 이 반례에 대한 흄의 대응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시오.

  

3. 칸트 인식이론에서 ‘경험의 유추’란 무엇이며, “모든 실체들은 공간상에서 동시에 지각될 수 있는 한에서 일관된 상호작용 속에 있다.”는 원칙이 함의하는 바는 무엇인가?


4. 헤겔이 말하는바 “자기의식은 오직 또 다른 자기의식에서만 자기의 충족에 이른다.”는 정신의 국면을 설명하시오.

 

 

■ 2014학년도 1학기

 

※ 아래의 네 문제 중 세 문제를 골라 대답하시오.

 

1. 제1성찰에서 데카르트는 “꿈의 논증(Dream Argument)”과 “악령의 가설(Evil Demon Hypothesis)”을 도입함으로써 회의주의적 태도를 취할 것을 설파하고 있다. (1) “꿈의 논증”과 “악령의 가설”을 정확하게 설명하고 이 두 논증과 가설이 데카르트가 확립하려고 하는 회의주의적 태도를 정당화하는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 설명하시오. 특히 두 논증이 목표로 삼고 있는 믿음이나 지식 간에 차이가 있다면, 그 차이가 어떤 것인지 정확하게 설명하시오 (2) 이 두 논증이 얼마나 설득력이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2. A Treatise of Human Nature, Book I, Part III, Section VI, “Of the inference from the impression to the idea”에서 흄은 다음과 같이 주장하고 있다:


there can be no demonstrative arguments to prove, that those instances, of which we have had no experience, resemble those, of which we have had experience.


(1) 흄은 어떤 근거에서 이렇게 주장하는가? 흄의 논변을 정확하게 소개하고, (2) 이 논변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3. 칸트 인식이론에서 공간과 시간의 “경험적 실재성(empirische Realität)”과 “초월적 관념성(transzendentale Idealiät)”을 설명하시오.

 

4. “두 자기의식은 생사를 건 투쟁을 통해 자기 자신을 그리고 상호 확증한다.”는 헤겔의 말에서 “생명(Leben)”의 의미를 새겨보시오.

 

 

■ 2014학년도 2학기

 

※ 아래의 네 문제 중 세 문제를 골라 대답하시오.


1. 데카르트는 <제1성찰>에서 각종 회의주의 논변을 펼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외부세계의 존재를 의심케 한다. 이후 <제6성찰>에서 데카르트는 외부세계의 존재를 다시 확립하고자 하는 논변을 펼친다. (1) <제6성찰에> 등장하는 이 ‘외부세계 존재’ 논변을 자세하게 소개하고, (2) <제1성찰>에서의 회의주의 논변들에 비추어 봤을 때, 이 ‘외부세계 존재’ 논변이 설득력이 있는지 찬반의 입장을 들어 논하시오.

  

2. A Treatise of Human Nature, Book I, Part III, Section IX, “Of the idea of necessary connexion”에서 흄은 ‘필연적 연결(necessary connexion)’에 대한 관념의 분석을 진행한다. (1) 여기서 흄의 논의에 따르면 필연적 연결에 대한 관념은 어떻게 생겨나는지를 상세히 설명하고 (2) 흄의 이러한 설명을 찬반의 입장을 들어 논하시오.


3. 칸트 인식이론에서 ‘판단(Urteilen)’과 ‘사고(Denken)’의 관계를 설명해보시오.


4. 헤겔 정신현상학에서 ‘지성(Verstand)’의 기능과 위상을 설명해보시오.



■ 2015학년도 1학기


※ 아래의 네 문제 중 세 문제를 골라 대답하시오.


1. 데카르트는 <제3성찰>에서 “모든 명석판명한 관념은 참이다”라는 원칙을 정당화하기 위해 신 존재 증명을 수행한다. 많은 독자들은 이러한 정당화 작업이 순환적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제3성찰>에 등장하는 순환논증-이른바 “Cartesian Circle”-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설명하고, 데카르트가 이러한 지적에 대해 어떤 대응을 취할 수 있을지 논하시오.

      

2. 흄은 A Treatise of Human Nature, Book I Part I Section I Of the Origin of our Ideas에서 인상(impression)과 관념(idea)에 관한 그의 유명한 주장인 이른바 ‘모사테제’ (Copy Thesis) - “all our simple ideas in their first appearances are derived from simple impressions, which are correspondent to them, and which they exactly represent” - 를 제시한다. 이후 Treatise, Book I Part III Section VI Of the inference from the impression to the idea에서 등장하는 인과적 추론에 대한 흄의 비판적 분석에 비추어 보았을 때 (특히 ‘항상성 테제’ (Uniformity Principle)에 대한 그의 분석을 고려했을 때), 흄이 제시하는 모사테제의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3. 칸트가 『순수이성비판』에서 말하는 영혼의 “세 근원적 원천”(곧 ‘감각기능[감관]’・‘상상력’・‘통각’)과 “마음의 두 원천”(곧 ‘감성’과 ‘지성’)의 이동(異同)을 설명해보시오.

  

4. 헤겔 『정신현상학』에서 ‘정신현상학(Phänomenologie des Geistes)’이 뜻하는 바를 풀이해보시오.



■ 2015학년도 2학기

 

※ 아래의 네 문제 중 세 문제를 골라 대답하시오.


1. 데카르트는 <제1성찰>에서 다양한 회의주의 논변을 제시한 후 이후의 <성찰>들을 통해 이 회의주의를 극복하려고 시도한다. (1)<제1성찰>에서 등장하는 회의주의 논변을 상세히 소개하고 (2)<성찰> 전체를 통하여 데카르트가 스스로 제시한 회의주의 논변들을 극복하는지를 찬반의 입장을 들어 논하시오.


2. 흄은 “모든 관념은 인상의 모사이다”라는 모사테제(copy thesis)를 그의 인식론의 핵심 원칙으로 제시한다. 흄은 또한 관찰하지 않은 경험적 사실(unobserved matters of fact)에 대한 우리 믿음의 정당성에 관한 흥미로운 고찰을 제시하기도 한다. <Treatise>의 일부 독자는 관찰하지 않은 경험적 사실에 대한 믿음의 정당성에 관한 흄의 논의와 흄의 모사테제 개진이 서로 일관적이 않다는 지적을 한다. (a)모사테제와 (b)관찰하지 않은 경험적 사실에 대한 믿음의 정당성에 관한 그의 분석 사이의 일관성에 관해, 찬반의 입장을 들어 논하시오.

   

3. 칸트에서 이른바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라고 일컬어지는 “사고방식의 변혁”이 함축하는 바를 설명하시오.

4. 인간 문화사에서 노동(Arbeit)의 의미를 헤겔에 따라 설명해보시오.

 


■ 2016학년도 1학기


※ 아래의 네 문제 중 세 문제를 골라 대답하시오.


1. 데카르트가 <제일철학에 관한 성찰>에서 확립한 이원론에 따르면 몸과 마음 (정신 혹은 영혼)은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데카르트가 이 주장을 어떻게 확립하는지를 설명하고, 그 확립 근거를 심신상호작용의 문제와 연관 지어 논하라.

 

2. A Treatise of Human Nature, Book I, Part IV, Section VI, “Of personal identity”에서 흄은 다음과 같은 입장을 어떻게 비판하고 있는지 설명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There are some philosophers, who imagine we are every moment intimately conscious of what we call our Self; that we feel its existence and its continuance in existence; and are certain, beyond the evidence of a demonstration, both of its perfect identity and simplicity. The strongest sensation, the most violent passion, say they, instead of distracting us from this view, only fix it the more intensely, and make us consider their influence on self either by their pain or pleasure. To attempt a farther proof of this were to weaken its evidence; since no proof can be derived from any fact, of which we are so intimately conscious; nor is there anything, of which we can be certain, if we doubt to this.

 

3. 칸트 인식이론에서 직관 형식과 지성 형식이 어떤 점에서 유사하며 어떤 점에서 상이한지를 설명하시오.

 

4. “두 자기의식은 생사를 건 투쟁을 통해 자기 자신을 그리고 상호 확증한다”는 헤겔의 분석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설명하시오.

 

 

■ 2016학년도 2학기


※ 아래의 네 문제 중 세 문제를 골라 대답하시오.

 

1. 데카르트는 <제일철학에 관한 성찰>의 제3성찰에서 신에 대한 관념과 두 개의 인과 원칙에 근거하여 신 존재 증명을 시도한다. 이 증명을 상세히 소개하고, 이 증명이 얼마나 설득력이 있는지를 논하시오.


2. 흄은 <An Enquiry concering Human Understanding>, “4. Skeptical Doubts concerning the Operations of the Understanding” 에서 관찰하지 않은 경험적 사실(unobserved matters of fact)에 대한 우리의 믿음들은 정당화될 수 없다는 논변을 편다. 이 논변을 정확하게 소개하고 (특히 “the future will resemble the past”라고 하는 명제의 역할에 대한 흄의 분석을 포함시키고), 흄의 논변이 얼마나 설득력이 있는지를 논하시오. 


3. 칸트의 인식이론에 따르면, 시간과 공간은 인간 이성의 직관 형식일 뿐이다. 곧 물 그 자체(Dinge an sich)가 시·공간적이지 않다는 주장을 칸트는 펴고 있다. 그런데 물 그 자체가 시·공간적이지 않다는 주장은 칸트 이론에서 정당화될 수 있는가? 찬반을 입장을 들어 논하시오.

   

4. 헤겔 『정신현상학』에 등장하는 핵심 개념들인 ‘자기의식,’ ‘욕구’ 그리고 ‘생’을 상세히 소개하고 그 관계를 논하시오.

  

 

■ 2017학년도 1학기

 

※ 아래의 네 문제 중 세 문제를 골라 대답하시오.

 

1. 데카르트는 <제일철학에 관한 성찰>의 제1성찰에서 회의주의를 확립하기 위해 다양한 논변을 개진한다. (1) 이 가운데 데카르트가 외부 대상 세계의 존재를 의심하기 위해 도입하는 논변은 무엇인가? 이 논증을 상세히 소개하시오. (2) 데카르트는 <성찰> 전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외부세계의 존재를 인정하고 있다. 앞서 (1)에서 스스로가 제시한 논변을 데카르트는 나머지 <성찰>들에서 어떻게 재논박하여 외부세계가 존재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가? 외부 세계의 존재를 정당화하는 데카르트의 논변을 정확하게 소개하고 이 논변이 얼마나 설득력이 있는지를 논하시오. 


2. 흄은 <An Enquir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2. Of the Origin of Ideas” 에서 이른바 ‘모사테제(copy thesis)’를 개진한다. 모사테제가 무엇인지 상세히 설명하고 흄이 이러한 테제를 정당화하기 위하여 어떤 근거를 제시하는지 설명하시오. 또한 이 ‘모사테제’에 대한 반례를 흄이 스스로 제시하는데, 그 반례가 무엇이고 이 반례가 왜 문제가 되는지를 논하시오.

 

3. 칸트의 인식이론에 따르면, 시간과 공간은 ‘경험적 실재성’과 ‘초월적 관념성’을 갖는다. 시간과 공간이 경험적으로는 실재적이며 초월적으로는 관념적이라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칸트의 이러한 입장을 상세히 설명하되, (1) 이 때 여기에서 사용되는 ‘실재성’과 ‘관념성’의 의미를 명확히 하고 (2) 칸트가 이 때 의도하고 있는 ‘실재성’ 개념이 타당한지 찬반의 입장을 들어 논하시오.

    

4. 헤겔 『정신현상학』에 따르면 자기의식은 오로지 다른 자식의식에서만 “자기의 충족”에 이른다고 주장한다. 헤겔은 어떤 근거에서 이러한 주장을 하는지를 상세히 설명하고 이러한 주장의 타당성을 찬반의 입장을 들어 논하시오.

  

 

■ 2017학년도 2학기


※ 아래의 네 문제 중 세 문제를 골라 대답하시오.


1. 데카르트는 <제일철학에 관한 성찰>의 제6성찰에서 외부 물질 세계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논증한다. 이 논증을 상세히 소개하고 이 논증이 설득력이 있는지 찬반의 입장을 들어 논하시오.


2. 흄은 <An Enquiry concering Human Understanding>, “4. Of Miracles”에서 기적(miracles)에 대한 우리 믿음의 근거들이 합리적이지 않다는 주장을 편다.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흄의 논증을 상세히 소개하고 이 논증이 설득력이 있는지 찬반의 입장을 들어 논하시오.


3. 칸트는 <순수이성비판> A158/B197에서 선험적 종합판단들이 객관적 타당을 갖는 이유로 “경험 일반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들은 동시에 그 경험의 대상들을 가능하게 한는 조건들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경험의 가능성 조건이 경험 대상의 가능성 조건이라는 주장의 의미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이러한 주장이 어떻게 선험적 종합판단의 객관적 타당성을 확보해주는지 설명하시오. 


4. 헤겔은 <정신현상학>에서 대상의식의 변증법적 운동을 설명하며 ‘지각(Wahrnehmung)’이 지양되어 ‘지성(Verstand)’에 이르게 되는 과정을 서술하고 있다. 이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고 그 철학적 의미를 논하시오.

 

  

■ 2018학년도 1학기


※ 아래의 네 문제 중 세 문제를 골라 대답하시오.


1. 『제일철학에 관한 성찰』 제3성찰에서 데카르트는 “모든 명석판명한 관념은 참이다”는 주장을 정당화하려 한다. 많은 독자들은 이 과정에서 데카르트가 순환논증에 빠진다는 문제를 제기해 왔다. 모든 명석판명한 관념이 참임을 증명하려는 데카르트의 논증이 과연 순환적인지 찬반의 입장을 들어 논하시오.


2. 흄은 <An Enquir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Section 2 “Of the Origin of Ideas”에서 이른바 “모사테제”(Copy Thesis)를 제시한다. 곧 이어 흄은 ‘비어있는 푸른색 색조띠(missing shade of blue)’의 반례를 제시한다. 이 색조띠 사례를 정확하게 소개하고 과연 이 사례가 모사테제에 대한 반례가 되는지 찬반의 입장을 들어 논하시오.


3. 칸트는 『순수이성비판』의 ‘감성론’에서 공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시하고 있다. 칸트의 공간 이해는 라이프니츠와 뉴우튼의 이해와 어떻게 다른가? 『순수이성비판』 ‘감성론’에서 등장하는 칸트의 공간론을 라이프니츠와 뉴우튼의 공간론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4. 헤겔은 『정신현상학』에서 “사고와 존재가 하나임[동일함]”을 주장하는데, 이 주장의 의미를 명확하게 설명하시오.

 


■ 2018학년도 2학기


※ 아래의 네 문제 중 세 문제를 골라 대답하시오.


1. 『제일철학에 관한 성찰』 제6성찰에서 데카르트는 외부세계가 왜 존재하는지를 보이려고 하는 논변을 제시한다. 제6성찰에서 등장하는 외부세계 존재 증명을 상세하게 소개하고 이 증명이 설득력이 있는지를 찬반의 입장을 들어 논하시오.

 

2. 흄은 <An Enquir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Section 4 “Skeptical Doubts concerning the Operations of the Understanding”에서 “내일 해가 뜰 것이다”와 같은 명제에 대한 우리의 믿음은 정당화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 논변을 정확하게 그리고 자세하게 소개하고 이 논변이 설득력이 있는지 찬반의 입장을 들어 논하시오. 이때 “the future will resemble the past”라고 하는 명제의 역할에 대한 흄의 분석에 대한 논의를 반드시 포함 시키시오.


3. 칸트는 『순수이성비판』의 ‘감성론’에서 공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시하고 있다. 칸트의 공간 이해는 라이프니츠와 뉴우튼의 이해와 어떻게 다른가? 『순수이성비판』 ‘감성론’에서 등장하는 칸트의 공간론을 라이프니츠와 뉴우튼의 공간론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4. 헤겔 『정신현상학』에 따르면 자기의식은 오로지 다른 자식의식에서만 “자기의 충족”에 이른다고 주장한다. 헤겔은 어떤 근거에서 이러한 주장을 하는지를 상세히 설명하고 이러한 주장의 타당성을 찬반의 입장을 들어 논하시오.

  


■ 2019학년도 1학기


※ 아래의 네 문제 중 세 문제를 골라 대답하시오.


1. 데카르트가 <제일철학에 관한 성찰>에서 확립한 이원론에 따르면 몸과 마음(정신 혹은 영혼)은 전적으로 이질적인 실체들이다. 데카르트 당시부터 이렇게 이질적인 실체들이 과연 인과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심신의 이질성에 근거하여 제기되는 심신상호작용의 문제를 명확하게 설명하고 데카르트가 이 문제를 설득력 있게 극복할 수 있는지 찬반의 입장을 들어 논하라.


2.  흄은 “모든 관념은 인상의 모사이다”라는 모사테제(copythesis)를 그의 인식론의 핵심 원칙으로 제시한다. 흄은 또한 관찰하지 않은 경험적 사실(unobserved matters of fact)에 대한 우리 믿음의 정당성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취한다. 흄을 읽은 일부 독자들은 관찰하지 않은 경험적 사실에 대한 믿음의 정당성에 관한 흄의 논의에 비추어볼 때 흄이 모사테제를 일관성 있게 개진할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한다. (a)모사테제와 (b)관찰하지 않은 경험적 사실에 대한 믿음의 정당성에 관한 그의 분석 사이의 일관성에 관해, 찬반의 입장을 들어 논하시오.


3. 칸트 인식이론에서 직관 형식과 지성 형식이 어떤 점에서 유사하며 어떤 점에서 상이한지를 설명하시오.

 

4. “두 자기의식은 생사를 건 투쟁을 통해 자기 자신을 그리고 상호 확증한다”는 헤겔의 분석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설명하시오.

 


■ 2019학년도 2학기


※ 아래의 네 문제 중 세 문제를 골라 대답하시오.


1. 데카르트는 <제일철학에 관한 성찰>에서 물리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전격적으로 제시한다. (1) 데카르트가 제시한 ‘res extensa’로서의 물리 세계는 이전 중세 아리스토텔레스주의에서 이해한 물리적 세계와 비교할 때 어떻게 다른가? 특히 데카르트에 따르면 “연장되어 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2) 그런데 혹자는 이러한 연장이라는 속성이 과연 물체성을 확보하기에 충분한지 의문을 표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의문에 데카르트가 설득력 있게 대응할 수 있는가? 과연 연장이 물체성을 확보하기에 충분한지 찬반의 입장을 들어 논하라.


2. 흄은 <An Enquir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에서 “필연적 연관(necessary connetion)”에 관한 관념을 비판적으로 고찰한 후 나름의 대안적 설명을 제시한다. 이 비판과 대안적 설명을 상세히 소개하고 이 논의가 얼마나 설득력이 있는지 찬반의 입장을 들어 논하라. 이때 흄이 주목하고 있는 상상력(imagination)의 역할에 대한 논의를 반드시 포함시키시오.

   

3. 『순수이성비판』의 「초월적 논리학(Transzendentale Logik)」에서 칸트는 “순수 지성 개념들의 초월적 연역”을 시도한다. 이 연역이 어떤 문제에 대답하기 위해 수행된 것인지를 밝힌 후, “통각” 개념을 중심으로 이 문제에 대답하는 칸트의 논의를 재구성하시오.

 

4. 『정신현상학』의 「자기의식」장에서 헤겔은 흥미롭게도 a)“자기의식은 여하간 욕망이다”라는 명제를 제시한 후 b)“한 자기의식은 다른 자기의식 안에서만 만족에 도달한다”라는 명제로 나아간다. a)에서 b)로 가는 헤겔의 논의를 재구성하시오.

 

   

■ 2020학년도 1학기

※ 아래의 네 문제 중 세 문제를 골라 대답하시오.

1. 데카르트의 <제일철학에 관한 성찰> 가운데 제3성찰을 읽은 독자들은 “모든 명석판명한 관념은 참이다”라는 원칙을 증명하는 논증이 순환적이라는 지적을 해 왔다. 이들이 주장하는 논증의 순환성을 정확하게 설명하고 과연 데카르트가 여기서 순환논증을 펴고 있는지 찬반의 입장을 들어 논하시오. 

2. 흄은 <An Enquir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4. Of Miracles”에서 기적(miracles)에 대한 우리 믿음의 근거들이 합리적이지 않다는 주장을 편다.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흄의 논증을 상세히 소개하고 이 논증이 설득력이 있는지 찬반의 입장을 들어 논하시오.
 
3. 『순수이성비판』의 「초월적 감성학 (Die transzendentale Ästhetik / Transcendental aesthetic)」에서 칸트는 공간과 시간 개념에 대한 “형이상학적 해설”을 수행한 다음, 이 두 개념들에 대한 “초월적 해설”을 덧붙이고 있다. 

(1) 공간과 시간 개념에 관한 칸트의 “형이상학적 해설”의 논의 내용을 분석적으로 명료하게 재구성 한 후,  
(2) 칸트가 왜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이 두 개념에 관한 “초월적 해설”을 더 시도하는지, 그리고 이 초월적 해설을 통해 말하는 바는 무엇인지를 밝히시오.  

4. “의식의 경험의 학”으로 지칭되는 『정신현상학』은 의식이 자신이 갖고 있는 “인식의 실재성”을 탐구하고 검사하는 과정, 즉 “지의 진리”를 탐구하는 여정으로 구성된다. 달리 말해 『정신현상학』은 의식이 자신의 앎의 진리 여부를 검사하면서, 지속적으로 자신의 앎의 비-진리와 새로운 지의 출현을 경험해가는 과정 전체에 대한 기술이다. 그렇다면 헤겔에 따를 때, 의식은 어떤 ‘척도’ 혹은 ‘기준’에 따라서 자신의 인식의 진리성을 검토하는 이 검사 작용을 수행해 나가는가?
  
(1) 헤겔이 『정신현상학』의 서론(Einleitung/ Introduction)에서 이 물음에 어떻게 답하는지를 밝히되,
(2) 반드시 “감성적 확신”, “지각”, “지성” 등의 의식 형태 중 하나를 예시로 삼아 헤겔이 서론에서 제시한 이 답변의 내용과 함의를 구체적으로 풀이하는 서술이 포함되도록 하시오. 
 
  
■ 2020학년도 2학기

※ 아래의 네 문제 중 세 문제를 골라 대답하시오.

1. 데카르트는 <제일철학에 관한 성찰> 의 제6성찰에서 외부세계 존재 논증을 제시한다. (1) 이 논증을 정확하고 자세하게 소개하고 이때 신의 선함이 이 논증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답안에 반드시 포함하시오. (2) 외부세계 존재 증명이 성공적이라고 생각하는가? 찬반의 입장을 들어 논하시오.

2. 흄은 <An Enquir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에서 “모든 관념은 인상의 모사이다”라는 ‘모사테제’(‘copy thesis’)를 제시한다. 모사테제에 따르면 우리가 가진 기하학적 관념들, 예컨대 직선 혹은 삼각형에 대한 관념은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가?

3. 『순수이성비판』 초판의 「개념의 분석학」에서의 서술에 따르면, “경험 일반의 가능성 및 경험 대상들의 인식 가능성이 근거하고 있는 세 가지 주관적 인식 원천”은 “감관, 상상력, 그리고 통각”이다. 그리고 여기서 칸트는, 인식이 성립되기 위해서는 이 세 원천들 각각의 측에서 반드시 모종의 종합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 세 가지 종합은 서로 결합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 “세 겹의 종합”에 관한 칸트의 서술을 명료하게 재구성하시오.

4. 헤겔의 『정신현상학』에서 대상 의식의 마지막 단계를 이루는 지성(Verstand)은 무엇을 대상으로 삼아 구체적으로 어떤 앎을 전개해 나가는 인식의 능력을 가리키며, 어떤 이유와 계기로 인해 필연적으로 자기의식으로 이행하게 되는지 상술하시오.
  
  
(2020.09.15.)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외국 가요] 맥 드마르코 (Mac DeMarco)

Mac DeMarco - Heart To Heart ( www.youtube.com/watch?v=qBoQzo98EpQ ) ​ ​ (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