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9/01

[생물학] 린 마굴리스, 7장. “초바다의 해변에서” 요약 정리 (미완성)

   
[ Lynn Margulis (1998), Symbiotic planet: a new look at evolution (Basic Books)
린 마굴리스, 『공생자 행성: 린 마굴리스가 들려주는 공생 진화의 비밀』, 이한음 옮김 (사이언스북스, 2014) ]

  
생명은 어떻게 육지에 정착했는가?
생명이 육지라는 적대적인 새로운 환경에서 살 수 있었던 것은 상생(interliving), 즉 공생 발생 덕분.
예) 식물과 곰팡이의 특수한 공생 복합체

K. A. 피로진스키와 데이비드 맬록
‘곰팡이 융합’ 개념
공생발생을 통해 곰팡이와 조류가 공진화했다는 가설을 세움

피터 에스태트
식물이 곰팡이의 분해・흡수 능력을 활용해 셀롤로오스 세포벽을 분해함.
피로진스키와 맬록의 가설의 확장

균근
공생발생의 한 형태.
곰팡이와 식물뿌리 조직의 상호 작용을 통해 형성됨.

초바다 (hypersea)
육지로 이주한 생물들이 초바다를 형성
초바다는 주로 균근 곰팡이에 의존하는 식물의 뿌리 체계(균근 공생자)를 지칭함.
육지에 있는 물의 망, 식물과 연결된 곰팡이들이라는 살아있는 물이 초바다.
  
  
(2019.09.01.)
    

댓글 없음:

댓글 쓰기

2025년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대한 감상

이재명의 대통령 당선을 보면서 정말 천운이라는 것이 있는 것인가 싶었다. 주요 대선 주자들은 죄다 자기 발에 자기가 걸려 알아서 자빠졌지, 올망졸망한 잠재적 경쟁자들은 크지 않지, 무언가 안 좋은 것에 많이 얽혀 있는 것은 분명한데 이리저리 잘 피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