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8/07

동양철학과 점의 관계

   
요즈음은 교육 수준이 높아져서 철학과 점을 연결하는 사람이 많지 않지만, 이전 세대만 해도 철학과 나오면 점 보냐고 물어보는 사람이 많았다고 한다. 철학과 출신들이 점을 봐달라는 요구에 대처하는 방법도 여러 가지였다고 한다. 철학은 그런 것이 아니라고 상대방을 무섭게 꾸짖었다는 사람이 있다. 분석철학 쪽 사람들이 그런다. 자기는 서양철학 전공이라 점을 못 보니 동양철학 전공자에게 부탁하라고 한 사람도 있다. 대륙철학 쪽 사람들이 그런다. 동양철학 전공이지만 주역을 볼 생각을 안 했는데 사람들이 하도 봐달라고 해서 주역을 공부했다는 사람도 있다. 강신주 박사가 그랬다고 한다.
  
동양철학과 점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관계가 있기는 있지만 그렇게 긴밀한 관계는 아닐 것 같다. 나의 추론은 다음과 같다.
  
- 동양철학을 정말 잘했다면 대학원에 있지 점집을 했을 리 없다.
- 점을 정말 잘 쳤다면 대학원에 있을 리 없다.
- 그러므로, 동양철학은 점은 긴밀한 관계가 아닐 것이다.
  
  
  
  
(2019.06.07.)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한국에서 넷플릭스 드라마 <삼국지>를 만든다면

리들리 스콧의 영화 <나폴레옹>은 영화가 전반적으로 재미없다는 것을 다 떠나서 약간 놀라운 게 있는데, 바로 나폴레옹이 영어를 쓴다는 점이다. 영화 <글레디에이터>처럼 고대 로마를 배경으로 한 영화도 아닌데, 나폴레옹이 주인공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