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8/23

[기출문제] (과학철학) 서울대 철학과 대학원 논문제출자격시험 (1991년 1학기-1996년 1학기)

   
■ 서양철학전공 논문제출자격시험 영역 구분
- 과학철학
- 논리 및 언어철학
- 인식론
- 형이상학 및 존재론
  
  
■ 1991년 1학기 석사

1. 과학법칙의 논리적 성격이 무엇인지 대표적인 이론들을 근거로 하여 논의해 보시오.

2. 포퍼가 말하는 “Conjecture” 개념을 종래의 inductive method와의 연관 속에서 논하시오.

3. 해석학적 입장에서 “과학”은 가능한가?

4. 가치와 과학에 관해 논하시오.

5. 사회과학에서의 Functionalism에 대해 논하시오.


■ 1991년 1학기 박사

1. 관찰이 이론에 의존한다는 주장의 정확한 뜻은 무엇인가? 정말 관찰이 이론에 의존하는지 아닌지는 이론을 우리가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달려 있다. 이 문제를 목성의 달(Jupiter’s moon)과 연소(Phlogiston)나 전자(electron)의 두 경우를 비교하면서 논하시오.

2. 해석학의 “해석” 개념이 논리실증주의적 과학의 객관성에 어떤 수정을 요구하고 있는가?

3. 논리실증주의가 과학의 이상을 초점으로 삼고 있었다면 Post-logical Positivism은 과학의 역사적 모습에 초점을 두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시각에서 두 입장의 화해가능성을 검토해 보시오.

4. 베이즈의 정리(Baye’s Theorem)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이것이 포퍼의 과학이론과 관련하여 어떤 의의를 가지는지 논하시오.

5. 과학에 관한 Kuhn과 Lakatos의 입장을 설명하고,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논의하시오.


■ 1991년 2학기 석사

1. 소위 ‘우연적’ 보편성과 ‘법칙적’ 보편성은 구별될 수 있는가? 이에 대한 Hume적인 입장과 反Hume적인 입장을 비교하면서 논의하시오.

2. 과학의 법칙과 전칭명제의 관계에 관해 논의하시오.

3. 원인에 의한 설명과 이유에 의한 설명의 차이는 무엇인가?

4. 이론과 관찰의 구분에 관한 찬반 논쟁의 요점을 서술하시오.

5. 확증의 역설(Paradoxes of Confirmation)에 대해 논하시오.


■ 1991년 2학기 박사

1. 귀납추리의 정초에 관한 철학적 문제가 어떤 문제인지 정확하게 기술하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되었던 제반 해결책들을 소개, 비판하시오.

2. 이론의 성장에 대한 역사주의적 접근법의 기본 특성을 설명하고 그 단점이 무엇인가를 논의하시오.

3. 인간의 자율성을 인정하는 것이 사회 과학의 성립과 어떤 관계에 있는가?

4. 논리 실증주의와 Popper의 과학적 탐구의 이론을 한 부류로 묶고, Kuhn과 Lakatos의 과학적 탐구의 이론을 한 부류로 묶을 수 있다면, 이것은 어떤 근거에서인가?  이들을 서로 비교 설명하시오.

5. 이론적 용어들의 문제에 관해 비판적으로 고찰하시오.


■ 1992년 1학기 석사

1. “과학이론은 해석된 공리체계이다.” 이 명제를 논하시오.

2. 포괄법칙모형(covering-law model)은 역사현상을 만족스럽게 설명할 수 있는가?

3. 인간에 관한 과학의 가능성에 대한 적극적인 논변은 어떤 것인가?

4. 과학에 있어서 법칙 명제의 성격에 관해 논하시오.

5. 헴펠과 쿤의 과학에 대한 입장을 비교, 설명하시오.


■ 1992년 1학기 박사

1. “온도”는 경험적 개념인가?

2. 과학의 발전은 누적적 과정이 될 수 없다는 주장이 있다. 이 주장 근거에 대하여 논하시오.

3. 논리실증주의는 인간에 관한 과학적 설명의 가능성을 주장한다. 해석학의 입장에서 논리실증주의의 설명모형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

4. 방법론적 전체론과 방법론적 개체론의 특성을 각각 설명하고, 그 장단점을 평가하시오.

5. 헴펠의 귀납통계적 설명모델이 가지는 이론적 난점과 이에 대한 Salmon의 대안을 비교, 설명하시오.


■ 1993년 2학기 석사

1. Craig’s Theorem의 개요를 설명하고, 그 정리가 갖는 철학적 함축을 논의하시오.

2. 반증주의와 귀납주의의 관계를 논하라.

3. 과학이론 T1을 T2로 환원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적어도 두개의 조건을 재구성하고, 비판적으로 논하라.

4. 과학이론의 정당화는 가능한가? Yes or No에 대한 변론을 해보시오.

5. “역사학은 과학이다.”는 주장에 대한 응답자의 견해는 무엇인가?


■ 1993년 2학기 박사

1. 과학이론을 이론 내부적인 논리적 관점에서 검토하는 일과 역사적 형성의 시각에서 검토하는 일의 장단은 무엇인가?

2. “과학철학은 하나의 인식론이다.” 이 주장은 타당한가?

3. 이론적 명사에 대한 실재론적 해석을 옹호하는 적어도 두 개의 논변을 재구성하고, 그 문제점을 지적하시오.

4. 의도(Intention) 또는 의지(Will)는 행위의 원인이 될 수 있는가? 이 문제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 논의를 재구성하고, 평가하라.

5. Hempel의 I-S(Inductive-Statistical) 설명 모델과 관련하여 어떤 철학적 문제가 발생하는가? 특히 Hempel의 소위 ‘애매성의 현상’이란 정확히 어떤 성격의 문제인가? 또 Hempel 이후에 새로이 발전된 모델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이 어떻게 극복되고 있는가?


■ 1994년 1학기 석사

1. 설명(explanation)과 이해(verstehen)를 대립적 관계에서 이야기하는 것은 타당한가.

2. T. Kuhn이 말하는 <Paradigm>의 내용은 무엇이며 그것의 타당성은?

3. 자연과학적 탐구에 있어서 목적론의 위치를 논하시오.

4. 과학적 실재론을 옹호하는 적어도 두개의 논변을 제시하고 그 문제점을 지적하시오.

5. 반증주의와 라카토스의 연구 프로그램을 각각 설명하고 이 둘 간의 관계를 고찰하시오.


■ 1994년 1학기 박사

1. 실재론적 입장에서 과학용어는 어떻게 해석되는가?(어느 한 이론가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2. 역사학이 자연과학과 같은 점이 있다면 그것은 무엇이며 다른 점은 무엇인가?

3. 삼단논법은 유용한 과학적 탐구의 방법인가?

4. 관찰은 이론으로 부터 독립적일 수 없다는 논지를 뒷받침하는 적어도 두개의 논변을 제시하고 그 문제점을 논하시오.

5. 포퍼의 과학적 탐구의 논리에 대한 쿤의 비판을 소개하고, 또 이에 대해 라카토스는 어떤 입장을 취했는지 논하시오.


■ 1994년 2학기 석사

1. 설명에 대한 포괄법칙모형(Covering-Law Model)을 논하시오.

2. 과학적 실재론은 어떻게 옹호될 수 있는가? 옹호될 수 없다면 왜 그러한가?

3. E. Nagel이 본 과학의 특성과 구조는 어떠한지 논하시오.

4. 귀납주의와 반증주의의 상이점과 공통점을 (쿤의 과학관과 대비시켜) 설명하시오.

5. 방법론적 전체론과 방법론적 개체론의 특성을 각각 설명하고, 그 장단점을 평가하시오.


■ 1994년 2학기 박사

1. 과학의 발전이 환원 또는 통합에 의하여 이루어진다는 견해를 설명하고, 그 문제점을 지적하라.

2. Goodman이 지적하는 ‘귀납의 수수께끼’를 상술하고, 비판적으로 논하라.

3. Aristoteles의 4원인론은 과학철학의 한 부분으로 볼 수 있는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4. 설명(Explanation)과 이해(Understanding)는 어떤 점에서 어떻게 다른지 그 각각의 기능적 특성을 비교하면서 논하시오.

5. 라카토스의 연구 프로그램에 대해 다음을 답하시오.

  ㄱ. 연구 프로그램의 내용은 무엇인가?
  ㄴ. 연구프로그램은 어떤 입장의 어떤 약점을 보완하고 있는가?
  ㄷ. 연구 프로그램은 어떤 입장과 반대에 서 있는 방법론인가? 그 이유는?


■ 1995년 1학기 석사

1. Craig의 정리를 설명하고 이 정리가 갖는 철학적 함축을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2. Dilthey의 해석학을 방법론적이라 한다면 Gadamer의 해석학은 존재론적이라 할 수 있는가? 만일 그렇다면 그 차이를 설명하시오.

3. 과학적 이론들에 대한 실재론적 견해와 도구론적 견해 간의 대립에 관해 논하시오.

4. 어떤 진술들을 “과학”이라고 부르게끔 하는 것은 무엇인가?

5. 과학적 법칙의 특성은 무엇인가? 그리고 법칙이 인과법칙이라고 할 수 있는 조건은 무엇인가?

5. 과학의 발전은 누적적 과정이 될 수 없다는 주장이 있다. 이 주장의 근거에 관하여 논하라.


■ 1995년 1학기 박사

1. Salmon의 논문 “Inductive Inference”에 소개된 귀납의 문제가 어떤 문제인지 상세히 설명하고, 귀납의 문제에 대한 가능한 두 가지의 해결책에 대하여 Salmon은 어떤 평가를 내리고 있는지 논하시오.

2. 이론용어와 관찰용어의 구별가능성에 관한 Achinstein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3. 과학에 있어서 객관성은 과연 확보될 수 있는가?

4. Popper의 과학적 탐구의 논리에 대한 Kuhn의 비판을 소개하고 또 이에 대해 Lakatos는 어떤 입장을 취했는지 논하시오.

5. 귀납의 문제란 어떤 문제인가? 이 문제에 대한 가능한 해결책은 어떤 것이 있는가?

6. 아리스토텔레스의 4원인론을 그의 방법론과 연관하여 논하시오.


■ 1995년 2학기 석사

1. Craig의 정리를 설명하고 이 정리가 갖는 철학적 함축을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2. 이론과 관찰의 구분에 관한 찬반 논쟁의 요점을 서술하시오.

3. 사회과학에서의 Functionalism에 대해 논하시오.


■ 1996년 1학기 석사

1. T. Kuhn이 말한 Paradigme이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Paradigme Shift는 어떤 경우에 일어난다고 보는가?

2. 방법으로서의 ‘이해’(Verstehen)를 거론하는 것은 타당한가?

3. 사회 현상에 대한 개체론적 접근 방법과 전체론적 접근 방법의 핵심 주장은 무엇이며, 양자의 대립은 정당한가?

4. 과학 이론은 실재 세계를 반영하는가? ‘실재’(Reality)라는 개념의 검토를 토대로 비판적으로 고찰하시오.

5. 이론이란 무엇인가? 이에 대한 대표적인 입장들을 비교·설명하고 평가하시오.


■ 1996년 1학기 박사

1. 사회 현상에 대한 개체론적 접근 방법과 전체론적 접근 방법의 핵심 주장은 무엇이며, 양자의 대립은 정당한가?

2. 과학적 방법에 대해서 ‘無方法’을 내세우는 입장은 정당한가?

3. 과학과 비과학은 구별 기준이 있는가? 비판적으로 고찰하시오.

4. 과학 이론은 실재 세계를 반영하는가? ‘실재’(Reality)라는 개념의 검토를 토대로 비판적으로 고찰하시오.

5. Hempel의 귀납·통계적 설명 모델의 난점과 이에 대한 Salmon의 대안을 설명하고 평가해보시오.
  
  
(2020.01.18.)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초등학교 셔틀버스의 전원주택 진입로 출입을 막다

전원주택 진입로에 깔린 콘크리트를 거의 다 제거했다. 제거하지 못한 부분은 예전에 도시가스관을 묻으면서 새로 포장한 부분인데, 이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몇 배 두꺼워서 뜯어내지 못했다. 그 부분을 빼고는 내 사유지에 깔린 콘크리트를 모두 제거했다.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