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4/06

[인식론] 슈토이프 (2008), 제6장 “정합론” 요약 정리 (미완성)



[ Matthias Steup (1996), An Introduction to Contemporary Epistemology (Prentice-Hall)

마티아스 슈토이프, 「제6장. 정합론」, 『현대 인식론 입문』, 한상기 옮김 (서광사, 2008) ]

정합론의 계기는 기초 믿음에 대한 회의다.

정합론을 이루는 요소

(1) 논리적 합의관계: A -> B

(2) 논리적 무모순성

(3) 설명적 관계: 최대 설명과 단순성

수준 상승의 함수

승인: 다른 경험 주장을 물리칠 때의 정합성

신뢰성

고립 반론: 믿음과 세계가 아니라 믿음들의 세계이다.

이에 대한 반론: 우리는 지각을 통해 세계와 연결되어 세계 속의 변화는 지각적 믿음에 반영된다.

(2023.04.19.)

댓글 없음:

댓글 쓰기

내가 철학 수업을 올바른 방향으로 하고 있다는 증거

대학원 다니면서 들은 학부 수업에서 몇몇 선생님들은 수업 중간에 농담으로 반-직관적인 언어유희를 하곤 했다. 나는 이번 학기에 학부 <언어철학> 수업을 하면서 그런 식의 농담을 하나도 하지 않았다. 나부터 그런 반-직관적인 언어유희에 재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