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4/26

[과학철학] Friedman (2001), Lecture II “Historical Perspectives on the Stratification of Knowledge” 요약 정리 (미완성)

     

[ Michael Friedman (2001), Dynamics of Reason (CSLI Publications), pp. 25-46.
  마이클 프리드만, 「II. 지식의 계층화에 관한 역사적 조망」, 『이성의 역학』, 박우석・이정민 옮김 (서광사, 2012), 57-84쪽. ]

 

45-46, 
- 콰인의 그물망으로서의 지식체계 그림(picture)
- 프리드먼은 콰인에 반대하여 계층화・차별화된 지식체계 그림을 대안으로 제시함.
• 이 체계는 세 가지 주요 부분으로 구분됨.
- 수준(1): 가장 밑에는 경험 자연과학의 개념과 원리가 있음.
•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과 같은 법칙들은 경험적 시험 과정에 직접 대면함.
- 수준(2): 구성적 선험원리
• 기하학과 역학의 기본 원리들이 여기에 해당하며, 이러한 원리들이 있을 때만 첫째 수준의 원리를 정식화하고 경험적으로 시험할 수 있음.
• 쿤의 패러다임이 바로 이 부분에 해당함.
- 수준(3): 철학적 메타-패러다임 또는 메타틀(meta-framework)
• 두 번째의 원리들/패러다임에 혁명 전 전환이 일어날 때 그러한 전환을 촉발시키고(motivate) 지지하는(sustain) 역할을 함.
 


(2021.08.22.)
    

댓글 없음:

댓글 쓰기

내가 철학 수업을 올바른 방향으로 하고 있다는 증거

대학원 다니면서 들은 학부 수업에서 몇몇 선생님들은 수업 중간에 농담으로 반-직관적인 언어유희를 하곤 했다. 나는 이번 학기에 학부 <언어철학> 수업을 하면서 그런 식의 농담을 하나도 하지 않았다. 나부터 그런 반-직관적인 언어유희에 재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