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4/07

[기출문제] (과학철학) 서울대 철학과 대학원 논문제출자격시험 (1996년 2학기-2011년 1학기)



■ 서양철학전공 논문제출자격시험 영역 구분

- 과학철학

- 논리 및 언어철학

- 인식론

- 형이상학 및 존재론

■ 1996년 2학기

1. 설명의 학문과 이해의 학문이라는 방법론적 이원론은 타당한가?

2. “가치는 과학과 무관하다”는 논제의 타당성을 검토하라.

3. 과학의 객관성은 확보될 수 있는가?

4. Craig’s Theorem의 개요를 설명하고, 그 정리가 갖는 철학적 함축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시오.

5. 과학적 이론들에 대한 실재론적 견해와 도구주의적 견해간의 대립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 1997년 1학기

1. “K씨에게 발진이 생긴 것은 그가 페니실린 주사를 맞았기 때문이다”는 과학적 설명인가? 이 문제에 대한 Hempel과 Salmon의 견해를 소개하면서 비교, 평가하시오.

2. 과학의 정초 문제와 관련하여 Popper가 논의한 소위 ‘trilemma’(dogmatism/infinite regress/psychologism)의 내용을 자세히 소개하고, 이 문제에 관한 Popper 자신의 입장은 어떠한지 설명하시오.

3. “과학 혁명기의 경쟁 이론들은 공약 불가능(incommensurable)하다”는 주장이 나오게 된 배경과 그 내용을 설명하고, 그것의 과학방법론적 함의(implication)에 대해 논하시오.

4. “발견의 논리가 존재한다”는 Hanson의 주장을 상술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 1997년 2학기

1. “귀납적 추론에 의존하지 않는 과학적 탐구”라는 Popper의 슬로건이 나오게 된 배경을 설명하고, 이러한 방법론적 견해를 옹호하거나 비판하시오.

2. 이론간 환원(intertheoretical reduction)에 대한 Nagel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가장 그럴듯하다고 생각하는 대안을 제시하는 동시에 이를 옹호하시오.

3. 과학의 성공을 설명한다는 과학적 실재론자들의 주장과 그 주요 논거를 상술하고, 이를 비판하거나 옹호하시오.

4. Popper가 『과학적 발견의 논리』에서 논의한 소위 ‘경험적 기초의 문제’(problem of empirical basis)란 어떤 성격의 문제인지 설명하고, 이 문제에 대한 Popper의 입장은 어떤 것인지 비판적으로 논의하시오.

■ 1998년 1학기

1. 과학의 합리성에 대한 전통적인 과학철학자(카르납, 헴펠, 포퍼 중 1인)의 견해와 역사적 과학철학자(쿤, 파이어아벤트 중 1인)의 견해를 대비시켜 소개하고, 편들어 논하거나 제 3의 견해를 제시하시오.

2. “발견의 논리(logic of discovery)가 존재한다”는 주장을 둘러싼 찬반 양론을 소개하고 편들어 논하시오.

3. 과학적 법칙에서 법칙의 역할을 둘러싼 두 상반된 견해를 소개하고 편들어 논하시오.

4. 관찰적/이론적 구분(observational/theoretical distinction)과 연계된 과학적 실재론/반실재론 논쟁을 상술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 1998년 2학기

1. 사회과학에 있어서 객관성(objectivity), 그리고 가치중립성의 시각에서 “민족주의사관”의 타당성을 검토하시오.

2. Kuhn이 말하는 정상과학(normal science)의 성격과 그 방법론적 의의에 대해 논하시오.

3. 과학적 실재론을 옹호하는 논변에서 귀추적 추론(abductive reasoning)의 역할을 상술하고 이를 평가하시오.

4. 라우단의 연구전통을 라카토스의 연구프로그램과 견주어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5. 이론이란 무엇인가? 20세기 과학철학의 대표적인 (가능하다면 상반되는) 메타이론들을 중심으로 논해보시오.

■ 1999년 1학기

1. 과학적 지식의 성장에 관한 Hempel, Popper, Kuhn의 견해들을 비교하고, 그 타당성을 검토하시오.

2. 과학의 법칙에 관한 주요 이론들의 핵심적 주장들을 비교검토하시오.

3. 귀추법(the inference to the best explanation)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고찰하시오.

4. 파이어아벤트(Feyerabend)의 “반방법론”적 견해와 그 주요 논거들을 상술하고 이를 평가하시오.

5. 반 프라센(B. van Frassen)의 반실재론(anti-realism)적 견해와 그 주요 논거들을 상술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 1999년 2학기

5問 3擇

1. “경험에 의한 실증”에 관한 적극적 옹호 논변과 그에 대한 반박 논변의 핵심을 구성하시오.

2. Kuhn의 Paradigm 개념을 명확히 정리한 다음 그것이 지닌 핵심적인 문제점을 비판적인 시각에서 검토하시오.

3. 소위 “이해(Verstehen)"라는 해석학적 개념은 설명(Explanaion)의 대안으로 적절한지 비판적으로 논의하시오.

4. Hempel의 이론에서 설명과 예측은 어떻게 구분되는지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5. “귀추법(the inference to the best explanation)"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이 귀추법과 ”매거적 귀납법(enumerative induction)" 의 관계에 대한 Gilbert Harman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 2000년 1학기

5問 3擇

1. Kuhn의 Paradigm 이론을 논리 실증주의의 관점에서 검토하시오.

2. ‘한국적 학문’이 가능하다면, 그것에 대한 방법론적 정당성은 무엇인가?

3. Craig’s Theorem의 개요를 설명하고, 그 정리가 갖는 철학적 함축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시오.

4. 환원에 대한 E. Nagel과 P. Feyerabend의 견해를 비교 설명하시오.

5. 논리실증주의는 ‘과학적인 것’과 ‘비과학적인 것’을 구분하는 기준에 관심을 가졌다. 이 기준이 진화의 과정을 겪다가, 논리실증주의 틀 안에서는 그러한 기준이 찾아질 수 없다는 것이 널리 받아들여지게 되면서 결국 논리실증주의는 소멸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의 두 설명을 제시하시오:

(1) ‘과학적인 것’ 과 ‘비과학적인 것’의 구분에 대한 논리실증주의의 기준이 변화하는 과정을, 이전 기준의 단점을 극복하여 대안이 제시되는 방식으로 설명하시오.

(2) 이러한 변화의 끝에 논리실증주의가 왜 소멸하게 되는지를 설명하시오.

■ 2000년 2학기

5問 3擇

1. ‘한국적 과학’은 가능한가?

2. ‘theory-laden observation'의 개념을 받아들인다면, 이론의 test는 가능한가? 만일 가능치 않다면, 이론의 정당화 문제를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3. 과학철학에서 조작적 정의가 수행하는 역할과 의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4. 이론적 존재자의 지위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5. 과학철학에서 환원이 지니는 역할과 의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수반개념과 비교하면서 검토하면 더욱 좋음).

■ 2001년 1학기

4問 3擇

1. 과학에 대한 역사주의적 관점을 취하는 사람들이 논리실증주의적 과학관에 대하여 제기하는 핵심적 문제점들은 무엇이며 그러한 문제제기는 타당한가?

2. 先行이론이 後續이론에로 환원되는 과정을 통해 과학적 진보가 일어난다는 견해를 자세히 설명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라.

3. “관찰은 이론적재적(theory-laden)이다”는 주장의 논거와 그 과학방법론적 함의(implications)에 대하여 논하라.

4. 확증의 역설(Paradoxes of Confirmation)에 대해 논하시오.

■ 2001년 2학기

5問 3擇

1. “과학적 설명은 논증이다”는 헴펠(Carl Hempel)의 견해를 자세히 설명하고, 비판적으로 평가하라.

2. 과학 이론의 선택이 이루어지는 방식에 대한 쿤(Thomas Kuhn)의 견해를 상술하고 이를 평가하라.

3. 과학적 실재론(scientific realism)을 위한 옹호에서 귀추적 추론(abductive reasoning)이 사용되는 방식을 상술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라.

4. 반증주의와 라카토스의 연구 프로그램을 각각 설명하고 이 둘 간의 관계를 고찰하시오.

5. 과학적 이론들에 대한 실재론적 견해와 도구주의적 견해 간의 대립에 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 2002년 1학기

5問 3擇

1. 과학의 합리성에 대한 전통적 옹호(C. Hempel과 K. Popper 중 택일)와 그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입장(T. Kuhn 과 P. Feyerabend 중의 택일)을 대비시켜 상술하되, 편을 들어 논하라.

2. 낮은 확률에 의한 설명가능성을 둘러싼 C. Hempel과 W. Salmon의 논쟁을 상술하고, 평가하라.

3. 과학적 실재론(scientific realism)에 대한 B. van Fraasen의 비판을 상술하고 평가하라.

4. 논리실증주의가 과학의 이상을 초점으로 삼고 있었다면 Post-logical Positivism은 과학의 역사적 모습에 초점을 두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시각에서 두 입장의 화해 가능성을 검토해보시오.

5. 가치와 과학에 관해 논하시오.

■ 2003년 2학기

다음에서 3문제를 골라 답하시오.

1. “과학적 설명은 법칙을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이 Carl Hampel의 설명이론에서 구현되는 방식을 상술하고, 그러한 주장을 옹호하거나 비판하라.

2. “정상과학(normal science)”에 대한 T. Kuhn과 P. Feyerabend의 견해를 방법론적 관점에서 대비시켜 상술하고 편들어 논하라.

3. 과학적 실재론의 입장을 취하지 않으면 과학의 성공은 기적일 수밖에 없다는 논변과 이에 대한 Bas van Fraassen의 반론을 대비하여 논하라.

4. 과학적 진보를 환원개념으로 포착하려는 시도에 대한 P. Feyerabend의 비판을 상술하고, 이를 평가하라.

5. 과학이론에 대한 논의에서 관찰적/이론적 용어 구분이 등장하게 된 맥락을 상술하고, 이 구분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라.

■ 2004년 1학기

1. 과학이론의 선택에서 과학적 가치들이 역할에 대한 쿤(T. Kuhn)의 견해를 상술하고 이를 평가하라.

2. 과학의 성공에 대한 과학적 실재론자의 설명과 반실재론자의 설명을 대비시켜 상술하고, 편들어 논하라.

3. 과학적 설명은 논증인가라는 물음을 둘러싼 헴펠(C. Hempel)과 새먼(W. Salmon)의 견해를 대비시켜 상술하고 편들어 논하라.

4. 과학적 탐구에서 경험적 기초(empirical basis)와 그 방법론적 역할에 대한 포퍼(K. Popper)의 견해를 상술하고 평가하라.

5. 과학철학에서 조작적 정의가 수행하는 역할과 의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 2004년 2학기

1. 다음 중 3 문제를 선택하여 답하시오.

1. 이론변동(theory change)에 대한 포퍼(Karl Popper)와 쿤(Thomas Kuhn)의 견해를 대비시켜 상술하면서 논하라.

2. 과학적 설명에서 확률 진술의 내용에 대한 헴펠(Carl Hempel)과 새먼(W. Salman)의 견해를 대비시켜 상술하면서 평가하라.

3. 과학적 실재론/반실재론 논쟁에서 “최선의 설명에로의 추론(Inference to the best explanation)”을 둘러싼 찬반 양론에 대하여 논하라.

4. 확증의 역설(Paradoxes of Confimation)을 설명하고 그 해결책에 대해 논하시오.

5. 이론과 관찰의 구분에 관한 찬반 논쟁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시오.

■ 2005년 1학기

☞ 다음 중 3 문제를 선택하여 답하시오.

1. Quine 철학에 있어 이론의 미결정성(Underdetermination of Theory) 논제를 의미의 미결정성(Indeterminacy of Meaning)과 관련하여 설명하시오.

2. 해킹(I. Hacking)의 이른바 존재자 실재론(entity realism)이 나오게 된 배경과 논거를 자세히 말하고, 이 견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3. 헴펠(C. Hempel)이 “가설의 방법(method of hypothesis)”이라고 부르는 것을 상술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4. 과학적 설명에서 진리의 역할에 대한 두 상반된 견해를 상술하고 편들어 논하시오.

■ 2005년 2학기

1. 논리실증주의가 과학의 이상을 초점으로 삼고 있었다면 Post-logical Positivism은 과학의 역사적 모습에 초점을 두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시각에서 두 입장의 화해가능성을 검토해 보시오.

2. 베이즈의 정리(Baye’s Theorem)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이것이 포퍼의 과학이론과 관련하여 어떤 의의를 가지는지 논하시오.

3. 과학적 이론의 인지적 지위(Cognitive Status)에 대한 3가지 입장을 밝히고 그 장단점을 논하시오.

■ 2006년 2학기

☞ 다음 중 3 문제를 선택하여 답하시오.

1. 과학 이론에 대한 논리실증주의자들의 표준적 견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가장 유력하다고 생각하는 견해를 제시하시오.

2. 관찰불가능한 존재자들에 대한 믿음의 정당화에서 “최선의 설명으로의 추론(inference to the best explanation)”이 하는 역할의 정당성에 대한 두 상반된 견해를 상술하면서 편들어 논하시오.

3. 이론간 환원(intertheoretical reduction)에 대한 네이글(E. Nagel)의 견해를 둘러싼 찬반양론을 소개하면서 편들어 논하시오.

4. 방법론적 전체론과 방법론적 개체론의 특성을 각각 설명하고, 그 장단점을 평가하시오.

5. 과학철학에서 자연주의를 옹호하는 두 입장을 소개하고 이를 비교 평가하시오.

■ 2007년 1학기

- 다음 중 3 문제를 선택하여 답하시오.

1. 과학적 설명에 대한 헴펠(C. Hempel)과 새면(W. Salmon)의 이론들이 직면하는 주된 난점들이라고 반 프라센(B. van Frassen)이 생각하는 것과 이 난점들에 대한 그 자신의 해결책에 대해 상술하고 이를 평가하라.

2. 쿤(T. Kuhn)이 “정상과학”이라고 부르는 과학 활동의 성격을 상술하고, 이에 대한 포퍼(K. Popper)적 관점에서의 비판적 견해들을 소개한 다음 편들어 논하라.

3. 관찰적/이론적 구분(observational/theoretical distinction)과 연계된 과학적 실재론/반실재론 논쟁을 상술하고 편들어 논하라.

4. 뉴턴 물리학에서의 “운동량(momentum)”이란 용어와 아인슈타인 물리학에서 “운동량”이라는 용어는 동일한 물리적 속성을 지시하고 있는가? 이 질문에 대해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에서 쿤(T. Kuhn)과 “Explanation and Reference”에서의 퍼트남(H. Putnam)이 각각 어떻게 답변할 것이며 왜 그렇게 답변할 것인지 논하라.

5. 과학적 가설들을 입증(confirmation)하는 문제와 관련하여, 헴펠(C. Hempel)이 제기한 이른바 “까마귀의 역설(paradox of the ravens)”과 굿맨(N. Goodman)이 제기한 이른바 “귀납의 새로운 수수께끼”(new riddle of induction)를 각각 상술하고 비판적으로 논하라.

■ 2008년 2학기

1. 과학 이론을 귀납적 추론에 의거해 평가하는 방법론적 견해에 대한 포퍼(Karl Popper)와 파이어아벤트(Paul Feyerabend)의 비판을 비교 검토하시오

2. 쿤(Thomas Kuhn)의 과학혁명론은 과학 변동에 대해 전체론적(holistic) 견해를 산출한다는 라우든(Larry Laudan)의 주장과 그 자신의 대안적 견해에 대해 논하시오.

3. 과학적 설명과 예측은 구조적으로 동일하다는 헴펠(Carl Hempel)의 견해와 이에 대한 새먼(Wesley Salmon)의 비판을 상술하고 편들어 논하시오.

4. 경쟁 이론들 사이의 공약불가능한(incommensurable) 관계에 대한 파이어아벤트의 견해가 네이글(Ernest Nagel)의 이론간(intertheoretic) 환원론에 대해 가지는 함의와 그 타당성에 대해 논하시오.

5. 과학적 실재론에 대한 파인(Arthur Fine)과 머스그레이브(Alan Musgrave)의 견해를 비교 검토하시오.

■ 2009년 1학기

※ 아래의 다섯 문제 중 세 문제를 골라 대답하시오.

1. 반증주의를 위한 포퍼(Karl Popper)의 주된 옹호 논변(들)과 이에 대한 새먼(Wesley Salmon)과 쿤(Thomas Kuhn)의 반론들을 상술하면서 비교 검토하되, 이 과정에서 편들어 논하시오

2. 과학 혁명의 과정에서 (과학적) 가치들의 역할에 대한 쿤(Thomas Kuhn)의 입장과 이와 대비되는 입장 하나를 상술하되, 편들어 논하거나 제3의 견해를 제시하고 이를 옹호하시오.

3. 확률적 설명(probabilistic explanation)에 대한 헴펠(Carl Hempel)과 레일턴(Peter Railton)의 견해를 비교 검토하되, 편들어 논하거나 제3의 견해를 제시하고 이를 옹호하시오.

4. 과학이론간 환원에 대한 네이글(Ernest Nagel)과 키처(Philip Kitcher)의 견해를 비교 검토하되, 편들어 논하거나 제3의 견해를 제시하고 이를 옹호하시오.

5. 콰인의 분석-종합 구분의 거부 논제와 이론의 미결정성 논제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가를 설명하고, 그가 옹호하는 이 두 논제가 과학적 실재론 논쟁에 대하여 어떤 함의를 갖는지 논하시오.

■ 2009년 2학기

1. “오직 새로운 예측만이 이론을 입증할 수 있다”는 주장을 둘러싼 논쟁에서 가장 유력하다고 생각하는 견해 하나를 상술하고 이를 옹호하시오. 이 과정에서 헴펠(Carl Hempel)의 견해에 대한 논의를 반드시 포함시키시오.

2. 과학에서 인식적 가치(epistemic values)들의 지위와 역할에 대한 쿤(Thomas Kuhn)과 맥멀린(Ernan McMullin)의 관점들을 대비시켜 상술하고 편들어 논하시오.

3. 과학적 설명에 대한 기존의 모형들이 해결하는데 실패한 비대칭성(asymmetry)의 문제가 자신의 대안 모형에 의해 해결된다는 반 프라센(Bas van Fraassen)의 주장을 상술하고 이를 평가하시오.

4. 자연법칙의 본성에 대한 에이어(A.J. Ayer)와 드레츠키(Fred Dretske)와 견해를 비교 검토하되, 편들어 논하거나 제3의 견해를 제시하고 이를 옹호하시오.

5. 오직 과학적 실재론만이 과학의 성공을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이라는 퍼트남의 주장에 대해 머스그레이브(Alan Musgrave)와 라우단(Larry Laudan)이 어떤 견해를 갖고 있는지 설명하되, 편들어 논하거나 제3의 견해를 제시하고 이를 옹호하시오.

■ 2010학년도 1학기

※ 아래의 다섯 문제 중 세 문제를 골라 대답하시오.

1. ‘정합성의 조건(consistency condition)’에 대한 파이어아벤트(Paul Feyerabend)의 방법론적 비판과 대안을 상술하고, 이를 평가하시오.

2. 과학 변동에 대한 라우든(Larry Laudan)의 그물망 모형(reticulational model)과 그 등장 배경을 자세히 소개하고, 그 모형이 과학적 합리성에 대해 가지는 함의를 논하시오.

3. 과학적 설명에 대한 논의에서 등장하는 ‘무관성(irrelevance)의 문제’를 인과적 요소의 도입에 의해 해결하는 방안(들)에 대해 논하시오.

4. 이론간 환원에 대한 네이글(Ernest Nagel)의 분석을 상술하고, 그의 분석에 대해 제기될 수 있는 난점들을 논하시오.

5. 해킹(Ian Hacking)이 제안하는 이른바 '실험적 실재론(experimental realism)'이 전통적인 과학적 실재론과 어떻게 다른지 상술하고, 그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평가하시오.

■ 2010학년도 2학기

※ 아래의 다섯 문제 중 세 문제를 골라 대답하시오.

1. 오직 새로운 증거만이 과학 이론을 입증할 수 있다는 주장을 위한 논변 두 가지를 소개하고 이들을 평가하시오.

2. 과학혁명에 대한 쿤의 논의에서 이론 선택의 객관성이 의문시되는 이유를 상술하고 이에 대한 쿤 자신의 대응책을 논하시오.

3. 과학적 설명에 대한 새먼(Wesley Salmon)의 논의에서 인과적 전회(causal turn)가 일어나게 된 배경을 상술하고, 그 주요 성과와 문제점을 각각 하나씩 들어 논하시오.

4. 자연법칙의 필연성을 부정하는 견해와 긍정하는 견해를 각각 하나씩 상술하고 둘 중 하나를 편들어 논하시오.

5. 다음 인용문에 나타난 라우단(Larry Laudan)의 견해를 설명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In ‘Two Dogmas [of Empiricism]’, Quine propounded a thesis of normative, ampliative, egalitarian underdetermination. Whether we construe that thesis in its compatibilist or entailment versions, it is clear that Quine has said nothing that makes plausible the idea that every prima facie refuted theory can be embedded in a rationally acceptable (i.e., empirically well-supported) network of beliefs.
  

■ 2011학년도 1학기

※ 아래의 다섯 문제 중 세 문제를 골라 대답하시오.

1. 반증의 방법론적 역할에 대한 포퍼(K. Popper)과 쿤(T. Kuhn)의 견해들을 비교 상술하면서 평가하시오.

2. 이론 선택의 합리성에 대한 헴펠(C. Hempel)의 견해와 파이어아벤트(P. Feyerabend)의 견해를 대비시켜 상술하되, 편들어 논하거나 제3의 견해를 옹호하시오.

3. 확률적 설명(probabilistic explanation)에 대한 헴펠(C. Hempel)의 견해와 새먼(Wesley Salmon)의 견해를 비교 상술하면서 편들어 논하시오.

4. 과학이론간 환원에 대한 네이글(E. Nagel)과 니클스(T. Nickles)의 견해를 비교 상술하면서 평가하시오.

5. 과학의 성공에 대한 반프라센(B. van Fraassen)과 머스그레이브(A. Musgrave)의 설명을 대비시켜 상술하되, 편들어 논하거나 제3의 견해를 옹호하시오.

(2020.01.18.)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 예언한 알라딘 독자 구매평 성지순례

졸업하게 해주세요. 교수되게 해주세요. 결혼하게 해주세요. ​ ​ ​ ​ ​ * 링크: [알라딘] 흰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소설 (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322034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