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4/10

[한문] 천자문 (2/14)





10. 龍師火帝 鳥官人皇

龍(용 룡) 師(스승 사) 火(불 화) 帝(임금 제)

鳥(새 조) 官(벼슬 관) 人(사람 인) 皇(임금 황)

복희(伏羲)씨와 신농(神農)씨가 있었고, 소호(小昊)씨와 황제(黃帝)가 있었다.

- 龍師: 태호 복희(伏羲)씨는 용을 토템으로 삼았기 때문에 용의 이름을 관직명으로 삼음. 생산을 담당하는 사람을 창룡(蒼龍)씨로, 형벌을 담당하는 사람을 백룡(白龍)씨로 불렀음.

- 火帝: 염제 신농(神農)씨는 염제(炎帝)라고도 함. 불의 덕을 표방했기 때문에 관직명에 ‘화(火)’자를 씀.

- 鳥官: 소호(小昊)씨는 즉위할 때 봉황새가 나타났다고 하여 새 이름으로 관직명을 지음. 호조의 우두머리를 축구(祝鳩), 병조의 우두머리를 저구(雎鳩)라고 함.

- 人皇: 황제(黃帝)는 신화성에서 탈피하여 인문(人文)을 표방했다는 점에서 인황(人皇)이라고 부름.

11. 始制文字 乃服衣裳

始(비로소 시) 制(지을 제) 文(글월 문) 字(글자 자)

乃(이에 내) 服(입을 복) 衣(옷 의) 裳(치마 상)

처음으로 문자를 만들고, 저고리와 치마를 입게 했다.

- 始制文字: 황제(黃帝)가 처음으로 문자를 만든 것을 뜻함.

12. 推位讓國 有虞陶唐

推(밀 퇴) 位(자리 위) 讓(사양할 양) 國(나라 국)

有(있을 유) 虞(나라 우) 陶(질그릇 도) 唐(당나라 당)

자리에서 물러나 나라를 양보한 사람은, 요(堯)임금과 순(舜)임금이다.

- 有虞: 순임금의 정식 호칭인 ‘제순 유우씨’는 우(虞)를 다스린 순임금이라는 뜻.

- 陶唐: 요임금의 정식 호칭인 ‘제요 도당씨’는 도당(陶唐)을 다스린 요임금이라는 뜻.

13. 弔民伐罪 周發殷湯

弔(불쌍히 여길 조) 民(백성 민) 伐(칠 벌) 罪(허물 죄)

周(주나라 주) 發(필 발) 殷(은나라 은) 湯(끓을 탕)

백성을 불쌍히 여겨 포악한 임금을 징벌한 사람은 주나라 무왕과 은나라 탕왕이다.

- 發: 주나라 무왕의 이름

- 湯: 은나라를 개국한 임금의 이름

14. 座朝問道 垂拱平章

坐(앉을 좌) 朝(아침 조) 問(물을 문) 道(길 도)

垂(드리울 수) 拱(팔짱낄 공) 平(평평할 평) 章(밝을 장)

조정에 앉아 도(道)를 물으니, 옷자락을 늘어뜨리고 팔짱을 낀 채로도 밝게 다스려졌다.

- 座朝問道 垂拱平章: 『서경』 「무성(武成)」편의 “옷을 늘어뜨리고 팔짱을 끼고 있어도 천하가 다스려졌다(垂拱而天下治)”와 「요전(堯典)」편의 “백성이 밝게 다스려지다(平章百姓)”를 다시 쓴 것.

15. 愛育黎首 臣伏戎羌

愛(사랑 애) 育(기를 육) 黎(검을 려) 首(머리 수)

臣(신하 신) 伏(엎드릴 복) 戎(오랑캐 융) 羌(오랑캐 강)

백성을 아껴 기르니, 오랑캐들을 신하로 복종시켰다.

- 黎首: 관을 쓰지 않은 맨머리, 즉 일반 백성을 말함.

- 戎羌: 고대 중국 대륙의 서북쪽에 살았던 유목 민족인 융족과 강족.

16. 遐邇壹體 率賓歸王

遐(멀 하) 邇(가까울 이) 壹(한 일) 體(몸 체)

率(거느릴 솔) 賓(손 빈) 歸(돌아갈 귀) 王(임금 왕)

멀고 가까운 곳이 한 몸이 되니, 주위 사람을 거느리고 와서 천자에게 귀순했다.

- 率賓: 주위 사람을 모아 데리고 오는 것을 뜻함.

- 주나라 2대 성왕 때 주공 단(旦)이 분봉제후제를 완성함.

- 분봉제후제: 영토를 각 제후들이 나누어 다스리게 하는 제도

• 영토: 천자는 사방 1천리, 공작과 후작은 사방 100리, 백작은 사방 70리, 자작과 남작은 사방 50리를 소유

• 군사력: 천자는 6군(7만 5천 명), 공작과 후작은 3군 (3만 7500명), 백작은 2군(2만 5천 명), 자작과 남작은 1군(1만 2500명)을 보유

• 각 제후국은 매년 도읍지인 호경의 천자를 찾아가 조공을 하고 알현해야 함. 안 하면 천자에 대한 반역행위로 간주되어 징벌 받음.

17. 鳴鳳在樹 白駒食場

鳴(울 명) 鳳(봉새 봉) 在(있을 재) 樹(나무 수)

白(흰 백) 駒(망아지 구) 食(밥 식; 먹을 식) 場(마당 장)

우는 봉황새가 나무에 있고, 흰 망아지는 마당에서 싹을 뜯는다

- 鳴鳳在樹: 봉황새는 전설상의 상서로운 새로 오동나무가 아니면 앉지 않고 대나무 열매가 아니면 먹지 않았다고 함. 흔히 현자를 얻을 조짐으로 나타나는 새라고 함. <시경> 권아 편 참고.

- 白駒食場: 이 구절은 『시경』 「백구(白鷗)」의 “새하얀 희 망아지가 우리 밭의 싹을 다 먹었다 하고(皎皎白駒 食我場苗)”를 다시 쓴 것. 흰 망아지를 타고 다니는 선비가 벼슬을 하지 않으려 하기 때문에 망아지가 밭의 곡식을 먹었다고 핑계 대고 잡아오면 선비를 끌어올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바람을 읊은 내용.

18. 化被草木 賴及萬方

化(될 화) 被(입을 피) 草(풀 초) 木(나무 목)

賴(힘입을 뢰) 及(미칠 급) 萬(일만 만) 方(모 방)

교화가 풀과 나무까지도 입히고, 믿고 의지함이 만방에 미쳤다.

* 참고 문헌

김근, 『욕망하는 천자문』, 삼인, 2003.

박성복, 『천자문풀이』, 대구대학교출판부, 2012.

한정주, 『천자문 인문학』, 다산초당, 2016.

(2024.02.01.)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외국 가요] 맥 드마르코 (Mac DeMarco)

Mac DeMarco - Heart To Heart ( www.youtube.com/watch?v=qBoQzo98EpQ ) ​ ​ (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