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0/03

[과학철학] Kuhn (1983), “Rationality and Theory Choice” 요약 정리



[ Thomas S. Kuhn (1983), “Rationality and Theory Choice”, Journal of Philosophy, Vol. 80, pp. 563-570.

토머스 쿤, 「합리성과 이론 선택」, 조인래 편역, 『쿤의 주제들』, 327-337쪽. ]

■ [pp. 563-564, 327-328쪽]

- 다음 논평들은 쿤이 헴펠과 지속적으로 교류한 산물에 관한 압축된 보고서

- 헴펠은 쿤이 이론 선택의 비-합리성을 주장한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다른 사람들이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알고 있음.

- 쿤와 헴펠의 공통 전제: 이론 선택의 평가 기준은, 그 선택에 의해 도달할 목표의 구체화가 선행될 것을 요구한다는 것

- 이론을 선택할 때 과학자들의 목표는 쿤이 “퍼즐 풀기”라고 부른 것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라고 가정하자.(나중에 필요 없는 것으로 밝혀질 가정)

• 이론은 예측을 실험과 관찰의 결과와 부합하게 할 때의 효율성과 관련하여 평가됨.

• 부합하는 사례들의 수와 적합의 근사성

■ [pp. 564-565, 328-331쪽]

- 어떤 과학자가 “전통적인 이론 X를 새로운 이론 Y로 대체하는 것이 퍼즐 풀기의 정확성을 감소시키지만 다른 기준에는 영향도 미치지 않는데도, 나는 X 대신 Y를 선택하겠다”고 한다면, 이는 비-합리적인 행동을 하는 것

- 기준 척도와 관련한 이론 선택의 유일한 영향이 다음과 같은 것들일 때 비-합리적

• 퍼즐 풀이들의 수를 줄이거나

• 퍼즐 풀이들의 단순성을 감소시키거나(퍼즐 풀이를 얻는 것을 더 어렵게 함)

• 퍼즐 풀이 능력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이론들의 수를 늘리는 것(장치가 복잡해짐)

- 과학을 퍼즐 풀이의 과정으로 기술하는 것이 정당화될 수 있다면, 그러한 논변들은 관찰된 규범의 합리성을 증명하기에 충분함.

- 헴펠의 처방: 정확성이나 적용 범위 같은 이론 평가의 기준들을, (퍼즐 풀이 같은) 독립적으로 명시된 목표에 대한 수단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과학적 탐구가 겨냥하는 목표 그 자체로 본다면, 이론 선택에 관한 쿤의 설명이 처한 어려움 중 일부를 피할 수 있음.

• “과학은 점점 더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조직된, 그러면서도 설명적이고 예측적인 세계관의 형식화를 추구하는 것”

• “[이론의 장점을 결정하는] 기준들은 과학에 대한 이러한 개념을 더 완전하고 명시적으로 표현하려는 시도”

• “이 기준들이 순수 과학적 연구의 목표들을 나타낸다면, 두 경쟁 이론 중 그 기준을 더 잘 만족시키는 이론을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

• “[이러한 고찰들은] 그 기준들이 부과하는 제한들에 따라 이론을 선택하는 것을 거의 사소한 방식으로(in a near-trivial way) 정당화하는 것”

- 헴펠은 위와 같은 접근을 “거의 사소한” 것으로 언급하는데, 이는 항진명제 같은 것에 의존하기 때문이며, 그래서 그는 이러한 접근은 만족스러운 정당화가 아니라고 봄.

- 특히, 헴펠은 거의 사소한 정당화가 실패하는 것처럼 보이는 두 가지 측면을 강조함.

• 측면(1): “이론의 비판적 평가에 대한 규범을 공식화하는 문제는 고전적인 귀납 문제의 현대적 파생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는 거의 사소한 정당화가 “결코 다루지 못하는” 것

• 측면(2): 규범들이 과학의 본질적 측면들에 대한 기술(“퍼즐 풀이 작업”)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면, 그러한 기술은 거의 사소한 정당화의 전제로서 역할을 하는데, 그러한 기술에 대한 선택은 아무도 제공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이는 정당화를 요구함.

• 과학 활동은 무수히 많은 다른 방식으로 기술될 수 있으며, 각 기술 방식은 상이한 기준들의 원천이 됨.

■ [pp. 565-567, 331-333쪽]

- 특정한 종류의 기술적 전제(descriptive premis)는 더 이상의 정당화를 요구하지 않으며, 그러므로 거의 사소한 정당화 자체는 헴펠이 가정하는 것보다 더 깊고 더 근본적임.

- 쿤이 옳다면, 거의 사소한 접근의 기술적 전제는, 인간 행위를 기술하는 데 사용되는 언어 안에서 매우 밀접한 두 가지 특징을 보여줌.

• 이는 자연 현상을 기술하는데 사용되는 언어의 특성이기도 함.

- 특징(1): 국소적 전체론(local holism)

• 적어도 과학 언어를 구성하는 지시어들 중 다수는 각자 따로 정의될 수 없고 대신 무리로 배워야 함.

• 게다가 이 지시어들은 세계를 다수의 분류법적 범주들로 분할하는데, 이 범주들에 대한 명시적 또는 암묵적 일반화는 학습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

• 예) 뉴튼적 용어인 ‘힘’과 ‘질량’

• 두 용어 중 하나의 사용법을 배우려면, 다른 하나의 사용법을 동시에 배워야 함.

- 특징(2): 우연적 일반화와 필연적 일반화

• 상호 연관된 하나의 집합을 구성하는 용어들은 일단 획득되면 무수히 많은 새로운 일반화들을 정식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모두 우연적 일반화.

• 그러나 원래의 일반화 중 일부 또는 이들로부터 복합된 다른 일반화들은 필연적 일반화로 밝혀짐.

• 예) 중력의 거리의 세제곱에 역비례하는 것이었을 수 있음. 후크의 법칙은 탄성의 복원력이 변위의 제곱에 비례하는 것일 수도 있음.

• 예) 그러나 어떤 상상가능한 실험도 뉴튼의 제2법칙의 형태만을 바꿀 수는 없음.

• 뉴튼의 제2법칙. 이것이 성립하지 않으면 이러한 뉴튼 법칙을 진술하는데 사용되었던 힘이나 질량이라는 단어는 국소적 변화를 겪을 것

• 뉴튼의 ‘힘’과 ‘질량’이라는 단어는 뉴튼의 제2법칙이 성립하는 세계에서만 성공적으로 기능할 수 있음.

- 뉴튼의 제2법칙은 어떤 의미에서 필연적인가?

- 뉴튼의 제2법칙은 항진명제가 아님.

• 측면(1): ‘힘’과 ‘질량’ 중 어느 것도 다른 것을 정의하는 데 독립적으로 사용가능하지 않음.

• 측면(2): 시험가능함.

- 쿤은 제2법칙이 언어 상대적인 의미에서 필연적이라고 주장함.

• 제2법칙이 실패한다면 이러한 진술 속에 포함된 뉴튼적 용어들은 지칭할 수 없게 됨.

• 뉴튼의 제2법칙을 받아들이는 한에서만 그 언어와 유관한 부분들을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음.


■ [p. 567, 333-334쪽]

- 이론 선택의 규범이나 기준들을 받아들이는 사람들에 대한 논의

- ‘과학자’라는 용어는 1840년경 윌리엄 휴월(William Whewell)이 만듦.

- ‘과학’이라는 용어를 근대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은 18세기 말부터 출현

• 당시 ‘과학’은 다른 학문분야 묶음들(disciplinary clusters)과 비교되었던, 아직 형성기에 있었던 분야들의 집합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됨.

- 학문분야 묶음들 중 그 묶음의 구성원이 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들에 의해 규정될 수 있는 학문분야 묶음은 매우 적거나 없음.

• 한 집단의 활동을 과학적이라 인식하는 것은, 부분적으로는 같은 묶음 내의 다른 분야들의 활동들과의 유사점에 의해서, 또 부분적으로는 다른 분야의 묶음 내의 활동들과의 어떤 차이점에 의해서임

• ‘과학’이라는 용어의 사용법을 배우려면, 다른 학문분야 용어의 사용법도 배워야 함.

• 어떤 활동을 과학으로 확인하는 것은, 다른 학문 분야들을 포함하는 의미론적 영역에서 그것이 차지한 위치를 아는 것이며, 이것이 과학의 본성을 아는 것임.


■ [pp. 567-569, 334-336쪽]

- 학문분야의 이름들은 분류법적 범주를 표시하며, 그 중 몇몇은 ‘질량’과 ‘힘’처럼 함께 학습되어야 함.

• 국소적인 언어적 전체론

- 특징(1)과 특징(2)는 병행함.

- 학문분야들을 명명하는 용어들은 우리의 학문분야들과 매우 유사한 학문분야들이 있는 세계에서만 효과적으로 기능함.

• 고대 헬레니즘 세계에서 과학과 철학이 하나였다는 것은, 아리스토텔레스 이전의 그리스에는 철학이나 과학으로 분류될 작업이 없었다는 것

• 근대의 학문 분야들은 고대의 것에서 진화했지만 일대일 식의 진화는 아님.

- 다른 시대나 문화를 기술하기 위해서는 다른 언어들이 필요하다는 논제에 대한 역의 논제가 있는데, 이는 우리가 ‘과학’, ‘철학’, ‘예술’ 등으로 부르는 활동은 상당히 동일한 특성들을 지녀야만 함.

• 학문분야들에 관한 근대적 어휘를 분간하려면 정확성, 미, 예측력, 규범성, 일반성 등의 차원들과 관련된 묶음 활동들의 의미론적 관계에 접근해야 함.

• 그러한 어휘를 통해서만 어떤 과학 활동을 다른 과학 분야들에는 가까이, 그리고 과학이 아닌 분야들로부터는 먼 곳에 자리매김할 수 있기 때문.

• “과학 X는 비-과학 Y보다 덜 정확하다. 그것을 제외하면 두 활동은 모든 분야적 특성들에 대하여 동일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말하는 사람은 언어 공동체 밖에 존재하는 것이며, 의사소통의 단절을 초래하며 비-합리적인 행동을 하는 것임.

■ [pp. 569-570, 336-337쪽]

- 두 사람이 있다고 가정하자.

• 사람(1): X는 과학이라고 부르면서 Y에 대해서는 그렇게 하지 않는 사람

• 사람(2): X와 Y가 모두 과학적 이론이었을 때 X보다 Y를 선호한 사람

• 두 사람은 똑같은 일을 하고 있음.

- 두 사람은 언어로 세계를 기술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의미론적 규칙을 위반함.

- 두 사람의 진술은 언어를 위반했을 뿐만 아니라 경험을 통해 도출된 학문분야들에 관한 분류법을 도외시함.

• 이러한 분류법에 대한 실패를 만회하려면 학문분야적 어휘의 많은 부분들을 동시에 조정해야 함.

• 이러한 조정이 이루어질 때까지 X보다 Y를 선호하는 것은 과학적 언어 게임 밖에서 어떤 선택을 하는 것임

• 이론 선택의 규범들을 정당화하기 위한 거의 사소한 접근은 이 부분에서 역할을 함.

- 거의 사소한 접근이 귀납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는 헴펠의 지적은 옳지만, 이 둘은 서로 맞닿아있음.

• ‘질량’과 ‘힘’, ‘과학’과 ‘예술’처럼, ‘합리성’과 ‘정당화’는 상호 정의된 용어임.

- 합리성과 정당화의 필수조건

• 조건(1): 논리의 구속을 받아야 함. (의미론적 규칙을 준수해야 함.)

• 조건(2): 거부할 좋은 이유가 없는 한 경험의 구속을 받아야 함. (경험을 통해 얻은 적절한 학문 분류법을 준수해야 함.)

- 귀납의 문제는 경험으로부터 배우는 것에 대한 합리적 대안이 없음을 인정하면서 왜 그래야만 하는지 묻는 것임.

• 경험으로부터 배우는 것에 대한 정당화는 요구하기보다는, 전체 언어 게임의 생명력(viability)에 대한 설명을 요구함.

• 언어 게임은 ‘귀납’을 포함하며 우리 삶의 형식을 뒷받침함.



(2023.01.03.)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외국 가요] 맥 드마르코 (Mac DeMarco)

Mac DeMarco - Heart To Heart ( www.youtube.com/watch?v=qBoQzo98EpQ ) ​ ​ (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