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1/21

[과학기술학] Latour (1983), “Give Me a Laboratory and I will Raise the World” 요약 정리 (미완성)



[ Bruno Latour (1983), “Give Me a Laboratory and I will Raise the World”, in K. Knorr-Cetina and M. Mulkay (eds.)(1983), Science Observed (SAGE), pp. 141-170.

브뤼노 라투르, 「나에게 실험실을 달라, 그러면 내가 세상을 들어올리리라」, 김명진 옮김, 『과학사상』 제44호(2003), 43-82쪽. ]

I. “나에게 딛고 설 장소를 달라, 그러면 내가 지구를 움직이리라” (Give me a place to stand and I will move the earth)

1. 1단계 행동: 다른 사람들의 이해관계를 포착하다

(Move one: capturing others’ interests)

2. 2단계 행동: 약한 곳에서 강한 곳으로 받침점을 이동하다

(Move two: moving the leverage point from a weak to a strong position)

3. 3단계 행동: 지렛대로 세상을 움직이다

(Move three: moving the world with the lever)

II. 실험실 위치설정의 위상기하학

(Topology of laboratory positioning)

1. 내부/외부 이분법의 해체

(Dissolution of the inside/outside dichotomy)

2. 규모의 차이 파괴

(Playing havoc with differences of scale)

III. 어떻게 가장 약한 곳이 가장 강한 곳으로 바뀌는가

(How the weakest becomes the strongest)

I. “나에게 딛고 설 장소를 달라, 그러면 내가 지구를 움직이리라”

(Give me a place to stand and I will move the earth)

1. 1단계 행동: 다른 사람들의 이해관계를 포착하다

(Move one: capturing others’ interests)

2. 2단계 행동: 약한 곳에서 강한 곳으로 받침점을 이동하다

(Move two: moving the leverage point from a weak to a strong position)

3. 3단계 행동: 지렛대로 세상을 움직이다

(Move three: moving the world with the lever)

II. 실험실 위치설정의 위상기하학

(Topology of laboratory positioning)

1. 내부/외부 이분법의 해체

(Dissolution of the inside/outside dichotomy)

2. 규모의 차이 파괴

(Playing havoc with differences of scale)

III. 어떻게 가장 약한 곳이 가장 강한 곳으로 바뀌는가

(How the weakest becomes the strongest)

(2024.07.08.)


댓글 없음:

댓글 쓰기

내가 철학 수업을 올바른 방향으로 하고 있다는 증거

대학원 다니면서 들은 학부 수업에서 몇몇 선생님들은 수업 중간에 농담으로 반-직관적인 언어유희를 하곤 했다. 나는 이번 학기에 학부 <언어철학> 수업을 하면서 그런 식의 농담을 하나도 하지 않았다. 나부터 그런 반-직관적인 언어유희에 재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