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12/24

엽기적인 한국 속담



한국 속담을 살펴보면 엽기적인 것이 한둘이 아니다.

“중매를 잘 서면 술이 석 잔, 잘못하면 뺨이 석 대”라는 속담이 있다. 중매를 잘 서도 술을 석 잔밖에 안 사주면서 잘못하면 뺨을 후려친다는, 한국인의 흉폭한 심성을 잘 보여주는 속담이다.

그보다 더 놀라운 것도 있다. “둘이 먹다가 하나가 죽어도 모른다”는 속담을 보자. 옆에서 사람이 죽어나가도 모른 척 하는 한국인의 비-인간성을 드러내는 속담이다. 그런데 도대체 무엇을 먹어야 둘이 먹다가 하나가 죽어도 모르는 것인가? 합성 마약인가?

이 정도도 장난 수준이다. 내가 아는 한국 속담 중에 가장 충격적인 속담은 이 것이다. “죽은 자식 ◯◯ 만지기.” 아니, 자식이 죽었는데 ◯◯을 왜 만지나? 세계 어느 나라에 이런 변태적인 속담이 있을까? 한국인의 변태성을 가장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속담이라고 할 수 있다.

내가 이런 속담들을 모으고 분석하여 『한국의 속담, 한국인의 심성』이라는 책을 낸다고 하자. 사람들이 입을 모아 나를 미친놈이라고 욕할 것이다. 하지만 불과 2000년대 초만 해도 이어령 같은 사람들이 그런 책을 내면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언론에서는 그런 사람들을 석학이라고 칭송했다.

(2017.10.24.)


댓글 없음:

댓글 쓰기

내가 철학 수업을 올바른 방향으로 하고 있다는 증거

대학원 다니면서 들은 학부 수업에서 몇몇 선생님들은 수업 중간에 농담으로 반-직관적인 언어유희를 하곤 했다. 나는 이번 학기에 학부 <언어철학> 수업을 하면서 그런 식의 농담을 하나도 하지 않았다. 나부터 그런 반-직관적인 언어유희에 재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