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15

괭이밥



담장 옆에 있는 토끼풀에 예쁜 노란꽃이 피어서 한참 들여다보다가 이런 생각을 했다. ‘노랗게 피는 꽃이 이렇게 예쁜데 네잎클로버의 꽃말은 행운이고 세잎클로버의 꽃말이라는 게 무슨 소용이람?’ 그런데 토끼풀에는 마이크처럼 생긴 하얀 꽃이 피지 노란꽃이 피지 않는다. 꽃에 정신이 팔려서 착각했던 것이다.

토끼풀과 비슷하지만 노란꽃이 피는 식물은 ‘괭이밥’이다. 고양이가 소화가 안 되거나 할 때 뜯어먹는다고 해서 괭이밥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괭이밥에는 약효도 있다고 하는데, 고진하 목사에 따르면, 쥐약 먹은 쥐를 잡아먹은 고양이들 중에 괭이밥을 뜯어먹고 살아난 경우도 있다고 한다.

연동이한테 괭이밥 좀 먹어보라고 했는데 먹기 싫은지 딴청을 부렸다.

* 링크: [한겨레] 쥐약 먹은 고양이도 살려내는 괭이밥풀 / 고진하 목사

( www.hani.co.kr/arti/well/well_friend/954668.html )

(2024.05.15.)


댓글 없음:

댓글 쓰기

내가 철학 수업을 올바른 방향으로 하고 있다는 증거

대학원 다니면서 들은 학부 수업에서 몇몇 선생님들은 수업 중간에 농담으로 반-직관적인 언어유희를 하곤 했다. 나는 이번 학기에 학부 <언어철학> 수업을 하면서 그런 식의 농담을 하나도 하지 않았다. 나부터 그런 반-직관적인 언어유희에 재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