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제출자격시험 영역 구분
- 동양철학전공 I 부문: 중국고대철학, 중국근현대철학, 한국유학
- 동양철학전공 II 부문: 인도불교철학, 중국 및 한국불교철학
- 동양철학전공 III 부문: 한문
<동양철학전공 I 부문>
■ 중국고대철학 (석박사과정 공통)
- 사서집주
- 노자
- 순자
- 상군서
■ 중국고대철학 (박사과정)
- 장자 내편
- 묵자
■ 중국근현대철학 (석박사과정 공통)
- 엽채 편, 『근사록집해』
- 정민정 편, 『심경부주』
■ 중국근현대철학 (박사과정)
- 왕수인, 『전습록』
■ 한국유학 (석박사과정 공통)
- 송래희, 『성리논변』
- 한국철학회 편, 『한국철학연구(중)』
■ 한국유학 (박사과정)
- 정약용, 『다산대학』(박완식 역, 천잠, 2010)
- 금장태, 『조선후기의 유학사상』
<동양철학전공 II 부문>
■ 인도불교철학 (석박사과정 공통)
- 『구사론』 (『구사론』 번역서로 1. 권오민 역, 2, 일역 『俱舍論の原典解明』, 3. 영역 (Abhidharmakośabhāṣya I-IV. tr. into English by Leo Pruden 참조)
- The Buddhist Unconsciousness (Williams S. Waldron, RoutledgeCurzon, 2003).
- 『보성론』 (안성두 역, 서울 2013) 이를 Buddha-nature, Mind and the Problem of Gradualism in a Comparative Perspective (D. Seyfort Ruegg, London 1989)와 같이 읽을 것).
■ 인도불교철학 (박사과정)
- 『중론송』 (이것을 『입중론』과 함께 읽을 것.) 『입중론』에 대한 영어 번역서로 Introduction to the Middle Way (Shechen Publications, New Delhi 2004) 및 해설서로 The Emptiness of Emptiness (C.W. Huntington, 1989).
『攝大乘論』 (長尾雅人의 편집과 주석이 달린 일역 참조, 東京 1982-1987).
■ 중국 및 한국불교철학 (석박사과정 공통)
- 심재룡, 『중국불교철학사』 (철학과현실사, 1994; 한국학술정보, 2004).
- 허남진 외 편역, 『삼국과 통일신라의 불교사상 - 한국철학자료집 불교편 1』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 중국 및 한국불교철학 (박사과정)
- 심재룡 외 편역, 『고려시대의 불교사상 - 한국철학자료집 불교편 2』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6).
<동양철학전공 III 부문>
■ 한문 (석박사과정 공통)
- 사서집주 전체와 대승기신론회본
* 출처: 서울대 철학과 홈페이지
( http://phil.snu.ac.kr/board/html/menu4/sub04_1_4.html )
(2024.10.01.)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