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1/06

[경제학의 철학] Hoover (2001), Ch 3 “Representing Causal Structure” 요약 정리 (미완성)

  

  

[ Kevin D. Hoover (2001), Causality in macroeconomic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60-68. ]



3.1. A Set-Theoretic Formalization of Causal Structure

3.2. Examples of Causally Ordered Strucres

3.2.1. A Linear Case

3.2.2. A Rational Expectations Model

3.2.3. A Regime-Switching Model



60

- 인과 관계에 대한 사이먼의 원래 형식화는 독립 모수를 가진 선형 방정식에 국한된다. 그는 그의 분석이 비선형 분석에도 확장된다고 밝혔다.

- 이 장의 목표: Simon의 분석이 거시경제학에서 발견되는 비선형에 대해서도 일반화될 수 있음을 증명하는 것 


60

1절은 형식주의에 관한 것

형식주의는 인과성의 퍼즐에 해답을 제공할 수 없지만, 좋은 형식주의는 인과 구조에 관하여 말할 언어를 제공하며 인과 구조를 명시적으로 표상할 방법을 제공함.



3.1. A Set-Theoretic Formalization of Causal Structure

3.2. Examples of Causally Ordered Strucres

3.2.1. A Linear Case

3.2.2. A Rational Expectations Model

3.2.3. A Regime-Switching Model


(2023.02.14.)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프라임 LEET] 2026학년도 대비 LEET 전국모의고사 안내

https://invite.kakao.com/tc/NVNEFmM9U1 ​ 올해 7/20 리트 응시자분들을 위한 단체 채팅방입니다. ​ 리트 언어이해, 추리논증 관련 읽을 만한 논문 등을 게재하고, 6/1부터 매일 세 문제씩 푸는 모형추리(기출이 아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