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2/19

다른 방식으로 과학사 수업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과학사에는 양립불가능한 이론들이 경쟁을 벌이는 사례들이 종종 나온다. 어떤 경우는 두 이론의 설명력이 동등하다고 하고, 어떤 경우는 두 이론 중 한 이론이 어떤 이점을 가지고 다른 이론이 다른 이점을 가진다고 한다. 나는 과학을 잘 모르니까 그렇게 설명하면 그냥 그러려니 한다. 그런데 정말 그런가? 당대의 과학 활동을 재현해본다면, 대단한 것이 아니라 당대 과학자들이 했던 문제 풀이 정도라도 따라해 본다면, 뭔가 몰랐던 점이 보일 수도 있지 않을까?

내가 과학사 수업을 그렇게 많이 들은 것은 아니라서 자신 있게 말하기는 좀 그렇지만, 내가 들은 것만 놓고 본다면, 과학사 수업에서는 과학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주로 과학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을 다루었던 것 같다. 그래서 적어도 나의 경우에는, 과학사 수업을 듣고 당대 과학에 영향을 주었을 수 있는 것들에 관한 이해가 늘어났을지는 몰라도 당대 과학에 관한 이해는 거의 늘어난 것 같지 않다.

하버드대에 교환 학생으로 다녀온 대학원 선배에 따르면, 하버드대에서는 학부 과목으로 <18세기 물리학사> 같은 과목도 개설된다고 하며, 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당대 물리학에서 문제가 되었던 문제들을 연습 문제 풀듯이 직접 종이에 풀어보기도 한다고 한다. 수업이 <과학사>나 <물리학사>이었다면 진도 나가기 바빠서 문제 풀이 같은 것은 못했을 텐데 <18세기 물리학사>로 한정 지으니 문제 풀이 같은 것이 가능했을 것이다.

그러면 한국에서도 학부 수업으로 <18세기 물리학사> 같은 것을 개설할 수 있을까? 전공과목으로 개설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다. 그런 수업을 개설할 학과가 없기 때문이다. 서울대에 있는 동양사학과, 서양사학과, 국사학과처럼 과학사학과 같은 것이 있어야 할 텐데 그런 수업을 개설할 수 있을 텐데 한국 대학에 그런 학과는 없으니까 전공과목으로는 개설할 수 없다. 그런데 전공과목으로 개설하지 못한다고 <18세기 물리학사> 같은 과목을 개설하지 못 하나? 전공과목이 안 되면 교양과목으로 개설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학생들이 너무 부담스러워할 것 같으면, 성적 부여방식을 A/F가 아니라 P/F로 하면 가능할 수도 있다.

대체로 교양 수업이라고 하면 전공 수업의 약화된 버전 정도로 여기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꼭 그래야 할 이유는 없다. 전공 수업보다 더 센 교양 수업이 있으면 왜 안 되는가?

<18세기 물리학사> 같은 과목을 교양 강의로 만들면 누가 듣겠냐고 반문할 수도 있겠다. 이과대생이나 공대생이 들으면 된다. 이과대생이나 공대생도 어차피 교양 학점을 이수해야 하니까 그들 중 일부가 수강할 것이다. 약간 좀 별난 학생들, 취향이 고상한 학생들, 방황하는 학생들 등을 꼬시면 수업 개설 인원을 모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학부 <경제학사> 같은 수업도 다른 방식으로 할 수 있을 것 같다. 내가 아는 방식의 <경제학사> 수업은 일종의 사상사 수업 비슷하게 진행된다. 그런데 사상을 잡다하게 아는 것이 중요한가? 차라리 다루는 범위를 줄여서 특정 시기의 경제학사를 다루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연습 문제를 풀면서 경제학자들이 실제로 고민한 이론적인 문제와 해결 방식을 탐구하는 방식으로 학부 교양 수업을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2020.12.19.)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 예언한 알라딘 독자 구매평 성지순례

졸업하게 해주세요. 교수되게 해주세요. 결혼하게 해주세요. ​ ​ ​ ​ ​ * 링크: [알라딘] 흰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소설 (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322034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