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1/05

[경제학의 철학] Kincaid (1986), “Reduction, Explanation, and Individualism” 요약 정리 (미완성)

   

[ Harold Kincaid (1986), “Reduction, Explanation, and Individualism,” Philosophy of Science, 53(4): 492-513. ]

  

  

492

방법론적 개체주의(Methodological individualism: MI)

1950년대와 1960년대 논쟁


493

다음과 같은 논제들을 설명하고 평가할 것

(1) 사회 이론들은 개체주의적 이론들로 환원될 수 있다.

(2) 사회 현상에 관한 어떠한 설명이든 개체들, 개체들의 관계, 성향 등을 언급해야만 한다.

(3) 사회 현상에 관한 어떠한 완전히 적절한 설명이든  개체들, 개체들의 관계, 성향 등을 언급해야만 한다.

(4) 개체주의적 이론은 사회 현상들을 완전히 설명하는 데 충분하다

(5) 개체주의적 이론은 사회 현상들을 부분적으로 설명하는 데 충분하다

(6) 개체들에 관한 어떤 언급은 사회 현상에 대한 어떤 설명을 위한 필요조건이다.

(7) 개체들에 관한 어떤 언급은 사회 현상에 대한 어떤 충분한 설명을 위한 필요조건이다.

(1)-(7)은 MI의 대부분의 변종들(variants)을 포착함.

- 킨케이드의 평가

(1), (2), (3), (4), (6)이 매우 안 그럴듯함.

(5)은 열린 질문이고

(7)은 처음에 생각했던 것보다 그럴듯하고 흥미로움.




  I




  II



  III




(2021.04.15.)

    

댓글 없음:

댓글 쓰기

JTBC <史기꾼들: 역사 이야기꾼들>에 대한 짧은 생각

JTBC에서 <史기꾼들: 역사 이야기꾼들>이라는 프로그램을 한다고 해서 어떤 프로그램인가 찾아보았다. 제목이 <史기꾼들>이라고 하니 역사학에 애정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불쾌할 수도 있을 것 같지만(방송국에서 <記레기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