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6/29

[과학철학] Feyerabend (2010), Against Method, Ch 14 요약 정리 (미완성)

     

[ Paul Feyerabend (2010), Against Method, 4th edition (Verso), pp. 135-147.
  Paul Feyerabend (1975), Against Method, 1st edition (New Left Books).
  파울 파이어아벤트, 「제14장」, 『방법에 반대한다』 (그린비, 2019), 255-274쪽. ]
  
  
[pp. 135-136, 255-257
- 갈릴레오는 천문학 분야 전체를 다루지 않았음.
- 지금처럼 그 당시도 지식은 전문 분야로 세분화되어 있었고, 어떤 분야의 전문가가 거리가 먼 다른 분야의 전문가인 경우는 드물었음.
- 티코 브라헤는 탁월한 천문학자였지만, 부동의 지구를 유지함.
- 코페르니쿠스는 충실한 기독교인이자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
코페르니쿠스의 지지자들은 각자 다른 이유로 코페르니쿠스의 이론의 일부분을 지지함

[pp. 136-137, 257-258
- 코페르니쿠스 혁명은 단순한 대상이 아니라 다양한 주제들에서의 발전들로 구성됨.
• 천문학, 천문표의 계산, 광학, 인식론, 신학 등
- 이러한 구분은 정확성을 위해서 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존재하는 연구의 세부적 구분을 반영하는 것
- 물리학은 변화를 기술하는 일반적인 운동이론
• 행성과 동물의 이동과 성장을 포함함.
•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과 그것에 대한 중세의 많은 주석
- 우주론은 우주와 그 안에서 발견되는 특수한 운동을 기술함.
• 자연학의 기본 법칙은 운동력 없는 운동을 정지에 도달한다는 것인데, 우주론의 ‘자연적’ 운동은 방해 없이 발생하는 것.
• 예) 불의 상승운동과 돌의 하강운동
• 아리스토텔레스의 『천체론』과 그것에 대한 중세의 많은 주석
 
[pp. 137-138, 258-260
- 물리학과 우주론은 참인 진술을 제시한다고 주장함.
- 신학도 참인 진술을 제시한다고 주장하지만 이 분야들에서 연구를 위한 경계 조건으로 간주됨.
이러한 요구조건들의 강도와 그에 대한 제도적 뒷받침의 강도는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달랐음.
- 한 편에 물리학과 우주론, 다른 편에 천문학을 구분하는 것은 실제적인 사실일 뿐 아니라 견도한 철학적 뒷받침을 가짐.
아리스토텔레스
- 광학 교과서는 천문학적 문제들을 드물게 다룸.

[pp. 138-141, 260-264
- 상대적으로 독립적인 주제, 연구 전략, 논증, 의견의 모음이 일정한 방식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해야 하는가?
코페르니쿠스 시대와 그 이후의 천문학자들은 
- 코페르니쿠스의 비판은 화성, 목성, 토성의 경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모형에 관한 것.


- 코페르니쿠스는 그 모형의 경험적 적절성을 문제 삼지 않았음.
- 코페르니쿠스는 절대 운동과 겉보기 운동을 구별하여 설명함.
- 코페르니쿠스는 편심(excentre)과 주전원의 중심을 제거하고, 그것을 주전원으로 대치함.

[pp. 141-, 264-
재구성한 논증은 두 가지 요소를 포함함.
요소(1): 순수하게 형식적인 요소
요소(2): 실재에 관한 주장


(2021.07.01.)
    

댓글 없음:

댓글 쓰기

2025년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대한 감상

이재명의 대통령 당선을 보면서 정말 천운이라는 것이 있는 것인가 싶었다. 주요 대선 주자들은 죄다 자기 발에 자기가 걸려 알아서 자빠졌지, 올망졸망한 잠재적 경쟁자들은 크지 않지, 무언가 안 좋은 것에 많이 얽혀 있는 것은 분명한데 이리저리 잘 피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