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2/13

[과학철학] Putnam (1978), “Lecture II” 요약 정리 (미완성)



[ Hilary Putnam (1978), Meaning and the Moral Sciences (Routledge and Kegan Paul), pp. 18-33. ]

1. The ‘Convergence’ of Scientific Knowledge

2. What If There Were No ‘Convergence’ in Scientific Knowledge?

3. Mathematical Intuitionism – An Application to Empirical Knowledge

4. Truth

5. Correspondence Theory of Truth

* Lecture II와 Lecture III의 1절은 퍼트넘이 1976년 The Aristotelian Society에서 한 강연인 ‘What is “Realism”?’을 확장한 내용임.

[18-19]

- 실재론자들은 대체로 ‘진리 대응론’(correspondence theory of truth)을 믿음.

- 전형적인 실재론 옹호 논변은 기적 논변(the Miracle Argument)

• 전자, 시공간, DNA 등의 과학적 존재자들이 실재하지 않는다면 관찰가능한 현상을 예측하는것을 설명할 수 없음.

• 그러한 존재자들이 실재한다면, 과학적 이론들의 성공에 관한 자연스러운 설명은 존재자들이 어떻게 움직이는지에 대해 이론들이 부분적으로 참인 설명을 한다는 것

• 예)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과 뉴튼의 보편 중력

• 반실재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과학의 성공을 기적적인 것(설명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할 수밖에 없음.

[19]

- 물론 실증주의자의 입장에서 가능한 답변은 많음

이론적 용어 의미의 환원, 설명 이론

[19]

- 과학이 많은 참인 예측을 하고 더 나은 방식으로 자연을 통제하는 데 성공한다는 것은 의심할 수 없는 경험적 사실임.

- 실재론이 과학의 성공에 대한 설명이라면, 경험적 가설과 같음.

- 그러나 그렇게 되면 진리 이론과 실재론의 관계가 어떤지는 모호해짐.

- 이 강의의 목표는 지식의 성공을 설명하는 것과 진리 이론을 무엇이 연결하는지 보여주는 것

1. The ‘Convergence’ of Scientific Knowledge

[19-20]

‘과학적 실재론’을 퍼트넘이 ‘실재론’이라고 부르는 것은 ‘과학적 실재론’이 특정 이데올로기적 분위기를 전달하기 때문.

19세기 물질주의 이데올로기의 느낌.

과학적 지식만이 가치 있다고 주장하는 것 같음.

[21-22]

- T₁이 어떤 관찰 어휘로 (주로) 참인 예측들을 한다면, T₂은 T₁이 함축하는 대부분의 ‘관찰 문장들’을 함축함.

- 그러나 여기에서 어떤 제한 안에서 T₁의 법칙들이 참임을 함축해야만 하는 것이 따라나오지는 않음.

• 이유(1): T₁의 대부분의 관찰 문장들의 참을 함축하도록 T₂를 구성할 많은 다른 방법이 있음.

• 이유(2): T₁의 법칙들의 ‘근사적 참’을 T₂가 함축하게 만드는 것은 종종 가장 어려운 방법임.

- 그러나 우리는 뉴튼 이론의 ‘중력장’을 상대성 이론의 관점에서 지시체를 할당할 수 있고, 멘델의 ‘유전자’를 분자생물학의 관점에서, 돌턴의 ‘원자’를 양자 역학의 관점에서도 마찬가지임.

- ‘무죄 추정의 원칙’(principle of benefit of the doubt) 또는 ‘자비의 원리’(principle of charity)에 의존함.

- 이후의 이론가들은 이전의 성숙한 과학에 용어를 지칭하려고 의도했다고 해석해야 함.

2. What If There Were No ‘Convergence’ in Scientific Knowledge?

[22-23]

- 쿤과 파이어아벤트의 반론: 이론 간 공약불가능성(incommensurability)

쿤: 서로 다른 패러다임 하의 같은 용어는 같은 지시체를 가질 수 없음.

파이어아벤트: 과학 용어의 소개자는 각 이론에서 지시체에 대한 기술를 함.

예) ‘전자’에 대한 이론적인 기술이 서로 다른 이론에서 다르다면, 서로 다른 뜻(sense)을 가진 것임.

[23-24]

퍼트넘의 반박

과학 용어들은 기술(descriptiosn)과 동음이의어가 아님.

자비의 원칙과 무죄 추정의 원칙(the benefit of the doubt)이 필요하다.

예) 전자에 대한 보어-러더포드 식의 기술에 적확한 대상이 없지만, 근사적으로 부합하는 입자들(particles)이 있음.

전자, 질량, 보어-러더포드가 ‘전자’라는 용어로 설명한 것에 대응하는 핵심 요소들, 즉 적절한 전하, 질량들을 가지는 입자가 있음.

무죄 추정의 원칙에 따르면, 보어가 그러한 입자를 가리킨 것으로 간주해야 함.

[24]

- 불합리한 자비의 우려와 메타귀납(meta-induction)

① 위의 예에서 ‘전자’가 과거의 ‘플로지스톤’과 같은 것이면 어떻게 하나? 우리는 자비의 원리를 동원해서 플로지스톤과 같은 입자가 실제로 있다고 해석할 수는 없을 것이다.

② 한 세대에서 요청된 과학적 용어들이 지칭하는 것이 없다고 밝혀진다면, 현재 이론들의 용어가 지칭하는 것이 미래에 없다고 밝혀질 수도 있지 않은가?

[25]

- 정리

수렴이 없다(보이드의 원리 (1)과 (2)가 미래에 거짓으로 드러남)

→ 자비의 원리가 불합리(unreasonable)

→ 지시체의 실패(collapse)

→ 모든 이론적 진술들이 거짓 →

참 개념도 실패

3. Mathematical Intuitionism – An Application to Empirical Knowledge

4. Truth

5. Correspondence Theory of Truth

(2023.04.14.)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외국 가요] 맥 드마르코 (Mac DeMarco)

Mac DeMarco - Heart To Heart ( www.youtube.com/watch?v=qBoQzo98EpQ ) ​ ​ (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