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3/22

[과학철학] Cartwright (2007), “Where is the theory in our ‘theories’ of causality?” 요약 정리 (미완성)

     

[ Nancy Cartwright (2007), Hunting Causes and Using Them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43-53.

  Nancy Cartwright (2007), “Where is the theory in our ‘theories’ of causality?”, Journal of Philosophy, 103(2): 55-66. ]

 

 

  4.1 Introduction

  4.2 On ‘theories’ of causality

    4.2.1 Causation: one word, many things

    4.2.2 Causality: metaphysics and methods

    4.2.3 Representation: handsome is as handsome does

    4.2.4 Causal laws and effective strategies

    4.2.5 Hunting causes versus using them

    4.2.6 Causality: metaphysics, methods and use

    4.2.7 Where is the theory in our ‘theories’ of causality?

  4.3 Conclusion

 

 

  4.1 Introduction



  4.2 On ‘theories’ of causality



    4.2.1 Causation: one word, many things

    4.2.2 Causality: metaphysics and methods

    4.2.3 Representation: handsome is as handsome does

    4.2.4 Causal laws and effective strategies

    4.2.5 Hunting causes versus using them



    4.2.6 Causality: metaphysics, methods and use


p.49 #1

우드워드와 카트라이트가 공통으로 다루는 문제 (manipulation/invariance 설명)


p.49 #2

두 번째 관심사는 밀턴 프리드먼이 경제학 모형에서 다룬 것

- 밀턴 프리트먼의 주장: 모형은 모형의 결과의 correctness로 판단되어야지 가정의 correctness로 판단되어서는 안 된다.

- 밀턴 프리트먼에 대한 카트라이트의 반박: 대부분의 유용한 모형은 (i) 독립적인 수단들에 의해 우리가 legitimate할 수 있는 것이고 (ii) 새로운 문제들에 대해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미리 알 수 없다.

- 후버에 대한 카트라이트의 비판: 후버는 x가 y를 일으킨다고 생각하는 독립적인 근거를 가져야 하고, x를 조작하는 것이 y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추론하기 위해 그 근거를 사용한다고 주장했는데, 후버에게 그것은 그저 x가 y를 일으킨다는 것이고 그래서 우리는 인과관계를 성립할 수 없고 정책 예측에 그것을 사용할 수 없다.

 



    4.2.7 Where is the theory in our ‘theories’ of causality?



  4.3 Conclusion



 


 

(2022.05.07.)

    

댓글 없음:

댓글 쓰기

내가 철학 수업을 올바른 방향으로 하고 있다는 증거

대학원 다니면서 들은 학부 수업에서 몇몇 선생님들은 수업 중간에 농담으로 반-직관적인 언어유희를 하곤 했다. 나는 이번 학기에 학부 <언어철학> 수업을 하면서 그런 식의 농담을 하나도 하지 않았다. 나부터 그런 반-직관적인 언어유희에 재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