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1/29
[경제학의 철학] Hoover (2001), Ch 5 “The Reality of Macroeconomic Structure” 요약 정리 (미완성)
2020/11/28
[한국 가요] 일기예보 (Weather Cast)
일기예보 - 좋아 좋아
( www.youtube.com/watch?v=-mZwFdTvAjo )
일기예보 - 인형의 꿈
( www.youtube.com/watch?v=F7Wc6FcgpmY )
(2021.01.02.)
진화한 미래 인문학
포켓몬스터만 진화하는 것이 아니다. <미래 인문학>이 <미래인문학소셜앙트레프레너십 융합전공>으로 진화했다. 몇 년 전 나는 미래 인문학 같은 게 있다는 것을 듣고는 “그러면, 역사학은 과거 인문학이냐?” 하고 비웃었는데, 그렇게 웃고 넘어갈 것이 아니었다. 진화한 <미래인문학소셜앙트레프레너십 융합전공>은 4단계 BK21 플러스 사업에 선정되었다고 한다.
인문학이 마법사의 돌도 아닌데, 무슨 수로 “현재의 사회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기반을 제공하며 “시급한 사회 문제에 대한 지속가능한 해결책”을 찾는 데 도움을 준다는지 모르겠다. 하여간 ‘사회적 기업가’라고 하면 될 것을 굳이 ‘소셜 앙트레프레너’라고 한 것을 보면, 아무래도 정부 사업에 선정되는 데 통용되는 작명 방식이 있는 것 같다. 무엇을 하는 사업인지는 드러내지 않으면서도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 외국어나 외래어를 불필요하게 사업명에 집어넣는 것이다.
그렇다면, <부에나 비스타 울트라 소셜 하이브리드 퓨전 휴매니티 혼돈의 카오스 인문 융합전공> 같은 이름은 어떨까? 내가 교수가 되어 이런 이름을 쓰는 과정을 운영하면 좋겠지만 교수는커녕 졸업 여부도 기약이 없으니, 동료 중 먼저 교수가 되는 사람이 이 사업명을 가져다 써도 될 것 같다. 필요하다면 몇 개 더 지어줄 수도 있다. 생각 없이 이것저것 붙여서 막 지으면 된다.
(2020.09.28.)
전원주택을 처음 구입하는 사람들의 과욕
예전에 박재희 박사가 EBS에서 손자병법 강의할 때 한국인과 중국인이 처음 사업할 때 어떻게 다른지 이야기한 적이 있다. 사업 자금이 1억 원 있으면 중국인은 그 돈을 3등분하여 세 번 사업한다고 한다. 처음 사업하면 무조건 망하게 되어 있으니 사업 ...
-
누군가 잘 나간다는 생각이 들 때쯤이면 그에게 “문화 권력”이라는 수식어가 들러붙는다. “권력”이라는 건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킬 수 있는 힘”을 말하는데 “문화 권력”이라고 불리는 건 그냥 그 사람이 요새 잘 나간다는 말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김용...
-
최재천 교수는 교회에 다닌다고 한다. 생물학자가 어쩌다 교회에 다니게 된 것인가? 『다윈 지능』에서 최재천 교수는 다음과 같은 일화를 소개한다. 어느 날 목사님(강원용 목사)은 설명을 마치고 일어서려는 내게 이렇게 물으셨다. “최 교수는 진화론자인데 ...
-
<죽으면 되는 것이다> 짤은 『고우영 십팔사략』 10권 96쪽에 나온다. 후량-후당-후진-후한-후주-송으로 이어지는 5대 10국 시대에서 후한이 망할 때 풍도가 유빈을 죽인 일을 그린 것이다. 907년 주전충이 당을 멸망시키고 후량(後粱...
-
[ 올더스 헉슬리, 『멋진 신세계』, 정소연 옮김 (궁리, 2007). ] [1] <런던 중앙 인공부화, 조건반사 양육소> 34층밖에 안 되는 나지막한 회색 건물 세계 정부의 표어: “공동체, 동일성, 안정” 선과 행복을...
-
한국어에서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말투로는 해라체와 하라체가 있다. 해라체는 ‘동사 어간+어라/아라’ 형태의 구어체 명령형이고, 하라체는 ‘동사 어간+라/으라’ 형태의 문어체 명령형이다. 대화할 때 상대방에게 어떤 명령의 뜻을 전달할 때는 해라체를 쓰고...
-
농협에서 <금융거래정보 등의 제공 사실 통보서>를 우리집에 보냈다. 서울북부지방검찰청에 아버지의 계좌 거래내역을 제공했다는 내용이었다. 검찰청에서는 왜 농협에 아버지의 계좌 거래내역 정보제공을 요구했는가? 몇 년 전, 아버지는 녹색 무슨 협...
-
김누리 교수는 <세바시>에서 한국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 방안을 요구하는 내용의 강연을 했다. 강연 서두에서 김누리 교수는 어떻게 아동 우울증이 가능하냐고 묻는다. 어떻게 아이 앞에 우울이라는 말이 붙을 수 있느냐, 이건 검은 백마 ...
-
힐쉬베르거의 『서양철학사』는 정말 재미없는 책이다. 사전과 비슷한 책이라서 재미난 부분이라고는 한 군데도 없다. 나는 그 책을 두 번이나 읽었다. 정확히 말하면,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은 것은 아니고 처음부터 칸트 직전까지만 두 번 읽었다. 나는 왜 ...
-
예전에 박재희 박사가 EBS에서 손자병법 강의할 때 한국인과 중국인이 처음 사업할 때 어떻게 다른지 이야기한 적이 있다. 사업 자금이 1억 원 있으면 중국인은 그 돈을 3등분하여 세 번 사업한다고 한다. 처음 사업하면 무조건 망하게 되어 있으니 사업 ...
-
어머니의 사랑이나 헌신을 언급할 때 흔히 나오는 이야기 중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사랑에 눈 먼 한 젊은이가 있었습니다. 그는 연인에게 변하지 않을 사랑을 고백했고 연인은 자신을 진정으로 사랑한다면 그의 어머니의 심장을 가져오라고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