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2/13

[과학철학] Wray (2010), “Philosophy of Science: What are the Key Journals in the Field?” 요약 정리 (미완성)



[ K. Brad Wray (2010), “Philosophy of Science: What are the Key Journals in the Field?”, Erkenntnis, 72(3): 423-430. ]

1. Introduction

2. Getting at the Core Journals

3. The Data

4. HPS and LMPS

5. Concluding Remarks

1. Introduction

■ 논문의 목적 [pp. 423-424]

- 인용 분석(citation analyses)은 어떤 분야나 하부 분야의 구조에 대한 많은 것을 드러냄.

• 어떤 분야의 전형적인 인용 규범이 어떤 것인지, 그 분야에서 어떤 학술지가 중요한지를 확인

• 흥미 분야와 인접 분야(또는 하부 분야)의 관계

- 이 논문에서 래이는 과학철학의 하부 분야를 평가, 특히 철학과 과학사와의 관계에 대한 평가를 하고자 함.

• 과학철학의 하부 분야에서 어떤 학술지가 중요한지

• 과학철학 연구에서 과학사 학술지와 일반 철학 학술지가 중요한지

2. Getting at the Core Journals

■ [p. 424]

- 과학철학의 핵심 학술지를 확인하고자 함.

• 주요 문헌의 출처는 세 곳: 두 안내서(companion)와 한 선집(reader)

- 출처(1): Blackwell’s A Companion to the Philosophy of Science

• 입증의 역설, 설명, 전체론, 최선의 설명으로서의 추론, 단순성 등 다섯 주제를 포함하는 넓은 범위의 81개 논문이 수록됨.

• 콰인, 러셀, 휴웰, 보어, 버클리 등을 포함함.

- 출처(2): The Routledge Companion to Philosophy of Science

• 역사적 맥락과 철학적 맥락, 논쟁, 개념, 개별 과학, 이렇게 네 범주로 구성되며 55개 논문이 수록됨.

- 출처(3): David Papineau’s (1996) edited volume, The Philosophy of Science, in the Oxford Readings in Philosophy series

• 실재론/반-실재론 논쟁과 관련

• Oxford Readings in Philosophy series의 한 권

• 카트라이트, 반 프라센, 라우든, 보이드, 새먼 등이 참여함.

3. The Data

■ 세 출처의 참고문헌들에 대한 분석 [pp. 424-425]

- 여기에서 책이나, 미네소타 시리즈 같은 시리즈, PSA 같은 학술대회 프로시딩도 제외

- 래이의 목표는 학술지에 초점을 맞춤.

• (1) 파피뉴의 선집에 수록된 논문

• (2) 서론(introduction)과 수록된 논문에서 인용한 논문

• (3) 참고문헌 목록에 실린 논문

■ [pp. 425-426]

파피뉴의 선집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학술지 13



425-426

Blackwell Companion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학술지 13



426

Routledge Companion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학술지 13



■ 세 목록에서 주목할 만한 점 [p. 426]

- 세 목록에서 많은 부분이 일치함.

- 가장 자주 인용된 세 학술지는 세 목록에서 일치함.

- 가장 자주 인용된 일곱 학술지 중 여섯은 세 목록에서 일치함.

• (1) Philosophy of Science

• (2) British Journal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

• (3) Journal of Philosophy

• (4) Synthese

• (5) Erkenntnis

• (6) Studies in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 이 여섯 학술지가 과학철학 하위분야의 핵심 학술지라고 할 수 있음.

■ 여섯 학술지에 대한 설명 [pp 426-427]

- <Philosophy of Science와 British Journal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는 과학철학 논문만 실리는 학술지

- <Studies in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은 과학사와 과학철학 논문이 같이 실리는 학술지

- <Synthese>와 <Erkenntnis>는 과학철학을 포함한 인식론과 형이상학 학술지

- <Journal of Philosophy>는 여섯 학술지 중 유일한 일반 철학 학술지

- <Philosophical Review>, <Nous>, <Mind>은 철학에서 지도적인 역할을 하는 학술지.

- 따라서, 철학에서 주도적인 학술지는 과학철학 출판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고 볼 수 있음.

4. HPS and LMPS

■ 과학사와 과학철학이 단일한 분야를 구성한다는 주장 [pp. 427-428]

- 과학사와 과학철학(이하 HPS)가 단일한 분야를 구성한다고 믿을 이유가 있다는 주장이 있음.

• 캠브릿지, 피츠버그, 인디애나 등 영국과 미국의 수많은 대학에 HPS 대학원 과정이 있음.

• ...

■ 래이의 반박 [p. 428]

- 위의 자료는 그러한 단일한 분야가 존재하는지 의문을 제기함.

- 과학사와 과학철학 학술지라고 간주할 수 있는 학술지는 <Studies in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이하 SHPS), <Studies in History and Philosophy of Modern Physics>, <Studies in History and Philosophy of Biology and the Biomedical Sciences>인데, <SHPS>는 세 목록에서 6위에 들었고, 다른 두 학술지는 세 목록 중 한 곳에서만 보임.

- Blackwell companion 목록의 15위권 안에 과학사 학술지는 없음.

- 파피뉴 선집 목록의 13위권 안에 과학사 학술지는 없음.

- Routledge companion 목록의 13위권 안에 과학사 학술지는 없음.

- Isis는 세 출처에서 한 번도 인용되지 않았음.

- 과학철학은 대체로 과학사와 독립적인 분야로 보임.

■ 쿤과 기어리의 언급 [pp. 428-429]

- 1970대 쿤은 과학사와 과학철학이 “분리되고 구분된 학문들”이라고 주장함.(Kuhn 1977)

• 쿤이 가르친 프린스턴 HPS 프로그램에서도 “과학사학자와 과학철학자는 겹치는 부분이 있더라도 다른 연구 경로를 추구하고, 다른 평가를 받고, 다른 분야에서 학위를 받는다”고 함.

• “아무도 동시에 양쪽 [분야들]에서 훈련하지 않는다”고 함.

- 기어리는 과학사와 과학철학의 친밀한 관계(intimate relationship)에 회의를 표함.

• “[1960년대] 과학사 및 과학철학 센터/학과/프로그램의 확산은 과학사학자든 과학철학자든 자신들의 모태가 되는 학문들에서 행복해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 과학철학자들은 다른 철학자와 있는 것보다 과학사학자들과 있는 것을 편안해한다. 그러나 출판과 인용은 과학철학자들이 철학자들과 같음을 보여준다.

■ [p. 429]

- 과학철학과 과학사의 연결의 부재는 최근 Isis의 Focus piece에 관한 다소 역설적인 것을 보여줌.

• Focus piece은 대체로 관련 주제의 지도자들의 네 기고문(contribution)으로 구성됨.

• “Changing Directions in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은 두 과학철학자와 두 과학사학자의 기고문으로 구성되었는데, 여기서 과학사학자 논문의 주제와 과학철학자 논문의 주제가 겹치지 않음.

■ [p. 429]

- 많은 대학에 Logic, Methodology and Philosophy of Science(이하 LMPS) 대학원 프로그램이 있음.

• 흥미로운 점은 목록에 있는 학술지 중 논리학 학술지는 하나뿐이고 순위도 낮다는 것.

5. Concluding Remarks

(2020.01.26.)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오타의 기능

교육부 장관으로 지명된 이진숙 교수가 지도학생의 논문을 표절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흥미로운 점은 지도학생의 석사 논문에 있던 오타까지 그대로 이진숙 교수의 논문에 등장한다는 점이다. 석사학위논문에 있는 오타는 생성형 인공지능이 산출물에 남기는 워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