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9/30
[과학철학] P. Suppes (1970), Ch 6 “General philosophical issues” 요약 정리 (미완성)
2019/09/29
미륵사지 근처에 있는 순두부집
미륵사지에 근처에 순두부 맛집이 있다. 전북 익산이 순두부로 유명한 것도 아니고 서동이 선화 공주를 회유할 때 순두부를 준 것도 아니고 미륵사지와 순두부가 무슨 연관이 있는지 모르겠는데 하여간 미륵사지 근처에 순두부 맛집이 있다. 아마도 아무런 이유 없이 생긴 순두부집이었을 것인데 맛으로 승부해서 맛집이 된 모양이다. 순두부만 파는데도 가게가 웬만한 고기집보다 컸다. 입구 바닥에 줄 서는 곳이 표시될 정도로 장사가 잘 되는 곳이었는데, 나는 점심과 저녁 사이에 그 집에 가서 여유 있게 밥을 먹을 수 있었다. 순두부를 즐겨먹지 않는 내가 먹어도 맛있는 순두부였다. 어머니는 이렇게 맛있는 순두부는 처음 먹는다고 했다.
내가 미륵사지에서 순두부를 먹은 것은 동료 대학원생이 미리 알려주어서였다. 전주 출신인 동료 대학원생은 미륵사지 근처 순두부 맛집에서 먹은 순두부가 그렇게 맛있다고 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거기(미륵사지 근처)에서 파는 순두부는 서울에서 파는 순두부와 같은 순두부라고 할 수 없어요. 우리가 순두부라고 부르는 것은 종(kind)이 아닐 수도 있어요. 마치 연옥과 경옥을 옥이라고 부르는 것처럼 각기 다른 순두부들을 순두부라고 부르는 것일 수도 있어요.” 어쩌면 정말 순두부라는 것은 종이 아닐지도 모르겠다.
(2019.07.29.)
2019/09/27
[KBS] 도올의 논어 이야기 (64부작)
제1강. 공자와의 만남
제2강. 유교란 무엇인가
제3강. 배우니 기쁘지 아니한가
제4강. 논어의 해석과 민주주의
제5강. 사마천과 공자세가
제6강. 공자의 탄생을 둘러싼 이야기
제7강. 고주와 신주
제8강. 공자의 제자들
제9강. 개비와 비개비
제10강. 짱구와 잉어
제11강. 삼성오신
제12강. 공자 삼대 이혼설
제13강. 공부란 무엇인가
제14강. 안영과 공자
제15강. 어울림의 디자인
제16강. 훈민정음과 회사후소
제17강. 인이란 무엇인가
제18강. 여인과 현인
제19강. 허물있으면 고쳐라
제20강. 신종추원
제21강. 한국유학과 일본유학
제22강. 제사와 동학
제23강. 개벽과 혁명
제24강. 아버지의 도를 삼년만...
제25강. 인류문명사 어떻게 볼까 (1)
제26강. 인류문명사 어떻게 볼까 (2)
제27강. 예와 악
제28강. 한시의 세계
제29강. 비피행
제30강. 알아주지 않음을 걱정치 말라
제31강. 절차탁마
제32강. 중용의 세계
제33강. 대학은 왜 가는가
제34강. 사랑이란
제35강. 불혹지천명의 참뜻
제36강. 소정묘의 주살
제37강. 춘추의 시작
제38강. 삼환의 역사
제39강. 학문의 길
제40강. 오직 병들까 걱정
제41강. 안회는 어리석지 않다
제42강. 온고이지신과 군자불기
제43강. 앎이란 무엇인가
제44강. 군자란 무엇이뇨
제45강. 출세하는 방법
제46강. 정자정야
제47강. 백세가지야
제48강. 유교의 새로운 해석
제49강. 공자의 음악이야기
제50강. 낙이불음
제51강. 배와 말
제52강. 임방이 예의 근본을 묻다
제53강. 활과 술
제54강. 공자의 손바닥
제55강. 너는 양을 아끼느냐, 나는 예를 아끼노라
제56강. 하늘에 죄 얻으면 빌 곳 없다
제57강. 공자의 인간관과 그리스도의 인간관 (1)
제58강. 공자의 인간관과 그리스도의 인간관 (2)
제59강. 과학 생명 논어 (1)
제60강. 과학 생명 논어 (2)
제61강. 회덕과 회토
제62강. 대추와 밤
제63강. 성균의 이념과 논어
제64강. 청춘과 문명의 모험
(2021.10.13.)
내가 철학 수업을 올바른 방향으로 하고 있다는 증거
대학원 다니면서 들은 학부 수업에서 몇몇 선생님들은 수업 중간에 농담으로 반-직관적인 언어유희를 하곤 했다. 나는 이번 학기에 학부 <언어철학> 수업을 하면서 그런 식의 농담을 하나도 하지 않았다. 나부터 그런 반-직관적인 언어유희에 재미를...
-
대학원에는 학위를 받으면 학위 논문을 제본해서 주변 사람에게 주는 풍습이 있다. 예전과 달리 오늘날에는 논문 대부분이 온라인으로 공개되지만 여전히 학위 논문을 제본해서 나누어주는 풍습이 남아있다. 어떤 행동 유형이 관례로 자리 잡으면 그 자체로 관성을...
-
누군가 잘 나간다는 생각이 들 때쯤이면 그에게 “문화 권력”이라는 수식어가 들러붙는다. “권력”이라는 건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킬 수 있는 힘”을 말하는데 “문화 권력”이라고 불리는 건 그냥 그 사람이 요새 잘 나간다는 말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김용...
-
<죽으면 되는 것이다> 짤은 『고우영 십팔사략』 10권 96쪽에 나온다. 후량-후당-후진-후한-후주-송으로 이어지는 5대 10국 시대에서 후한이 망할 때 풍도가 유빈을 죽인 일을 그린 것이다. 907년 주전충이 당을 멸망시키고 후량(後粱...
-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대통령이 되면 이러한 악순환을 끊겠다”고 말했다고 한다. 나는 이재명이 대통령이 되면 정치보복의 악순환을 끊을 것이라고 믿는다. 정치보복의 악순환이라는 것은 정치보복을 당한 세력 중 일...
-
대학에서 학생들이 교수를 ‘교수님’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나는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 강사를 ‘강사님’이라고 부르는 학생들도 있다고 하는데, 이 경우에도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낫다. 부장을 ‘부장님’이라고 부르...
-
북아일랜드 - 헌책방 통합검색 ( www.bookisland.co.kr ) 노란북 (중고 책 가격비교) ( www.noranbook.net ) 북코아 ( www.bookoa.com ) ...
-
집 나갔던 수컷 고양이가 돌아왔다. 다섯 달만인가 싶다. 암컷 고양이는 주로 집에 있고 동네 마실을 다녀도 곧 집에 돌아오는데, 수컷 고양이는 집에 있는 시간보다 밖에 돌아다니는 시간이 많고 특히 발정기가 되면 며칠씩 집에 안 돌아온다...
-
김어준이 음모론자치고 생명이 긴 데는 다 이유가 있다. 우선, 누구나 인정하는 비교적 확실한 사실을 밑에 깔아놓고, 뭔가 의심스럽지만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는 이야기를 제보받았다고 하고, 이야기의 빈틈을 나름대로의 추측으로 살을 채워놓고, 이것을 일종...
-
학회에서 발표를 한다든지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할 때는 이름과 함께 소속도 명시하게 되어 있다. 대체로, 학생은 다니고 있는 학교를 소속으로 표기하고, 강사나 교수는 일하고 있는 학교를 소속으로 표기한다. 강사들이 학회 때마다 소속이 계속 바뀌기도 하는...
-
대학원 다니면서 들은 학부 수업에서 몇몇 선생님들은 수업 중간에 농담으로 반-직관적인 언어유희를 하곤 했다. 나는 이번 학기에 학부 <언어철학> 수업을 하면서 그런 식의 농담을 하나도 하지 않았다. 나부터 그런 반-직관적인 언어유희에 재미를...